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부 여당이 "사회주의 좌파 정책", "포퓰리즘"이라 반대하는 무상급식. 이를 비웃듯 한나라당 안방인 경상남도가 올해 초·중학교에 무상급식을 100% 실시할 계획이어서 주목된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도 20014년까지 단계적으로 무상급식을 실시할 예정이어서 여당의 반대 주장을 무색케 하고 있다. 그렇다면 국가 의무교육으로서 무상급식이 나아갈 방향은 무엇일까.

 

지난 16일, 해직교사 출신으로 전남시민연대 공동대표이면서 전남도 교육의원 출마를 준비 중인 한창진 예비후보를 만나 무상급식과 관련한 이야기를 나눴다.

 

한 대표는 "정부와 여당이 주장하는 무상급식 반대는 정치적 장난"이라며 "친환경무상급식에서 더 나아가 잡부금 없는 완전무상교육이 이뤄져야 국가 의무교육으로 자리매김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또 "개천에서 용 나지 않는 MB식 교육을 어떻게든 막아야 한다"고 일갈했다.

 

다음은 한창진 전남도 교육위원 예비후보 인터뷰 전문.

 

"무상급식 반대 논리는 술수요, 행정 편의주의"

 

- 정부·여당이 무상급식을 좌파정책으로 비판하는데 이를 어떻게 해석 하는가?

"자신들도 무상급식을 2014년까지 단계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그런데도 여당이 좌파정책으로 매도하는 건 아이들 밥을 가지고 정치적으로 장난치는 것이다. 단계적 실시는 지나치게 행정 편의주의 발상이다. 무상급식을 2014년까지 기다릴 게 아니라 당장 실시해야 한다."

 

- 2014년까지 기다리면 실시 될 무상급식의 전면 실시를 주장하는 이유는?

"어릴 적부터 가난한 아이들 기죽이는 일은 옳지 않다. 지금 무상급식은 농어촌 지역에서 도시로,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단계적으로 대상자를 확대하는 방법으로 진행 중이다. 가장 문제는 도시 빈민층이다. 이들에게 미칠 교육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면 실시가 필요하다."

 

- 무상급식으로 빚어지는 일선 학교 행정의 낭패감 사례는 어떤 게 있는가?

"일선학교도 급식비 미납 처리로 골머리를 앓는다. 급식비 미납자에게 미납 사실을 통지하는 것 자체가 비교육적이어서 교직원들이 애를 먹는다. 급식비 미납 가정에 전화를 해야 하는 것 가지고 교사와 행정실이 눈치를 본다. 도시 학교는 미납액이 몇 백만 원이 되어서 손실처리를 못하고 이월시키고 있다. 또 전학 갈 때 반드시 급식비 미납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급식비를 못내 친구나 학교에 '전학 간다'는 말도 없이 몰래 가는 경우까지 있다."

 

- 무상급식 관련 예산이 교과부, 지자체, 민간지원금 등으로 분산되어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방안은 무엇인가?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도교육청 이전수입과 자치단체의 친환경급식재료비 지원금 등 급식 관련 예산을 통합 관리하면 된다. 여기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업체, 민간인 등 외부 지원금까지 하나로 학교급식 특별 회계 또는 기금으로 조성하는 방법도 있다. 학교와 무관하게 무료급식과 관련한 별도 기구를 만들어 효율적인 급식지원 전담 체제가 이뤄져야 한다. 당장에 실시하려면 나눠져 있는 과목을 정리해 추경을 세우고, 무료급식 특별회계로 처리하는 게 중요하다."

 

'잡부금' 없는 완전 무상교육이 국가 의무교육

 

 

- 정부는 무상급식 예산 수립이 어렵다는 입장인데 예산 마련 방안은?

"예산타령보다 아이들에게 교육적으로 도움이 되는가가 먼저 고려되어야 한다. 예산이 없다고 아이들에게 교육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을 미루는 건 어른들이 할 일이 아니다. 우선 논란이 되고 있는 것처럼 줄줄이 새는 예산을 막아야 한다. 교육청에서 시급하지 않고 불필요한 교구를 구입하여 방치하고 있는데 여기에 들 예산으로 무상급식을 하면 된다. 학생수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시설 관련 예산도 무상급식 예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의무 교육은 무상, 공짜 교육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의무 교육은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가?

"헌법 제31조 3항은 '의무교육은 무상으로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자녀를 학교에 보내지 않은 부모는 법 제재를 받는다. 그런데도 정부는 무상교육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 일례로 우리는 체험학습비, 수학여행비, 졸업앨범비 등을 걷고 있다. 수업료 외의 돈을 요구하는 이런 학습 조건을 없애야 한다. 친환경무상급식에서 더 나아가 수업료, 즉 배꼽보다 더 큰 잡부금 없는 완전무상교육이 이뤄져야 진짜 의무교육이다."

 

- 외국의 의무 교육 사례는 어떤가?

"프랑스,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연필, 노트 등 학습준비물까지 무료로 주고, 체험학습과 수학여행까지 무료로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아이를 학교에 보내지 않을 경우 부모가 처벌을 받는데도 무상 교육을 외면하고 있다. 의무 교육은 부자든 가난한 아이든 마음에 상처 받지 않고 공부할 수 있는 학습조건을 갖춰야 하는 것이다." 

 

"정쟁 대상 된 무상급식, 우리 정치 현주소"

 

- 학교 잡부금을 없애기 위한 예를 든다면?

"학습준비물 예산은 학생 1인당 2만 원 정도 책정되어 있다. 그런데도 학습 준비물을 학생 개개인이 챙기고 있다. 학부모는 학습준비물 지원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또 농어촌 지역 학교에 통학 버스 관리 주체를 교육청으로 돌려 통합 관리하면 체험학습 시 빌리는 차량 임대료를 줄일 수 있다. 이렇게 개선하면 당장 사용할 수 있는 예산 확보가 가능하다."

 

-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

"교육이 바로서야 국가의 미래가 있다고 하지만 말 뿐이다. 의무교육을 하려면 궁극적으로 교육 예산을 늘려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교육과정과 학생 중심 투자보다 공사 중심 시설투자가 우선이다. 이것으론 학교문제를 해결 할 수 없다. 진정한 의무교육이 되기 위해 무상급식을 포함한 잡부금까지도 무료교육이 되어야 함을 잊어서는 안 된다. 어릴 적에 아이들이 받은 상처는 오래 가고 치유되기가 어렵다."

 

한창진 전남도 교육의원 예비후보는 "정쟁의 대상이 된 무료급식이 바로 우리 정치의 현주소다"라며 씁쓸해 했다. 그러면서 "학교에서는 부모의 경제적 사정으로 인한 어떠한 차별도 있어서는 안 되며, 개천에서 용 나지 않는 MB식 교육을 어떻게든 막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후보 역시 어릴 적 찢어지게 가난해 졸업앨범을 사지 못했고, 수학여행도 가지 못했다고 한다. 교사가 된 이후 촌지는 물론 학부모 간식, 화분 하나도 받지 않으려고 애를 쓴 까닭도 여기에 있다고 한다. 무상급식을 넘어 잡부금까지 무료인 의무교육, 우리에겐 아직 먼 것일까?

덧붙이는 글 | 다음과 SBS에도 송고합니다.


태그:#무상급식, #의무교육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