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명박 정부 눈에는 지역언론은 보이지도 않는다."

 

언론장악저지 경남연대는 8일 오후 창원노동복지회관 소회의실에서 "이명박 정부의 지역언론 정책을 말한다"는 제목으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는 정재준 KBS창원노조 지부장의 사회로 열렸으며, 발제․토론자 모두 이명박 정부의 언론정책에 대해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김훤주 언론노조 경남도민일보지부장은 이명박 정부의 미디어 정책에 대해 "재벌의 방송시장 진출과 조중동-재벌의 짝짓기를 통한 방송시장 진입"이라고 설명했다. 김 지부장은 "재벌방송은 시청자의 이익보다는 자기와 특수한 관계에 있는 그런 기업의 이익을 대변하여 여론과 시장을 왜곡할 개연성이 아주 높다"고 밝혔다.

 

김 지부장은 "재벌은 돈을 내고 조중동은 그동안 쌓아온 기술과 경험, 컨텐츠를 밑천으로 내놓는 식이 되지 싶다"며 "채널이 하나 늘어나는 만큼 독자들의 지역신문 외면이 더 커질 개연성이 높고 마찬가지 채널이 하나 늘어나면 광고 수주가 일정하게 줄어들 개연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명박 정부의 언론정책에 대해 그는 "어느 일방의 파멸을 전제함이 분명하며, 공익적 연계 판매의 소멸과 지역방송 등의 몰락이다"며 "지역과 소수의 목소리를 지상파 방송에서 들을 수 없게 된다"고 우려했다.

 

그는 "공익적 연계판매제도가 깨어지면 지역 방송은 어쩔 수 없이 광고판매 관련 부서를 만들고 좁디좁은 지역광고 시장으로 꾸역꾸역 진입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지역 신문들이 차지하던 영역을 때로는 조금씩 때로는 한꺼번에 가져갈 것이며, 이는 지역신문에게는 생각조차 하기 싫은 국면이다"고 밝혔다.

 

"지역방송이 뿔났다"는 제목으로 발제한 오정남 마산MBC노조 위원장은 “양극화의 완충지대인 교육․의료․언론분야가 기초부터 허물어지고 있다"며 "특히 언론분야는 자율성과 독립성, 여론다양성의 개념보다 경쟁과 효율 등 시장주의의 개념을 앞세운 정치논리가 공익성을 짓누르고 있다"고 말했다.

 

오 위원장은 "인수위 시절, 언론사 간부들의 성향을 파악한 문건이 공개되면서 드러난 언론 장악 음모는 시나리오 차원에 머물지 않고 현실화되고 있다"며 "촛불문화제 강제진압은 20년 전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듯했던 ‘공안정국’이라는 괴물을 되살리며 역사를 거꾸로 돌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명박 정부의 언론정책에 대해, 그는 "결국 정권의 통제 아래에 들어가느냐, 자본의 품속에서 스스로를 통제 하느냐 하는 선택의 문제로 몰아가려는 방송장악의 음모로 밖에 볼 수 없다"며 "보수 정권의 견제를 무력화시키고 집권 연장의 꼼수다"고 밝혔다.

 

 

토론자들도 이 정부의 언론정책에 대해 비판했다. 안차수 경남대 교수는 "정부의 언론장악을 어떻게 막아내느냐가 앞으로 우리 사회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 교수는 "지금까지 지역언론은 시혜의 대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데, 지역언론은 균형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그것은 헌법에 보장된 것으로 지역언론은 시혜의 대상이 아니고 당연한 권리다"며 "현재 이명박 정부의 언론정책대로 한다면 지역방송이 죽는 길은 시간문제다"고 말했다.

 

김성대 민주노총 경남본부 사무처장은 “이명박 정부의 언론장악 음모를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며 “이 정부가 하자는 대로 할 경우 언론 노동자들의 고용악화가 심화되고, 노동강도는 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언론의 본래 기능인 감시와 견제를 제대로 할 수 있을 지 걱정이며, 문화의 다양성과 프로그램의 질 저하, 국민의 알권리 실종 등이 닥칠 것"이라며 "언론장악은 이명박 정부의 장기집권을 위한 터 잡기이며, 언론 관련 단체들이 수세적으로 대응할 것이 아니라 적극 공세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경옥 경남여성회 회장은 "지역민과 함께 만들어 가는 방송이 필요하며, 방송사에도 작가 등 비정규직이 많은데 그런 문제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면서 "이 정부의 언론장악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좀더 강력한 연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종은 경남정보사회연구소 소장은 "'촛불은 소통이고 이명박은 먹통'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언론은 소통이고 소통의 도구가 되어야 한다"면서 "이명박 정부는 언론을 소통의 도구로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홍보수단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이 정부는 언론도 중심에서 성장하고 지역은 떡고물을 나눠 먹는 정도로 생각한다"며 "지역에서도 다양한 소통 방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태그:#지역언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