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불법 ARS 여론조사' 의혹 사건으로 거센 후폭풍이 일고 있는 민주당 광주광역시장 경선에 대한 재심 결정이 14일 내려졌다.

 

강운태 후보가 지난 10일 '민주당 광주광역시장 시민공천배심원 경선대회'에서 전체 유효득표율 중 37.80%를 획득하면서 승리(이용섭 후보 37.35%, 정동채 후보 20.2%)했지만 이용섭 후보 측이 제기한 재심요구를 민주당 재심위원회가 "이유있다"며 받아들인 것이다.

 

재심 결과에 따라선 후보자가 바뀔 수 있는 새로운 국면이다. 당원 경선 여론조사가 실시되던 날, 누가, 무슨 목적으로 또 다른 여론조사를 실시해 당원들을 혼란에 빠뜨린 것일까. 

 

만약 특정 후보의 관련성이 입증되면 정치·도덕상의 타격은 물론 형사 책임까지 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 수사의뢰를 한 상태기 때문이다.

 

수사의 핵심 포인트는 여론조사를 의뢰한 인물의 정체를 밝혀내는 일이다. 강운태 캠프 쪽에서는 문제의 여론조사를 의뢰한 인물이 자신의 캠프 간부가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그의 명함엔 강운태 캠프의 정책부본부장이라고 박혀 있다.

 

그는 또 신문사 직원이라고 했지만 민주당 중앙선관위엔 강운태 후보 참관인이라고 강 의원 측이 직접 신고했다.

 

모두 강운태 의원 측이 '불법 ARS 여론조사' 의혹사건과 관련 없다며 해명한 것인데 해명이 되레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쟁점 ①] 의혹의 '불법 ARS여론조사', 누가 의뢰했나

 

이용섭·정동채 후보 측은 당원 경선여론조사가 실시되던 날 실시된 ARS여론조사가 이번 경선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11일 오후 3시 긴급기자회견을 연 전갑길 이용섭 후보 경선준비위원장은 "이 불법여론조사가 민주당 광주시장 후보를 선출하는 당원 전수여론조사가 진행 중이던 8일 오전에 상대후보 지지자들에게 혼동을 초래할 목적으로 집중적으로 진행됐다"며 "이번 경선에서 1위와 2위 간 격차가 0.45포인트로 박빙의 승부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불법 ARS 여론조사가 당락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민주당 선관위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당일 민주당 경선 여론조사를 훼방 놓은 ARS 여론조사는 두 시간여 사이에 광주지역 민주당원 3000건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이중 1500명이 여론조사에 응답했다. 따라서 이 여론조사를 민주당의 여론조사인 줄 착각하고 응답한 당원 일부는 실제 여론조사를 거부했다는 진술도 이 후보 측이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불법 ARS 여론조사' 의혹을 받고 있는 서울의 한 여론조사기관은 줄기차게 자신들은 호남일보의 한 간부와 여론조사 계약을 맺었고, 여론조사 시점도 협의했으며, 당원 명부도 그로부터 이메일을 통해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호남일보의 등기 사장인 엄아무개씨는 "강운태 의원 측이 경비 일체를 대겠다며 여론조사를 의뢰했다"는 내용의 자필 진술서를 썼다. 이에 대해 호남일보의 실질적 사주인 김아무개씨는 "엄 사장이 3월 22일부터 회사에 출근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상의할 수 없다"고 부인했다.

 

그렇다면 모 리서치 회사와 계약을 맺었다는 호남일보 사람은 누구일까? 지금은 잠적한 인물인 임 아무개씨가 논란의 장본인이다.

 

[쟁점 ②] 임아무개씨는 신문사 직원인가, 강운태 캠프 간부인가

 

모 리서치사가 계약을 맺고, 당원명부를 받았다고 한 이는 임아무개(44)씨. 강 의원 측은 몇몇 국회의원실에 돌린 '민주당 광주광역시장 경선결과 강운태 당선자 측 입장'이라는 문건을 통해 "임아무개씨는 정치권에 있다가 3월 중순부터 호남일보 중역실에 근무하는 사람이 맞다"며 호남일보 대표이사 직인이 찍힌 4월 13일 자 재직증명원을 그 근거로 제출했다.

