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광주시청 광장에 서서 공연을 기다리며 바라본 노을이 환상적이어서 담아보았다.
▲ 광주시청 앞 광장에서 바라본 노을 광주시청 광장에 서서 공연을 기다리며 바라본 노을이 환상적이어서 담아보았다.
ⓒ 김영학

관련사진보기


지난주 토요일(8월 28일) 광주시청 광장에서 열린 '국치 100년 기억 친일음악회'에 다녀 왔다. 하늘도 국치일을 슬퍼하는지 비가 추적추적 내려 야외행사를 하기에는 마땅치 않았지만, 성악가들의 노래는 어느 때보다 가슴에 와 닿았고 청중의 열기는 뜨거웠다.

비가 온 탓에 행사관계자들이 객석을 무대 위로 올려 정비하고 있다. 이날 무대 정비는 광장음악회 동호회원과 민족문제연구소 회원들이 수고해 주었다.
▲ 무대 원경 비가 온 탓에 행사관계자들이 객석을 무대 위로 올려 정비하고 있다. 이날 무대 정비는 광장음악회 동호회원과 민족문제연구소 회원들이 수고해 주었다.
ⓒ 김영학

관련사진보기


이번 음악회는 기자가 동호회 회원으로 활동하는 '광장음악회'가 주최한 행사이다. '광장음악회'는 성악가 정찬경씨가 주도하여 광주 금남로 근린공원에서 매달 한 번씩 무료공연을 하는 음악행사 이름이자 동호회 명칭이기도 하다. 공연을 올릴 때는 동호회 회원들이 악기를 나르고, 객석을 정리하고, 사진을 찍어 올리는 등 여러 방면으로 도움을 준다.

무대 좌우로 빙 둘러 친일음악인의 비위를 고발하는 입간판을 세워 놓았다. 행사 공동 주최측인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 회원들이 우리 역사 바로 알기 캠페인 차원에서 준비한 것이다.
▲ 친일음악인을 알리는 입간판 무대 좌우로 빙 둘러 친일음악인의 비위를 고발하는 입간판을 세워 놓았다. 행사 공동 주최측인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 회원들이 우리 역사 바로 알기 캠페인 차원에서 준비한 것이다.
ⓒ 김영학

관련사진보기


이번 행사의 취지는 경술국치 100년을 맞아 친일음악인의 과오를 비판하고 일제에 항거한 우리 작곡가의 노래를 알리려는 것이다. 말초 신경만을 자극하는 무국적의 노래가 범람하는 우리 음악계의 풍토를 생각하면 소중한 음악회라 할 수 있겠다.

배의 형상을 본 뜬 청사라는데도 청사 앞을 지날 때마다 위축감이 드는 건 왜일까? 행여 대포를 장착한 구축함의 위용 탓인지는 모르겠다.
▲ 공연장을 뒤에 두고 바라본 광주광역시청 배의 형상을 본 뜬 청사라는데도 청사 앞을 지날 때마다 위축감이 드는 건 왜일까? 행여 대포를 장착한 구축함의 위용 탓인지는 모르겠다.
ⓒ 김영학

관련사진보기


일제에 항거한 노래 뿐 아니라, 일제 강점기 동요와 대중가요까지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였다. 이들 노래들은 한결같이 시대의 아픔과 정서를 담고 있어 오늘날 들어도 당시의 시대 분위기를 느낄 수 있어 좋았다. 대중이 생활고 때문에 신음하는데도 사랑타령만 늘어놓는 지금 대중가요와는 차원이 다른, 너무나 인간적인 노래라고나 할까?

성악가들이 '독립군가'를 부르며 우리 선열들의 조국애를 알렸지만 무대 규모에 비해 청중의 숫자가 적어 아쉬움이 남는 행사였다.
▲ 무대 우측에서 바라본 전경 성악가들이 '독립군가'를 부르며 우리 선열들의 조국애를 알렸지만 무대 규모에 비해 청중의 숫자가 적어 아쉬움이 남는 행사였다.
ⓒ 김영학

관련사진보기


이번 음악회를 통해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웠던 '선구자'와 '봉선화' 등이 친일작곡가들의 노래라는 사실과 '퐁당퐁당'과 '학교종'이 일본식 장단과 음계로 작곡된 동요라는 것도 알게 되어 씁쓸했다.

친일 작곡가 홍난파의 '봉선화'를 부르는 소프라노 김혜미씨
▲ 소프라노 김혜미 친일 작곡가 홍난파의 '봉선화'를 부르는 소프라노 김혜미씨
ⓒ 김영학

관련사진보기


음악회를 참관하면서 그동안 일제에 항거한 작곡가의 노래보다 일제에 동조한 음악인의 노래를 애호해오지 않았나 하는 자괴감에 빠져들기도 했다. 이는 우리 제도권에 친일음악인들이 득세한 것이 일차적인 원인이겠지만, 친일 노래를 문제의식 없이 향유해 온 우리에게도 잘못은 있다고 생각한다.

맨 우측에서 노래하는 이가 광장음악회 단장인 정찬경 교수이고 그 옆으로 메조 소프라노 신은정, 소프라노 이환희, 김혜미, 테너 이상화씨이다.
▲ 음악회에서 노래하는 성악가들 맨 우측에서 노래하는 이가 광장음악회 단장인 정찬경 교수이고 그 옆으로 메조 소프라노 신은정, 소프라노 이환희, 김혜미, 테너 이상화씨이다.
ⓒ 김영학

관련사진보기


비록 소수의 성악가와 청중이 함께한 음악회였지만 이런 행사가 씨앗이 되어 건전한 음악문화 풍토가 정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 행사를 주최한 광장음악회와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 여러분에게 늦게나마 고마움을 전한다.

'광장음악회' 단골 사회자로 문화칼럼니스트 겸 문화기획자이다. '광장음악회' 동호회 회원이고 무보수로 참여하고 있다.
▲ 사회자 한유진 '광장음악회' 단골 사회자로 문화칼럼니스트 겸 문화기획자이다. '광장음악회' 동호회 회원이고 무보수로 참여하고 있다.
ⓒ 김영학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주최: 광장음악회,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
주관: 꿈꾸는 예술



태그:#친일음악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