메뉴 건너뛰기

close

 
충남지역 시민사회 단체들이 28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충남지역 시민사회 단체들이 28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이재환

관련사진보기

 
석탄 발전소 폐쇄로 관련 노동자들의 대량 실직 사태가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충남 지역에서는 잃자리를 잃게 될 석탄 발전소 노동자들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충남 지역 노동자와 시민사회 단체들로 구성된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충남노동자행진 추진위원회'는 28일 충남도청 프레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3월 30일 충남 태안에서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충남 노동자 행진'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추진위원회에는 지난 24일 기준으로 기후위기충남행동을 비롯한 석탄발전사 노동조합, 환경 단체 등 47개 단체가 합류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지난해 4월 시작된 캐다나 산불은 16만 5천 ㎢(남한 면적의 1.6배)의 살림을 태우고 200명 넘는 희생자를 초래했다"며 "이외에도 하와이 산불, 그리스 산불, 인도와 중국 등의 홍수로 엄청나게 많은 노동자 민중이 죽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더 엄청난 기후재앙이 닥칠 것"이라며 "그런데도 자본가 정부의 대응은 너무나 한가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석탄발전소 폐쇄가 필수적이지만 그로 인해 생업을 잃게 될 노동자들을 보호하는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전국의 석탄발전소 총 59기 중 절반에 해당하는 29기가 충남에 위치하고 있다"며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36년까지 폐쇄되는 석탄발전소 28기 중 14기(태안 1~6호기, 당진 1~6호기, 보령 5,6호기)가 충남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34년까지 폐지되는 석탄발전소 30기 인원 모두가 일자리 전환이 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최대 7935명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으로 추정된다"며 "폐쇄되는 석탄발전소가 LNG발전으로 전환되더라도 4911명이 해고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대책은 무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별도의 요구안을 통해서도 '기후재난으로부터 노동자와 농민, 시민의 일과 삶을 지키고 모두의 존엄과 안전, 생명을 보호하라'고 촉구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석탄발전소 노동자는 "석탄발전소 폐쇄는 충분히 이해하고 동의한다"며 "하지만 이는 환경을 걱정하는 시민의 입장에서 그렇다는 뜻이다. 석탄발전 노동자 개인으로서는 석탄발전 폐쇄는 또다른 차원의 문제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석탄 발전소 노동자들은) 발전소 폐쇄와 함께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 노동자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어떤 노동자들이 일방적으로 희생되어서는 안된다"라고 덧붙였다.

태그:#기후정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유주의자. 개인주의자. 이성애자. 윤회론자. 사색가. 타고난 반골. 충남 예산, 홍성, 당진, 아산, 보령 등을 주로 취재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