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언론인과 언론 관련 단체들이 22일 오후 5시 서울 프레스센터 앞에서 '언론정상화를 위한 시민사회 공동대책위원회' 출범대회를 열었다.
 언론인과 언론 관련 단체들이 22일 오후 5시 서울 프레스센터 앞에서 '언론정상화를 위한 시민사회 공동대책위원회' 출범대회를 열었다.
ⓒ 이주영

관련사진보기


'언론정상화를 위한 시민사회 공동대책위원회'(아래 공대위)가 출범했다. 보도 공정성 회복과 해직언론인 복직 등의 문제를 박근혜 정부에서 해결하기 위해 언론인과 언론 관련 단체들이 모인 것이다.

공대위는 22일 오후 5시 서울 프레스센터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비정상적'인 언론환경을 바로잡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앞서 18일 전국언론노조,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 등은 기자회견을 열고 공대위 결정을 제안한 바 있다. 이후 180개 단체가 참여 의사를 밝혀 공대위가 결성됐다.

이들은 이날 결의대회에서 현재 미디어 환경과 관련해 "언론의 방관과 저널리즘의 붕괴 속에 우리사회의 민주주의는 퇴행을 거듭하고 있다"며 "엄정한 중립을 지켜야 할 국가기관들의 조직적 개입으로 빚어진 최악의 관건선거에 대해 언론은 기계적 균형이라는 미명 아래 사안을 축소하기 바쁘다"고 지적했다.

정부와 정치권에서 언론이 제 기능을 하도록 돕지 못하는 것도 문제라고 꼬집었다. 공대위는 "언론을 장악하지 않겠다는 후보 시절의 약속을 헌신짝처럼 내팽개친 박근혜 대통령의 무책임도 도를 넘었다"며 "국회는 방송공정성특별위원회를 만들어 놓고도 탁상공론과 정쟁만을 일삼으며 아무런 성과도 내놓지 않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공대위는 "오늘 모인 언론시민사회는 작금의 언론 상황을 심각한 비정상으로 규정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향후 활동 방향을 밝혔다. 이들은 앞으로 ▲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보도·제작 자율성 제고, 해직언론인 복직 등을 위한 입법 투쟁 ▲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소신과 양심에 따라 일하는 언론인 보호 ▲ 정부의 무분별한 미디어 생태계 파괴 정책 저지, 언론의 공공성·공익성·다양성 회복 ▲ 정상적인 언론 기능을 위한 범국민 캠페인 등을 전개하겠다는 계획이다.


태그:#언론노조, #민언련, #언론정상화를위한시민사회공대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