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야, 너 여름휴가 한 번 제대로 즐기고 왔구나. 그래, 얼마나 놀았기에 그토록 새까맣게 탔니?"

휴가철이 끝나는 요즘 우리 집 둘째가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는 질문이다. 수영복 착용 부위와 노출된 부위가 선명한 대비를 이룬 것도 아닌데, 보는 이마다 풍부한 상상력을 동원하여 마구 내뱉는다.

그렇다. 아들은 김씨 가문에서도 손꼽히는, 둘째 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검은 피부의 소유자다. 겨울엔 아주 조금 하얘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도 딱 그 계절뿐이다. 봄부터 햇살이 따가워지기 시작하면 멜라닌이 슬슬 발광을 시작해 여름이면 절정에 다다르니 스트레스도 정점에 이른다. 아, 10살 사내의 인생이 왜 이리 짠하고 힘든 걸까?

둘째는 여름이 두렵다. 어차피 까만 피부라 1년 내내 듣는 소리지만 정말이지 여름이란 계절은 왜 이리도 천천히 지나가는지 모르겠다. 까만 피부가 싫으니 여름에도 특별한 일이 아니라면 반바지는 사절, 맨 살을 드러내는 노출이란 결코 없다. 유난히 까만 허벅지를 드러내는 반바지를 입고 걷노라면 강렬한 여름 햇살이 반사하며 검은 광택을 더욱 빛내주니 오죽 하겠는가?

왠만해서는 다른 사람과 함께 거울을 보지 않는 ‘시커먼스’는 외출 시 옷을 고를 때 왜 이렇게도 안 받는 색이 많은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다.
 왠만해서는 다른 사람과 함께 거울을 보지 않는 ‘시커먼스’는 외출 시 옷을 고를 때 왜 이렇게도 안 받는 색이 많은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다.
ⓒ 김학용

관련사진보기

까마귀도 울고 갈 피부색이다 보니 웬만큼 신경을 쓰지 않는다면 '뽀샤시'한 작품사진을 기대하기란 하늘의 별따기. 오죽하면 카메라의 강제 발광모드로 상시 전환하여 플래시까지 펑펑 터트려야만 할까?
태어나면서부터 유난히 검은 피부를 가지고 태어난 둘째는 어릴 적부터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다. 초등학교 6학년인 형이 평범한 피부를 가진 반면, 유난히도 까무잡잡한 피부를 지닌 둘째는 지극히 동양적인 형의 피부색이 그렇게도 부러울 수가 없었다.

얼마 전 피서를 겸한 외가의 가족모임이 잘 끝나는가 싶더니 결국 막판에 대형 사고가 터지고 말았다. 둘째의 콤플렉스를 잘 아는 내가 미리 신경을 썼어야 하는데 미처 손을 쓰기도 전에 삽시간에 일이 터지고 말았다.

오랜만에 만난 이모부는 "오늘 보니 너 피부 진짜 새까맣네? 하하하! 너, 밭 매다 왔냐?"고 놀려대고 말았다. 걱정인지 비아냥거림인지, 눈치 없는 일행들은 그동안 참았던 속내를 거침없이 터뜨리며 박장대소하고 말았다.

그랬다, 이제 겨우 초등학교 3학년 어린아이가 감당하기엔그 표현이 너무 가혹했다. 친척들의 놀림에 더 이상 버틸 재간이 없었던 둘째 아들은 화장실로 뛰어가 서러운 울음을 참지 못하고 눈시울이 벌겋게 달아올라야 했다.

거무튀튀한 피부가 매력적인 아들의 별명은 역시 '시커먼스'다. 하지만 은근히 외모에 신경을 쓰며 요즘 부쩍 멋을 부리기 시작한 아들은 미용실 가서 머리를 잘라도 무조건 자기방식대로 해야만 직성이 풀린다. 얼굴선을 갸름하고 날렵하게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며 비대칭 머리를 했다가 이것도 싫증이 난다며 부분 염색까지 훌륭하게 소화해 낸다. 그렇게 얼짱 각도까지 예민하게 신경 쓰는 멋쟁이 아들의 피부색으로 인한 콤플렉스는 오죽하겠는가?

