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2012년 6월 25일은 한국전쟁이 발발한지 62주년이 되는 날이다. 나는 그때 여섯 살 난 소년이었다. 그때의 기억을 더듬어 내가 본 한국전쟁 이야기를 5회 정도 연재하고자 한다. 마지막 회는 최근에 발간된 한국전쟁 당시 프랑스 종군기자(AFP, 르 피가르 소속) 네 명이 야전에서 발로 뛰며 작성해 전송한 기사들을 한데 묶은 <한국전쟁 통신>을 소개할 예정이다.

기사 사이에 소개하는 사진은 기자가 2004년, 2005년, 2007년 세 차례 미국 메릴랜드 주 칼리지 파크에 있는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에서 발굴한 것들이다. 이 한국전쟁 사진 자료 가운데 일부는 이미 오마이뉴스에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이라는 제목으로 30회 연재한 바 있고, 그리고 눈빛출판사에서 <지울 수 없는 이미지 1, 2, 3>,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 장면>, <한국전쟁 Ⅱ> 등의 제목으로 사진집을 펴냈다. - 기자 주

1951.8. 20. 서울 영등포, 어머니가 피난봇짐 곁에서 아이들에게 참외를 깎아주고 있다.
 1951.8. 20. 서울 영등포, 어머니가 피난봇짐 곁에서 아이들에게 참외를 깎아주고 있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입술연지를 새빨갛게 칠한 누이들

1950년 가을, 낙동강 전선에서 인민군들이 물러가자 곧이어 구미역 마루보시(통운) 옆 자리에는 철조망이 쳐졌다. 철조망 안에는 미군부대 퀀셋 막사가 들어서고 미군들이 바글바글하게 주둔했다. 곧 미군부대 철조망 언저리에는 뾰족구두를 신고 입술연지를 새빨갛게 칠한 누이들이 어정거렸고, 구미역 앞에는 미장원이 새로 생겨났다.

그 얼마 뒤 우리 집에서 빤히 보였던 금오산 꼭대기에 날마다 서치라이트가 밤하늘을 갈랐다. 그 불빛은 미군 비행기 향도 등이라고 했다. 그 일로 금오산 꼭대기에도, 산 아래 남통 마을에도 미군들이 막사를 짓고 주둔했다.

고향에 주둔한 미군들은 지프차나 지엠씨 군용 트럭으로 좁은 흙길을 마구 씽씽 달렸다. 이따금 미군 옆자리에는 입술연지를 새빨갛게 칠한 누이들이 앞가슴을 드러낸 채 타고 있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허쉬 초코릿, 지금도 그때의 모양 그대로 미국에 머무는 동안 옛 추억을 되새기며 사서 맛보았다.
 허쉬 초코릿, 지금도 그때의 모양 그대로 미국에 머무는 동안 옛 추억을 되새기며 사서 맛보았다.
ⓒ 박도

관련사진보기



그해 겨울 내가 오줌이 마려워 한밤중에 일어났더니 셋째 고모 친구로 이웃에 살았던 아무개 누이가 수건을 뒤집어쓴 채 아랫목에서 울고 있었다. 이튿날 아침 일어나 보니 그 누이는 그새 보이지 않았다.

나중에야 알았지만 그 누이는 그 무렵 양색시가 되었는데 어머니가 보고 싶어 몰래 집에 왔던 모양이었다. 그런데 그만 아버지에게 들켜 집안 망신스럽다고 머리카락을 가위로 잘리고 온 몸에 피멍이 들도록 매를 맞다가 밤중에 몰래 우리 집으로 도망 왔다는 것이었다.

고모는 그 누이가 새벽 열차로 다시 미군부대 앞 양색시촌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편의를 봐줬다는데 그 일로 우리 집은 그 누이의 덕을 많이 보았다. 나는 허쉬 초콜릿이나 릿츠 비스킷, 그리고 포도나 오렌지와 같은 그 시절 매우 귀한 과일들을 맛볼 수 있었다. 기울어져가던 그 누이 집도 누이가 피엑스에서 빼돌린 미제 물건으로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 누이가 미군과 국제결혼으로 그 집 식구들이 남보다 일찍 미국으로 나돌게 된 것도 모두 그 누이 덕분이었다.

"사람 팔자 알 수 없다."
"침 뱉은 우물 다시 먹는다."
"자식 키우는 사람은 막말 못한다."

