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회창 전 국무총리를 접견하는 김영삼 대통령.
 이회창 전 국무총리를 접견하는 김영삼 대통령.
ⓒ 정부기록사진집

관련사진보기

 
부산시가 전 대통령의 민주화 업적과 관련 기념 시설 필요성을 묻는 시민 인식조사에 들어간다. 'YS(김영삼 전 대통령) 기념관' 논란이 일자 여론을 파악하고, 건립 근거를 만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부산시가 추진하는 조사는 만 18세 이상 부산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13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다. 15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질문지 문항엔 ▲민주화운동을 대표하는 지역 ▲부산의 기념시설 필요성 여부 ▲김영삼·노무현 전 대통령 민주화 업적 ▲기념관 추진 의견 확인 등이 포함됐다.

시에 따르면 이는 역사기념관의 건립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서다. 앞서 부산시는 2021년 12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기념관 관련 연구용역을 통해 '평등·자유 등 민주가치 교육·체험시설', '대통령 기념시설'이라는 2가지 형태의 안을 제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대통령 기념관', '민주주의미래관'이라는 이름을 언급했다.

후보지는 광복기념관, 충혼탑, 부산민주공원 등이 있는 부산 중앙공원이다. 시는 이곳에 부산의 민주화운동과 그 중심에 있었던 전 대통령 등을 되새기는 공간을 꾸미겠단 구상이다. 또한 인근 근현대사 문화유산 등과 함께 역사테마 관광 코스로 한 데 묶으려는 계획도 갖고 있다.

그러나 'YS'라는 벽은 넘어야 할 과제다. 과거 독재에 맞섰지만, 이른바 '야합', 3당 합당으로 부정적 평가를 받는 김 전 대통령의 기념관을 왜 짓느냐는 비판이 나오기 때문이다. 지역 일간지인 <국제신문>은 지난해 9월 지역의 찬반 논쟁을 보도하기도 했다.

'YS 기념관'은 지난 2021년 4·7 보궐선거 과정에서 공론화됐다. 당시 선거에 출마한 박형준 부산시장은 'YS 정신'을 기릴 민주센터를 공약했고, 이후 34주년 6월항쟁 기념식에서 이를 거듭 강조했다. 김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동국대학교 석좌교수도 최근 공개 발언으로 이를 거드는 모양새다. 지난해 11월 SNS에 글을 올린 김 교수는 "당당히 건립돼야 마땅하다"라며 'YS 기념관'의 추진 관철을 주장했다.

시는 일단 여론을 계속 확인해나가겠단 태도다. 시 민생노동정책과는 "이번 인식조사가 끝나면 토론회까지 준비하고 있다. 시민에게 관련 의견을 계속 듣고 (기념관 건립 등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태그:#YS기념관, #부산 민주주의역사기념관, #부산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