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오후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상황실(일명 지하벙커)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오후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상황실(일명 지하벙커)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청와대가 북한의 4차 핵실험을 사전 인지하지 못하면서 불거진 '안보무능론'에 대해 "결코 그렇지 않다"라고 반박했다.

그동안 군 당국은 북한의 핵실험 징후가 있으면 최소한 한 달 전에는 알 수 있다고 공언해온 바 있다. 그러나 국방부·국가정보원 등 관계당국은 지난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을 미리 감지하지 못했다.

이와 관련,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7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핵실험 징후를 사전에 인지못한 것에 대해 대북정보망이 허술하다는 지적이 있다"는 질문에 "그것은 그렇게 평가할 사안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라면서 이 같이 답했다.

이에 "군에서는 한 달 전에 핵실험 징후를 파악할 수 있다고 공언한 바 있다"는 질문이 재차 이어지자, "그 부분에 대해선 국방부에서 어제 발표한 것으로 안다"라며 더 이상 답하지 않았다. 국방부는 지난 6일 "갱도 되메우기나 계측장비 반입 등 1~3차 핵실험에서 노출됐던 사전징후들이 전혀 식별되지 않았다"라며 사전 인지 실패를 설명한 바 있다.

한편, 청와대는 기존의 대북정책 기조를 수정하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 대변인은 "단기적인 일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일관되게 한반도신뢰프로세스를 추진할 것"이라며 "유연할 때는 더 유연하고 도발할 땐 더 강력하게 대응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어떻게 강경하게 대응할 것인가"란 질문에는 "관계부처에서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답했다. 대북확성기 방송 재개 여부에 대해서도 똑같이 "관계부처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답했다.



태그:#청와대, #북한 핵실험, #대북확성기 방송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장지혜 기자 입니다. 세상의 바람에 흔들리기보다는 세상으로 바람을 날려보내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