이런 일을 눈여겨 본 탓인지 할머니는 옛말을 자주 들먹거리며 늘 사람을 업신여기거나 괄시하지 말라고 일렀다.

 1950. 11. 1. 원산, 한 초등학교 여자아이들이 줄넘기를 하고 있다.
 1950. 11. 1. 원산, 한 초등학교 여자아이들이 줄넘기를 하고 있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책보에 모래와 자갈을 담아 나르다

38선 일대 전방에서는 전쟁은 끝나지 않았지만 나는 여덟 살이 되던 해 구미초등학교에 입학했다. 전쟁 초기에 대부분 공습으로 불타버린 구미초등학교는 대부분 새로 지은 교사(校舍)였는데 상급생들은 목조 건물의 교실을 쓸 수 있었고, 하급생들은 초가지붕의 가교사에서 수업을 받았다. 교실 바닥은 가마니를 깔아 쉬는 시간 아이들이 뛰놀면 폴싹폴싹 먼지로 목이 금세 괄괄했다.

겨울철에는 일주일에 한 번 꼴로 등교 때는 난로용 나무를 가지고 갔다. 너나없이 가난한 시절이라 마른 나무가 귀해 대부분 생나무로 선생님도 학생들도 난로를 쬐기보다 매운 연기로 눈물을 더 많이 흘렸다.

봄이 되자 학교 건물을 새로 짓는다고 하루에 한 차례 씩 개울에 가 모래와 자갈을 책보에 담아 운동장에 날랐다. 지금의 구미초등학교 본관 콘크리트 건물들은 그때 조무래기 초등학생들이 고사리 손으로 모래와 자갈을 힘겹게 날라다 지은 건물이다.

그 시절에는 초등학교조차도 다니지 못한 아이들도 더러 있었다. 도시락도 싸오지 못해 점심시간 우물물로 배를 채우는가 하면, 월사금을 마련하고자 금오산 어귀 산감 몰래 한밤중에 금오산에 올라 가 소나무를 베어 새벽에 내려와 장작을 만들어 장에 팔아 학교를 다니는 친구도 있었다.

학교에서는 점심시간에 굶는 학생을 위해 미국을 비롯한 우방국가에서 보내준 분유를 가마솥에 끓여줬는데, 그것을 먹고 허기를 면하기도 했지만 오히려 설사로 눈자위가 쑥 들어가는 친구들도 있었다.

1950. 8. 4. 어린이들이 미군용 열차로 다가가 "헬로우 기브 미"를 외친 뒤, 미군에게 먹을 것을 얻고 있다.
 1950. 8. 4. 어린이들이 미군용 열차로 다가가 "헬로우 기브 미"를 외친 뒤, 미군에게 먹을 것을 얻고 있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헬로우 기브 미 초코레토!"

선생님들은 수업시간에 미국은 부자나라로 자동차도 몇 해 타다가 그대로 버리고, 풍년에는 밀 값이 폭락한다고 바다에 버린다는, 도저히 믿기지 않는 얘기를 들려주셔서 우리 조무래기들을 별나라 이야기처럼 놀라게 했다. 그때 미국은 지상천국의 부자 나라로 우리 악동들이 마냥 부러워했던 꿈의 나라였다.

그 시절, 책보를 어깨에 메고 학교 오가는 길에 미군 지프차나 지엠씨 군용트럭이 클랙슨을'빵 빵'울리며 무섭게 다가오면, 우리 악동들은 버드나무가 휘늘어진 신작로 길섶으로 급히 피했다. 그리고는 지나치는 차들을 향해 고사리 손을 흔들며 고함을 질렀다.

"헬로우 기브 미 초코레토!"
"씨 레이션 깡통, 껌 기브 미!"

1951. 3. 1. 전주, 미군 부대에서 지내는 두 소년. 그 무렵에는 이들을 ‘하우스보이’라고 하였다. 이들 가운데는 일찍이 입양되어 태평양을 건너기도 하였다.
 1951. 3. 1. 전주, 미군 부대에서 지내는 두 소년. 그 무렵에는 이들을 ‘하우스보이’라고 하였다. 이들 가운데는 일찍이 입양되어 태평양을 건너기도 하였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운수 좋은 날은 코쟁이들이 "헬로우 보이!" 하면서 허쉬 초콜릿이나 릿츠 비스킷, 또는 츄잉 껌이나 통조림 깡통을 던져주었다. 우리 악동들은 길바닥에 떨어진 그것들을 줍고는 흙먼지와 함께 사라지는 차를 향해 합창하였다.

