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40여 일간 탤런트 고 장자연씨 자살 사건이 한 단계 마무리되자 <조선일보>와 <한겨레>가 지면 논쟁을 벌이고 있다.

 

<조선일보>는  경찰이 24일 '장자연 리스트' 수사와 관련해 총 9명을 입건하고 장씨의 유족들이 성매매 혐의로 고소했던 <조선일보> 임원은 제외되자 25일 "본사 임원 '장자연 사건과 무관' 밝혀져"(1면), "누군가를 조선일보 임원인 것처럼 소개…경찰, 제3인물 추적"(8면), "루머로 인격 살인"(8면) 따위 기사를 통하여 특정 임원이 면죄부를 받았다고 크게 보도했다.

 

특히 <조선일보>는 '조선일보의 명예를 훼손한 49일간의 비방 공격'이라는 사설에서는 특정 임원 이름을 보도한 언론사들 이름을 거론하면서 거의 '협박' 수준으로 강하게 비판하면서  "조선일보는 이 악의적 세력에 대해서는 법적 책임을 엄격히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는 먼저 "경찰은 유씨가 장씨가 자살하기 전 어떻게 문건을 일부 언론과 연예인들에게 유출시켰는지는 밝혀내지 못했다"면서 경찰의 수사 능력을 지적하고 "경찰은 지금부터 장씨를 비롯한 여러 연예인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던, 배우 출연·TV 프로그램 제작 지원 등과 관련해 벌어지고 있는 착취와 상납의 고질적 비리들의 실체를 끝까지 철저히 파헤쳐야 한다"고 수사 의지를 촉구했다.

 

이어서 "일부 언론과 운동단체가 조선일보의 명예를 훼손하려고 벌였던 갖가지 보도 수법과 시위 양태를 되짚어보지 않을 수 없다"고 하여 <조선일보>가 하고 싶은 말을 쏟아냈다.

 

경찰 발표를 보면 "'조선일보 특정 임원'과 관련해 장씨 전화 3대와 기획사 대표 김씨 전화 3대의 1년 통화내역 5만여건을 대조한 결과 이 임원과 단 한 건의 통화도 없었으며, 이 임원의 행적 기록과 증인의 증언을 대조한 결과 이 임원이 장씨를 알지도 않고 만난 적도 없다고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일부 언론과 세력들은 수사를 통해 이 인사의 결백이 밝혀지기 전까지의 기간을 최대한으로 악용해 어떻게든 조선일보와 이 인사의 명예에 상처를 주기 위해 온갖 탈선적 보도와 음해 시위를 벌였다"고 분노했다.

 

<조선일보>가 지적한 일부 언론과 일부 세력은 <KBS>, <MBC> 신경민 앵커, <한겨레>, <오마이뉴스>, <서프라이즈>와  민주당 이종걸 의원,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이다. <조선일보>는 "이 악의적 세력에 대해서는 법적 책임을 엄격히 물을 것"이라고 하여 40여일 동안 쌓인 앙금이 적지 않았음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조선일보는 장씨를 죽음의 길로 내몬 연예계의 검은 비리를 햇빛 속에 드러내 제거하기 위한 보도에 더 한층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라고 하여 진실을 밝히기 위한 결연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조선일보>가 자사 특정임원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언론사들을 강하게 비판하자 <한겨레>는 27일 적극 반박 보도를 냈다. 먼저 '조선일보'의 균형 잃은 장자연사건 보도·논평'이라는 사설을 통해서 "지난 주말 중간 수사 결과가 발표된 장자연씨 자살 사건과 관련한 <조선일보> 보도와 사설은 균형을 잃었다"고 비판했다.

 

 

사설은 <조선일보>가 "한겨레신문은 수사 초기 단계부터 조선일보 특정 임원에 대한 의혹이 해소돼가자 '경찰이 유력 언론사 대표는 빼놓은 채 다른 사람만 처벌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며 아직 나오지도 않은 수사 결과를 놓고 미리 의혹이 있다는 식으로 보도했다"는 사설은 온당하지 않다고 했다.

 
온당하지 않는 이유는 "경찰은 이 임원을 조사한 것이 수사 결과 발표 전날"이므로 "조사도 하지 않고 어떻게 의혹이 해소돼 갔다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면서 "취재에 바탕한 보도와 주장을 근거 없이 헐뜯는 것이 바로 명예훼손"이라고 명예훼손 운운하는 <조선일보>를 비판했다.
 
사설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더 큰 문제는 이 신문이 특정 임원과 신문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최근 <조선일보> 김대중 고문이 칼럼에서 "조선일보 고위 인사가 온당치 않은 일에 연루된다면 그것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조선일보 전체 기자와 직원, 나아가 조선일보라는 신문 자체의 존재 가치에 관한 문제라고 주장했다"는 것을 비판했다.
 
이는 "신문 전체가 특정 임원의 개인적 행위에 공동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은 의식의 착종이 아닐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하면서 이런 착종부터 바로잡는 것이 <조선일보>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라고 했다.
 
사설뿐만 아니다. 사회면(10면) "조선일보 '제 논 물대기' 장자연씨 보도' 기사에서는 <조선일보>가 '고위임원 아들 술자리'엔 침묵하면서 일부 언론들이 특정임원 이름을 보도한 것을 "악의적 명예훼손" 운운한 것은 정당성을 잃었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의 특정 임원 명예 지키기든, <한겨레>의 진실보도이든 두 신문사의 논쟁은 환영할만 하다. 그냥 파묻혀 버릴 수 있는 고 장자연씨 사건을 두고 지면 논쟁함으로써 진실이 밝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명심할 것은 진실만을 밝히겠다는 의지이다. 진실을 덮기 위해 특정인 명예훼손 운운하는 일은 언론이 갈 길이 아니다. 지면 논쟁으로만 머물 것이 아니라 경찰이 밝혀내지 못한 진실을 두 신문사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언론이 고 장자연씨 사건 진실을 밝혀내어 살아 있는 언론을 확인하는 날이 하루 빨리 오기를 바란다.


태그:#한겨레, #조선일보, #장자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당신이 태어날 때 당신은 울었고, 세상은 기뻐했다. 당신이 죽을 때 세상은 울고 당신은 기쁘게 눈감을 수 있기를.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