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진욱 경기도 대변인이 22일 오후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검찰의 경기도청 압수수색에 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진욱 경기도 대변인이 22일 오후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검찰의 경기도청 압수수색에 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경기도

관련사진보기

 
"금번 압수수색은 사실상 도정을 멈춰 세운 것으로 깊은 유감을 표합니다."

검찰이 22일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대북 송금 의혹과 관련해 경기도청에 대한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벌이자, 경기도가 이례적으로 강한 유감을 표명하고 나섰다. 검찰의 과도한 압수수색으로 도정 업무가 방해받고, 도민 피해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김진욱 경기도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경기도청에 대한 (검찰의) 과도한 압수수색은 이미 그 도를 넘어서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쌍방울 그룹의 대북 송금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수원지검 형사6부(김영남 부장검사)는 이날 수원시와 의정부시에 있는 경기도청 남·북부청사 등에 수사관 등을 보내 관련 자료 확보에 나섰다.

압수수색 대상은 본청사 내 도지사실 및 도지사 비서실, 경제부지사실(옛 평화부지사실), 기획조정실, 북부청 내 제2행정부지사실, 평화협력국, 축산동물복지국, 기후환경에너지국, 직속 기관인 도 농업기술원, 도의회 기재위원회·농정위원회 등 경기도 사무실과 전 경기도 평화협력국장, 전 부지사 비서실장 주거지 등 19곳으로 알려졌다.

"검찰의 과도한 압수수색으로 도정에 막대한 차질"

김동연 경기도지사실과 비서실이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이유는 현재 도지사 비서실장 등이 과거 평화협력국이 있던 경기북부청 업무를 담당했기 때문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수원시 경기도청 남부청사(본청사)는 지난해 5월 수원시 팔달구에서 광교로 이전했고, 이화영 전 평화부지사가 실제 근무했던 장소도 아니라는 점이다.
 
대북송금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22일 오전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근무한 경기도청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압수수색 대상은 이 전 부지사가 근무했던 경제부지사실(옛 평화부지사), 비서실, 평화협력국, 도의회 사무처 등 7∼8곳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경기도청 비서실로 들어서는 검찰 관계자들.
▲ 경기도청 압수수색하는 검찰 대북송금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22일 오전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근무한 경기도청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압수수색 대상은 이 전 부지사가 근무했던 경제부지사실(옛 평화부지사), 비서실, 평화협력국, 도의회 사무처 등 7∼8곳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경기도청 비서실로 들어서는 검찰 관계자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이에 대해 김진욱 대변인은 "특별히 오늘 압수수색에서는 김동연 지사의 PC까지 대상으로 포함했다"며 "김동연 도지사실을 압수수색 하겠다는 것은 상식 밖의 일"이라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작년 7월에 취임한 김동연 지사의 PC가 2020년 1월에 퇴직한 이화영 전 평화부지사와 무슨 상관이 있는 것이냐"며 "경기도청이 작년 5월 광교 신청사로 이전했고, 이화영 전 평화부지사의 재직기간과도 상관없는 곳까지 무차별적으로 압수수색 대상으로 삼은 것은 과도한 수사"라고 성토했다.

김진욱 대변인은 또 "이번 압수수색에는 도지사실은 물론, 3개 부지사실, 기획조정실, 평화협력국뿐만 아니라, 농업기술원, 경기도의회까지 광범위하게 포함되었다"며 "경기도는 그동안 검찰의 수사에 성실히 협조해왔지만 검찰이 수사 중인 혐의와는 무관한 대상과 업무자료들까지 광범위한 압수수색을 실시하는 것은 이례적 일로 도정에 막대한 차질을 빚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대변인은 검찰의 압수수색 대상뿐만 아니라 잦은 횟수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동연 지사 취임 이래 경기도청에 대한 압수수색이 집행기준으로 무려 열세 번째다. 한 달에 두 번꼴"이라는 것이다.

실제 검찰은 지난해 9월 7일 소통협력과 등 4개 부서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8일 평화협력과 등 3개 부서, 14일 경기국제평화센터 등을 잇달아 압수수색했다. 모두 대북사업 관련 수사였다. 검찰은 지난해 10월에도 뇌물·정치자급법 위반 수사 관련 공공기관담당관 등 4개 부서(6일), 비서 채용 수사 관련 인사과 등 2개 부서(7일), 대북사업 수사 관련 평화협력과 등 2개 부서(13일)를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지난해 11월 10일과 22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전 경기도지사) 수사 관련 총무과 등 38개 부서를 압수수색한 데 이어 3개월 만인 이날 다시 광범위한 부서(기관)를 대상으로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벌였다. 경기도청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이 "지나치게 광범위하고 반복적"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경기도청에 대한 검찰의 반복적인 압수수색이 전임 도지사나 부지사가 아닌 김동연 지사를 압박하려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야당 광역자치단체장에 대한 검찰의 무례한 행태를 보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는 김동연 지사에 대한 미운털도 같이 박혀있는 것 아니겠냐"며 "검찰의 과도한 압수수색으로 경기도정이 사실상 멈춰져 있고, 결국 김동연 지사가 일을 못 하게 발목을 잡으려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김진욱 대변인은 "검찰의 과도한 압수수색으로 도정 업무가 방해받고 이로 인해 경기도민의 피해가 발생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며 "경기도정을 위해 헌신하는 공무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려서도 안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대변인은 또 "경기도청은 어려운 민생을 챙기고 도정 발전을 위해 일하는 곳"이라며 "경기도는 오직 민생만을 위해 일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김진욱 경기도 대변인이 22일 오후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검찰의 경기도청 압수수색에 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진욱 경기도 대변인이 22일 오후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검찰의 경기도청 압수수색에 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경기도

관련사진보기

 
한편 이화영 전 부지사는 쌍방울 그룹으로부터 억대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기소 돼 재판을 받고 있다. 검찰은 이 전 부지사가 김성태 전 쌍방울 그룹 회장에게 경기도의 스마트팜 사업비 500만 달러를 북한에 대납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화영 전 부지사는 "쌍방울의 대북 송금이 이뤄진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경기도를 위해 쌍방울이 북한에 금전을 제공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며 "대북 송금이 필요한 경기도의 어떠한 대북 활동도 없다"고 반박했다. 전 경기도 평화협력국장 등 경기도 관계자들도 이 전 부지사의 뇌물 사건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검찰이 제기한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이화영 전 부지사는 지난 2018년 7월 경기도 첫 평화부지사로 취임한 뒤 2년간 대북 교류·협력 사업을 전담했다.

태그:#김동연, #경기도청압수수색, #김진욱대변인, #이화영, #쌍방울대북송금의혹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실 너머의 진실을 보겠습니다. <오마이뉴스> 선임기자(지방자치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