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언주 국민의당 의원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학교급식 노동자에 “밥하는 동네 아줌마” 발언에 대해 “기자에 전하는 과정에서 오간 사적 대화가 몰래 녹음돼 기사화 된 부분에 강한 유감을 표하지만, 경위가 어찌 됐든 부적절한 표현으로 상처 받은 분들이 계신다며 사적 통화라 하더라도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 '밥하는 동네 아줌마' 발언 사과한 이언주 이언주 국민의당 의원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학교급식 노동자에 “밥하는 동네 아줌마” 발언에 대해 “기자에 전하는 과정에서 오간 사적 대화가 몰래 녹음돼 기사화 된 부분에 강한 유감을 표하지만, 경위가 어찌 됐든 부적절한 표현으로 상처 받은 분들이 계신다며 사적 통화라 하더라도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국민의당 이언주 국회의원(광명을) 막말 파문이 일파만파 확산하는 가운데, 친환경 급식 경기도운동본부 운동(상임대표 구희현, 아래 운동본부)가 11일 오전 이 의원을 강력하게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언주 의원 막말 파문이 일기 시작한 것은 SBS가 이 의원과 SBS 기자가 한 통화 내용을 취재 파일 형식으로 보도하면서부터다. 통화 내용이 공개되자마자 '이언주 의원'은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올랐다.

이언주 의원은 이 통화에서 "그 아줌마들(조리사들)이 뭔데? 그냥 동네 아줌마 거든요, 그냥. 사실 옛날 같으면 그냥 아줌마들 이렇게 해 가지고 조금만 교육시켜서, 시키면 되는 거예요"라고 말한 뒤 "(파업을 하는 비정규직들은) 미친 X들이야, 완전히.. 우리나라는 이래 갖고, 이게 나라가 아냐, 나라가"라고 매도했다.

이에 운동본부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민심은 떠났다, 이언주 의원은 다음 총선에 출마해서는 안 된다"라고 질타하며 "이번 막말 파동은 절대로 묵과할 수 없으며 이언주 의원 본인과 소속정당에서는 반드시 이해할 만한 책임을 져야 한다"라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이어서 "국회의원도 비정규직 조리사, 그냥 밥하는 아줌마, 간호조무사, 요양보호사 등이 내는 세금으로 월급을 받는 시한부 비정규직임을 잊고서 (이 의원이) 분수에 넘치는 막말을 했다"라며 "자신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운동본부는 또한 "학교에서 급식종사원을 존중하고 배려하며 당당한 교육 주체로 인정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며) 급식도 교육이니만큼, (급식 종사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차원에서 호칭부터 조리 선생님, 영양 선생님으로 하자"라고 제안했다.

이어 "교육 가족이, 같은 가족을 존중하지 않으니 자격 없는 정치인이 함부로 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라 지적했다.

운동본부는 "이언주 의원은 우리나라 노동자의 32% (2014년 통계청 발표)를 차지하고 있는 비정규직 국민에 대한 차별적 발언을 해, '모든 국민은 사회적인 신분 등에 의하여 차별을 받지 않는다'는 헌법을 위반했다"라고 비판했다. "이런 의식을 가진 사람이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이라는 게 비통하다"라고 밝혔다.


태그:#이언주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