절대로 다른 사람과 함께 거울을 보지 않는 '시커먼스'는 오늘도 뽀얀 피부의 외모를 위해 갖은 노력을 다 해보지만 허사다. 외출 시 옷을 고를 때면 왜 이렇게도 안 받는 색이 많은지…. 인터넷 검색결과에서 찾아낸 방법대로 쌀뜨물로 세수도 해보고 엄마가 쓰는 미백크림까지 매일 발라 보지만 별 효과가 없는 것 같다.

그나마 '이효리'라는 '섹시 아이콘' 덕에 조금 수그러들었지만, '검은 피부가 건강하다'는 아빠의 감언이설에 결코 속지 않는다. 물론 '검은 피부의 남자가 남자답고 섹시하다'는 말도 믿지 않기는 마찬가지. 혹시나 해서 "미국 대통령도 검은 피부잖아?" 라고 말하니 돌아온 답변이 걸작이다.

"내가 대통령이야? 오바마는 이제 대통령이니까 피부가 검든 아무런 상관이 없거든? 난 대통령이 아니라고, 그냥 시골 아이라구요….

아빠, 피부가 흰 사람과 나란히 서 있으면 쪽팔린 건 당연한 거 아니에요? 무조건 피부 흰 사람이 승리하는 거잖아요. 피부가 하얀 사람들은 아무리 못생겨도 환한 느낌에 어딘지 멋져 보이지만, 피부가 검으면 왠지 모르게 부족해 보인단 말이죠. 왠지 없어 보이고 촌스러워 보여요.

다들 말로는 검은 피부가 섹시하고 매력적이라고 해놓고선, 정작 자기들은 피부가 검게 변하는 건 싫어하잖아요. 여름 되면 선크림 바르고 난리치면서…. 그러니까 검은 피부가 섹시하고 매력적이란 말, 새카맣게 태우고 싶다는 말, 모두 새빨간 거짓말이지 뭐야."

이미 어린 나이에 인생을 터득한 아들의 마지막 말이 짠하다. 뽀얀 피부는 바라지도 않고 그저 다른 사람들처럼 적당히 가무잡잡하기만 해도 좋겠다는 아들의 이유 있는(?) 항변에 할 말을 잃고 말았다.

뽀얀 피부는 바라지도 않고 그저 다른 아이들처럼 적당히 가무잡잡하기만 해도 좋겠다는 아들의 고민에 그저 짠할 뿐이다. (사진은 7살때 지역 어린이집 대항 축구대회에 출전한 모습으로 주위 친구들과 얼굴색이 확연히 다르다.)
 뽀얀 피부는 바라지도 않고 그저 다른 아이들처럼 적당히 가무잡잡하기만 해도 좋겠다는 아들의 고민에 그저 짠할 뿐이다. (사진은 7살때 지역 어린이집 대항 축구대회에 출전한 모습으로 주위 친구들과 얼굴색이 확연히 다르다.)
ⓒ 김학용

관련사진보기


아들이 10여년을 살아오면서 터득한 교훈은 외모나 사회적 지위가 받쳐 주지 않는다면 까만 피부는 결코 환영 받지 못한단다. 뽀얀 피부야말로 50% 먹고 들어가는 '차세대의 희망'이라 여기고 있는 것이다. 아, 도대체 무슨 말을 해도 통하지 않는 이 아들을 어찌하오리까.

아들아, 하얀 피부 속에 감춰진 검은 탈을 쓴 이중적인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모른단다. 하얀 피부색만이 매력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피부색은 얼마든지 매력이 넘친단다.

대통령이 꿈이라는 우리 아들, 까만 피부의 핸디캡을 열정으로 바꾼 멋진 모습을 쏙 빼닮은 '김바마'는 어때? 혹시라도 그동안 도태되었지만 어딘가에 남아있을 너의 하얀 피부 유전자가 발현되는 이변이 올 수도 있지 않겠니?

덧붙이는 글 | '노출의 추억' 응모글입니다.



태그:#노출, #검은피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살아가는 이야기를 기존 언론들이 다루지 않는 독자적인 시각에서 누구나 공감하고 웃을수 있게 재미있게 써보려고 합니다. 오마이뉴스에서 가장 재미있는(?) 기사, 저에게 맡겨주세요~^^ '10만인클럽'으로 오마이뉴스를 응원해주세요.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