"댕큐 베리마치."
"예스 오케이!"

하지만 그들이 흙먼지만 뿌옇게 날리며 씽씽 그냥 지나가면 고함으로 욕설을 하며 두 손이나 발로 엿이나 먹으라고 손짓 발짓을 하곤 했다.

"갓 댐! 사나가 벤치!"
"양키 갓 댐."

1951. 2. 15. 영등포, 두 소녀가 유엔군한테 선물을 받아가고 있다.
 1951. 2. 15. 영등포, 두 소녀가 유엔군한테 선물을 받아가고 있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할아버지의 마지막 말씀

우리집 논이 구미역을 지난 아래 광평 들판에 있었는데, 그때부터 할아버지는 역 앞 미군부대가 옮겨갈 때까지 그 논에 갈 때는 일부러 그곳을 피해 멀찍이 돌아다녔다. 그리고는 해만 지면 할아버지는 삽짝에다 워낭을 달고서 고모들의 밤나들이를 엄하게 감시했다. 그 무렵 어머니가 젊은 여인들에게 한창 유행인 파머머리를 하자 할아버지는 식음을 전폐했다.

"아버님, 지가 잘못했습니다. 다시는 안 그랄 겁니다."

어머니가 사랑방문 앞에서 싹싹 빈 뒤에야 할아버지는 다시 수저를 들었다. 그 뒤 어머니는 파머가 풀릴 때까지 머리에 수건을 쓰고 지냈다. 혹 고모들이 얼굴이나 손등에다 크림을 바르면 할아버지는 용케 그 냄새를 맡으시고는 집안에서 양내(서양냄새)가 난다고 밥상을 마당에 던져, 집안뿐 아니라 동네 아낙들에게도 세상 물정 모르는 고집불통의 영감으로 불렸다.

우리 악동들은 미군부대 철조망 부근을 어정거리거나 경부선 철길에서 미군열차가 지날 때 손을 흔들면 코쟁이들이 던져준 씨 레이션 깡통을 줍기도 했다. 하지만 할아버지는 장손인 나에게 그런 곳은 얼씬도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랑에 끓어 앉히고는 동몽선습을 펴내놓고'공자 왈 맹자 왈'을 가르쳤다.

"군자는 식무구포(食無求飽)요, 거무구안(居無求安)이라"
"군자는  …  식무구포요, … 거무구안이라"
"군자는 먹은데 배부름을 구하지 않고, 사는데 편안함을 구하지 않는다."
"군자는 먹은데  … 배부름을 구하지 않고, 사는데 … 편안함을 구하지 않는다."

나는'군자'가 뭔지도 모른 채 할아버지가 강독한 대로 앵무새처럼 따라 외웠다. 하지만 할아버지는 날로달로 변해 가는 세태에 손자에게 명심보감 강독도 부질없음을 알고서는 명심보감 강독을 접고는 날마다 폭음하셨다. 술에 만취되면 술기운을 빌어 몇 말씀했다.

"도야."
"예, 할배요."
"니는 잘 모를 거다마는 이번 전쟁은 김일성이와 이승만 때문에 일어났다. 어째든 동 둘이 손잡고 쪼개진 나라를 하나로 합칠 생각은 안하고 서로 소련제 미국제 무기 끌어다가 애꿎은 조선 백성들 마이 죽였다."
"………."
"오늘의 이 일들을 잘 봐 둬라."
"예, 할배요."

그 얼마 후 할아버지는 내 손을 꼭 잡으신 채 깊은 잠에 드셨다. 내가 오늘까지 글줄이나 쓰고 사는 것은 할아버지의 말씀 때문일 것이다.

1950. 9. 30. 진주, 한 소년이 C-Ration 상자를 살며시 들여다보고 있다.
 1950. 9. 30. 진주, 한 소년이 C-Ration 상자를 살며시 들여다보고 있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태그:#한국전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사 은퇴 후 강원 산골에서 지내고 있다. 저서; 소설<허형식 장군><전쟁과 사랑> <용서>. 산문 <항일유적답사기><영웅 안중근>, <대한민국 대통령> 사진집<지울 수 없는 이미지><한국전쟁 Ⅱ><일제강점기><개화기와 대한제국><미군정3년사>, 어린이도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청년 안중근> 등.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