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올해 7월 인천도시철도 2호선(아래 2호선) 개통을 앞두고 안전 확보를 위한 인력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인천교통공사노동조합(아래 노조)과 '안전한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을 위한 시민대책위(아래 시민대책위)'는 안전을 위해 기술 분야 인력을 증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시는 지난해 8월 2호선 운영인력을 413명으로 확정했다. 366명을 신규로 채용하고, 나머지 47명은 기존 인력에서 재배치하겠다고 했다. 그런데 지난해 12월 총 368명으로 감축하겠다고 해, 안전문제가 다시 불거진 것이다.(관련기사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40443)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 2014년 7월 취임 후 2호선을 261명으로 운영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승무원 없는 운행에 무인역사 운영 계획 등으로 안전 문제가 불거지자, 적정 인력 산출을 위해 인천발전연구원에 연구용역을 의뢰했다.

연구를 마친 인천발전연구원은 안전운영을 위해 안전서비스 189명, 관제 55명, 전로ㆍ선로 보수 186명, 차량정비 46명, 관리 15명 등, 모두 491명이 필요하다고 지난해 발표했다.
이는 노조가 제시한 579명보다 88명 적고, 인천교통공사가 제시한 458명보다는 33명 많은 수치였다. 그 뒤 시는 413명으로 확정한 뒤, 우선 368명만을 채용했다. 나머지 43명은 운영 후 안전성과 '지옥철' 문제가 발생할 경우 추가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구 3호선보다 여객 많고, 대부분 지하역사인데 인력 더 적어

국내 경전철 운영 비교표
▲ 경전철 국내 경전철 운영 비교표
ⓒ 자료제공 인천교통공사노동조합

관련사진보기


시가 운영인력을 413명으로 하겠다고 발표할 때까지만 해도 노조와 시민대책위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시가 무인역사 운영 계획을 철회하고, 개통 후 3개월 가량 열차에 퇴직 기관사를 한시적인 안전요원으로 탑승하게 하겠다는 계획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시가 비록 열차 증대(2량 1편성을 4량 1편성으로)와 기술 분야 인력 확보 요구에 대해서는 확답하지 않았으나, 개통 후 우려되는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점을 좋게 평가한 것이다.

하지만 시는 경영 효율화를 위해서라며 최소 운영인력을 413명에서 368명으로 다시 조정하고, 45명의 채용을 유보하기로 했다. 4개월 만에 운영인력을 45명 감축한 꼴이라, 시민대책위와 노조는 국내의 다른 경전철 운영사례(표 참고)를 들어 2호선의 안전운영을 우려했다.

다른 경전철 사례를 보면, 2015년 5월 개통한 대구지하철 3호선(역사 30개, 길이 23.95km)은 운영인력 398명으로 개통했다. 그 뒤 94명을 증원해 현재 492명으로 운영하고 있다.

시민대책위는 "대구 3호선의 하루 평균 수송인원은 7만 명이고, 인천도시철도 2호선과 달리 모든 역사가 지상에 있다. 2호선의 계획 수송인구는 하루 26만 명이다. 시 추정대로 하루 13만 명이라고 해도, 대구 3호선의 두 배에 달한다. 또, 역사 27개 중 지하역사가 무려 21개다. 대구 3호선도 398명으로 개통했다가 안전을 위해 증원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2호선은 368명이다. 최소한 당초 계획대로 413명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과 한 약속, 반드시 지켜야"

민선5기(송영길) 시절인 지난 2013년 12월, 시와 인천교통공사는 연구용역(Ryan & Co) 결과를 토대로 2호선 운영인력을 416명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민선6기(유정복)에 들어서서 시는 이 인력이 많다고 보고 인천발전연구원에 다시 연구용역을 의뢰했다.

시는 인천발전연구원에 연구용역을 의뢰하기 전엔 261명이면 충분하다고 했다. 그러나 시민대책위와 노조가 안전문제를 제기하자, 인천발전연구원에 연구용역을 의뢰한 것이다. 연구 결과, 시가 주장했던 261명보다 무려 230명이 많은 491명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 뒤 시는 적정 인력을 413명으로 확정했다. 이는 사실상 시민대책위ㆍ인천교통공사노조 등과의 사회적 합의였다.

시민대책위는 "413명은 시민의 안전을 책임질 최소한의 인원이다. 그런데 무슨 근거로 갑자기 368명으로 감축했는지 납득하기 어렵다"며 "유 시장은 시민과 한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술 인력 눈에 안 보이지만, 안전운영에 필수"

2011년 수립한 2호선 기본계획을 보면, 운영인력은 총 261명이다. 이는 2004년 표준지침(KDI 예비타당성 지침 4판)에 의거해 산정한 인원이다. 이 지침을 보면, 2호선은 완전 무인(무인역사, 무인승무)으로 운영하며, 기술 인력에 해당하는 관제ㆍ전로 보수ㆍ선로 보수ㆍ차량정비 등의 근무조는 2개로 돼있다.

그 뒤 2008년 표준지침(KDI 예비타당성 지침 5판)에 따라, 기술 인력 근무조는 다시 3개로 편성된다. 이 경우 완전 무인(무인역사, 무인승무)으로 운행하더라도 340명이 있어야 한다. 즉, 2호선을 완전 무인으로 운영하더라도 관제 87명, 전로ㆍ선로 보수 210명, 차량정비 23명, 관리 20명 등, 모두 340명이 필요한 것이다.

그 뒤 시는 안전문제가 불거지자, 2호선 운영을 무인역사에서 유인역사로 전환했다. 이에 따른 안전서비스팀(역무ㆍ승무) 인원은 135명이다. 그렇다면 완전 무인 기준 340명에 역무ㆍ승무원 135명이 추가됐기에, 475명을 채용하는 게 상식이라는 것이다.

시민대책위는 "승무원을 한시적으로 운영하더라도 역무원이 늘었다. 그렇다면 당초 약속대로 413명을 확보해야 한다. 그런데 채용하지 않고 있다. 368명으로 2호선을 운영한다는 것은 결국 관제ㆍ전로 보수ㆍ선로 보수ㆍ차량정비 등에서 인원을 감축하겠다는 뜻이다. 눈에 보이는 역무원만큼이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술 인력의 중요성을 시는 간과하고 있다. 기술 인력 부족은 시민 안전의 후퇴로 이어질 것이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인천시, #인천교통공사, #인천지하철2호선, #대구3호선, #인천교통공사노동조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