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후 울산광역시 남구 3D프린팅 지식산업센터에서 열린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전략 보고'에 참석, 발언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후 울산광역시 남구 3D프린팅 지식산업센터에서 열린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전략 보고"에 참석, 발언하고 있다.
ⓒ 청와대 제공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직무수행 긍정률)이 7일 발표된 한국갤럽 5월 1주 차 조사에서 다시 30%선을 회복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4일과 6일 이틀 간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에게 전화조사원 인터뷰를 통해 조사한 결과, 직무수행 긍정률은 34%를 기록했다. 전주 조사 당시 기록했던 취임 후 최저치 29%에서 5%p 상승한 결과다. 직무수행 부정률은 전주 조사 대비 2%p 하락한 58%, 그 외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3%, 모름/응답거절 5%).

직무긍정률은 진보성향층, 30대, 광주·전라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응답자에서 상승했다.

우선, 18~29세(아래 20대)의 긍정률은 전주 대비 5%p 상승한 26%로 집계됐다. 40대의 긍정률도 전주 대비 3%p 상승한 46%로 집계됐고, 50대의 긍정률은 전주 대비 9%p 상승한 38%였다. 60대 이상의 긍정률도 전주 대비 5%p 상승한 25%를 기록했다. 다만, 30대의 긍정률은 전주 대비 1%p 하락한 40%였다.

현재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에서는 긍정률 25%, 부정률 57%를 기록했다. 지난주 조사와 비교하면 긍정률이 11%p 상승했고 부정률이 10%p 하락했다. 대통령 직무수행에 대한 중도층의 긍정률도 전주 대비 7%p 상승한 35%를 기록했다. 반면, 진보층의 긍정률은 전주 대비 8%p 하락한 53%로 집계됐다.

직무수행 긍·부정평가 사유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자 340명에게 자유응답으로 평가이유를 물은 결과, '코로나19 대처(32%)'·'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10%)'·'전반적으로 잘한다(5%)'·'복지 확대(5%)' 등이 꼽혔다. 대통령 직무수행 부정평가자 585명에게 자유응답으로 평가이유를 물은 결과에서는 '부동산 정책(23%)'·'코로나19 대처 미흡(17%)'·'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9%)'·'인사 문제(7%)' 등이 꼽혔다.

역대 대통령 취임 4주년 즈음 직무긍정률 중 수치상 가장 높아

이에 대해 한국갤럽은 "(문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부정률은) 4.7 재보궐선거 이후 3주 간 긍정률 30% 내외, 부정률 60% 선에서 답보했으나, 이번 주는 3월 말, 4월 초 수준을 회복해 재보선 여파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한국갤럽은 "역대 대통령 중 취임 4주년 시점 기준 직무수행 긍정률은 김대중 전 대통령 때와 비슷하다"면서 "(직무수행) 부정률은 (문 대통령이) 더 높다"고 밝혔다. 수치상으로는 역대 대통령 중 가장 높은 긍정률이다. 

참고로, 한국갤럽 조사에서 노태우 전 대통령의 취임 4주년 즈음 직무수행 긍정률은 12%(1992년 5월), 김영삼 전 대통령의 취임 4주년 즈음 직무수행 긍정률은 14%(1997년 1월)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취임 4주년 즈음 직무수행 긍정률은 33%(2002년 3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취임 4주년 즈음 직무수행 긍정률은 16%(2007년 1월)였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취임 4주년 직무수행 긍정률은 24%(2012년 2월)였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지난 2016년 12월 탄핵소추안 가결·직무정지로 인해 평가를 중단해 비교할 수치가 없다. 

한편, 이번 조사의 응답률은 15%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및 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태그:#문재인 대통령, #한국갤럽, #국정 지지율, #여론조사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