 

하지만 이 재직증명원의 실체에 대해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문제의 재직증명원을 발행한 이는 엄아무개씨로 돼있다. 호남일보 회장이 지난 3월 22일부터 출근하지 않고 있다고 스스로 밝힌 이다. 이 증명원이 발행된 13일 현재 엄씨는 법적 대표이사일 뿐이지 출근을 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누군가 엄씨의 '결재'없이 재직증명원을 발행한 것이다.

 

이와 관련 엄씨는 "본사 직원은 직위에 관계없이 면접을 거쳐 당일 신문 지면을 통해 인사발령 사령을 게시했다"며 "지금까지 호남일보사에 재직해오는 동안 이러한 절차를 무시한 직원채용을 한 사실이 없다"고 즉각 반박했다. 즉 "중역실 직원이라는 임씨를 보거나 채용한 적도 없고", 자신의 명의로 발행된 "재직증명원은 명백한 서류조작"이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이용섭·정동채 후보 측은 "임아무개씨가 강운태 캠프 정책부본부장"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쟁점 ③] 명함에 찍힌 '강운태 캠프 정책부본부장 임아무개'는 누구?

 

실제로 임씨는 자신의 명함에 자신을 '국회의원 강운태 정책부본부장'이라고 밝히고 있다. 명함엔 강 의원의 서울 국회 주소와 연락처, 광주 사무실 주소와 연락처 등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강 의원 측은 "임아무개씨가 호남일보 직원이 아닌 강운태 캠프 사람이란 증거로 명함을 첨부했다고 하는데 이는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 의원 측은 "임아무개씨가 강운태 후보 캠프 요원인 이 아무개(조직담당)와 대학 선후배의 절친한 사이로 캠프에 내왕이 있었다"면서 "그 과정에서 자의적으로 명함을 사용했다"고 해명했다.

 

강 의원 측 주장대로라면 임 아무개씨는 강 의원 측 허락도 없이 스스로 직함을 부여하고, 이를 명함으로 만들어 불특정 다수에게 배포했다. 그리고 임씨는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민주당 후보자 당내경선 강운태 후보 참관인'으로 나타났다. 임씨와 강운태 캠프는 대체 어떤 관계일까?

 

[쟁점 ④] '강운태 후보 참관인'으로 활동한 이는 임아무개 정책부본부장?

 

지금은 잠적 상태인 임아무개씨의 행적이 최후로 확인된 것은 지난 7일과 8일. 임씨는 민주당 광주시장 후보경선 당원전수 여론조사를 위탁받아 실시하고 있던 서울의 한 리서치 회사에 마지막 흔적을 남겼다.

 

당시 임씨의 신분은 '민주당 후보자 당내경선 강운태 후보 참관인'. 임씨는 이용섭·정동채 후보 측 참관인들과 명함을 나누며 서로 인사했다고 한다. 그 당시 임씨가 상대후보 측 참관인들에게 돌린 명함도 '국회의원 강운태 정책부본부장'이 적시됐다.

 

특히 강운태 후보 측이 민주당 중앙선관위에 제출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민주당 후보자 당내경선 강운태 후보 참관인 신고서'에도 임아무개씨는 두 번째로 이름을 올려놓고 있다. 이 임씨와 호남일보 임씨는 동명이인일까.

 

하지만 신고서에 적힌 임씨의 생년월일과 주소는 호남일보가 발행했다고 주장하는 재직증명원에 적힌 임씨의 생년월일과 주소와 같다.

 

임씨는 불법 ARS 여론조사 의혹 사건에 대해 이용섭·정동채 후보측이 항의하던 8일 오후부터 잠적해 15일 현재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한편 민주당 재심위는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조사를 마쳐 그 결과를 최고위원회에 보고하겠다"고 밝혔다. 입을 열면 계속 의혹만 증폭되는 강운태 의원 측의 해명. 민주당 중앙당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태그:#광주시장 경선, #강운태, #이용섭, #민주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