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어지럽게 돌아가는 SP음반 위로 조심스럽게 바늘을 올리면, 자글자글 잡음이 양념처럼 얹힌 옛 가요 한 가락이 울린다. 이제는 영화나 드라마에서만 볼 수 있는, 현실에서는 이미 반세기 전에 자취를 거의 감춘 모습이지만, 여전히 그 소리를 찾는 이들이 있다. 옛 가요 사랑모임 '유정천리'. 소박한 동호회로 출발했던 그 모임이 어느덧 여섯 살을 맞아 작지만 단단한 옛 가요 지킴이로 성장했다.

유정천리 소개 팜플렛
 유정천리 소개 팜플렛
ⓒ 이준희

관련사진보기


2009년 11월 2일 '유정천리'의 결성은 우리의 소중한 문화 자산이면서도 온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옛 가요에 대한 안타까움에서 출발했다. 이후 격조 있는 옛 가요의 보전과 보급에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하나둘씩 모여 의미 있는 일들을 이루어 왔다.

결성 당시 이동순 '유정천리' 회장(전 영남대학교 교수)은 "세월에 묻혀 잠시 빛을 잃은 노래를 다시 찾아 닦고, 오래도록 그 울림이 퍼질 수 있도록 다듬어서" 옛 가요의 맛과 멋을 널리 전하자는 다짐을 피력했는데, '유정천리'의 지난 6년 성과를 보면 그 다짐을 실제 이룬 바가 적지 않다.

우선, 창립 기념으로 제작한 옛 가요 명곡 선집을 필두로 <이애리수 대표곡 선집>, <백년의 인물, 백년의 노래 - 탄생 100주년 옛 가요 명인 선집>, <남인수 전집>, <작사가 이부풍 선집>, <반달의 노래 - 진방남 작품집>, <강석연 대표곡집>, <탄생 100주년 옛 가요 명인 선집:박시춘, 조명암, 손목인>, <후지타 컬렉션 20선>, 그리고 최근 <목포의 눈물> 발매 80주년 기념반까지, 많은 옛 가요 복원 음반을 제작했다. 특히 2012년에 만든 <남인수 전집>은 수록 분량이 250곡 정도에 달하는 방대한 양으로, 전례가 없는 역작이었다.

남인수 전집
 남인수 전집
ⓒ 이준희

관련사진보기


복원 음반 외에 2012년부터는 해마다 옛 가요 명인들의 사진과 생몰 정보를 담은 달력도 제작해 왔다. 광복 이전 명가수 24명, 광복 이전 작곡가 12명, 광복 이전 작사가 12명이 수록된 4년치 달력의 면면을 보면, 간단한 인명사전을 보는 느낌마저 들게 된다.

또, 2012년에는 가수 남인수 타계 50주년 기념 전시를 주도했고, 2014년에는 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과 함께 조선악극단 사진전, 한국 대중가요 고전 33선 자료전을 개최하기도 했다. 이 가운데 '고전 33선' 전시는 한국 대중가요 100년 역사의 전반기를 작품 측면으로 정리해서 관련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당시 제작한 전시 도록은 높은 사료적 가치로 옛 가요 애호가들의 환영을 받았다.

그밖에도 '유정천리'는 옛 가요 보급 활동의 일환으로 SP음반에 담긴 명곡들을 원음 그대로 감상하는 축음기 콘서트를 여러 차례 지원, 개최해 왔고, 옛 가요 관련 유적을 직접 살펴보는 답사도 2011년부터 진행해 왔다. 지금까지 목포, 진주, 청송, 영천, 부여, 부산 등지에서 역사적인 노래의 현장을 확인하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되었다.

2013년 유정천리 청송 답사
 2013년 유정천리 청송 답사
ⓒ 이준희

관련사진보기


이처럼 지난 6년 동안 옛 가요로 소중한 시간을 일구어 온 '유정천리'에서 오는 11월 2일 창립 6주년을 맞아 기념 축음기 콘서트를 다시 마련했다. 2014년 전시를 같이 준비한 예술자료원과 공동으로 개최하는 이번 행사에는 '유정천리' 자축의 의미는 물론 옛 가요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과 함께하는 나눔의 의미도 있으므로, 누구든지 참석이 가능하다.

11월 2일 오후 7시에 서울 대학로 예술가의집 1층 예술나무카페에서 열리는 축음기 콘서트에서는 '유정천리' 회원들이 선정한 신청곡, 나누고 싶은 소장 음반 수록곡을 SP음반 원음 그대로 들어볼 수 있다.

또, 옛 가요 원로 명인들을 초청해 그들의 노래를 이야기와 함께' 역시 SP음반으로 들어 보는 순서도 마련되었다. 음악 감상와 아울러 지난 6년 동안 '유정천리'에서 제작한 음반, 달력, 도록 등을 모두 살펴볼 수 있는 작은 전시 관람도 준비될 예정이다.

단순한 옛 노래가 아니라 세대를 뛰어넘는 가치를 지닌 고전 대중음악의 진수를 느껴 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이다. 그리고 한국 대중가요 100년을 눈앞에 둔 지금, 그 의미는 더욱 각별하다.

11월 2일 유정천리 축음기 콘서트
 11월 2일 유정천리 축음기 콘서트
ⓒ 이준희

관련사진보기




태그:#유정천리, #옛 가요, #축음기 콘서트, #예술자료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노래를 찾는 사람, 노래로 역사를 쓰는 사람, 노래로 세상을 보는 사람.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