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국 17개 의제별 연대기구와 73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여 구성된 '2024 총선시민네트워크(약칭 2024 총선넷)'가 31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출범기자회견을 열고 활동을 시작했다
▲ 2024 총선넷 출범 "위기와 혐오를 넘어 희망의 정치로" 전국 17개 의제별 연대기구와 73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여 구성된 '2024 총선시민네트워크(약칭 2024 총선넷)'가 31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출범기자회견을 열고 활동을 시작했다
ⓒ 총선넷

관련사진보기

 
오는 4월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전국 73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2024 총선시민네트워크'(아래 총선넷)가 1월 31일 출범했다.

전국 17개의 의제별 연대기구와 73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총선넷은 31일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출범식을 갖고 "우리 사회에 만연한 위기, 혐오 정치를 끝내고 희망의 정치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총선넷에는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 등 전국 17개 의제별 연대기구와 경실련, 참여연대, 환경운동연합 등 73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했다.

총선넷, '2024 기억, 약속, 심판' 슬로건 아래 적대·절망의 정치 거부 운동 표방

총선넷은 모든 참가 단체와 연대기구 대표가 참여하는 대표자 회의를 두고 총선넷 운영과 사업 집행을 책임지는 단위로 운영위원회를 설치했다. 공동운영위원장에는 김성달 경실련 사무총장, 이지현 참여연대 사무처장, 오경진 한국여성단체연합 사무처장, 정규석 한국환경회의 운영위원 및 상황실장이 각각 맡았다.
 
총선넷 공동운영위원장에 김성달 경실련 사무총장, 이지현 참여연대 사무처장, 오경진 한국여성단체연합 사무처장, 정규석 한국환경회의 운영위원 및 상황실장이 각각 맡았다.
 총선넷 공동운영위원장에 김성달 경실련 사무총장, 이지현 참여연대 사무처장, 오경진 한국여성단체연합 사무처장, 정규석 한국환경회의 운영위원 및 상황실장이 각각 맡았다.
ⓒ 총선넷

관련사진보기

 
총선넷은 지난해 12월 말, 경실련,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참여연대,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환경회의가 제안해 참여연대에서 간담회을 열고 총선넷 구성의 논의를 시작했다. 이어 올 1월 9일과 23일 준비위원회를 열고 주요 활동방향을 조각해 왔다. 총선넷 슬로건은 '2024 기억, 약속, 심판'으로 전했다.

총선넷은 오늘 출범 선언을 통해 "총선을 앞두고 투표를 해야 할지, 어떤 선택을 해야할지 모르겠다는 목소리가 많다. 저마다 표를 달라고 하지만 우리 사회가 직면한 복합위기를 극복하고 혐오와 퇴행을 넘어서기 위한 진지한 대안을 제시하는 정당이 없기 때문"이라며 출범의 배경을 설명했다.

21대 현역 의원 대상 공천부적격자 발표 및 낙선명단 발표 예고

총선넷은 또 "윤석열 정부의 실정과 퇴행, 일방적인 국정운영은 임계점을 넘었고 국민의힘은 대통령 눈치만 살피며 거수기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과반을 차지한 민주당의 개혁은 흐지부지하고 정부여당의 규제완화 움직임에 편승하기도 했다"며 "적대와 절망의 정치를 거부하고 희망의 미래를 만들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을 무엇이라도 하겠다"고 밝혔다.

총선넷은 향후 활동방향으로 위기와 혐오, 퇴행에 앞장서온 이들을 심판하고 정당을 떠나 부적격 후보가 공천되지 않도록 요구하며 생태와 평화, 인권과 민주주의, 경제민주화와 안전한 사회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겠다고 선언했다.

총선넷은 2월 중순, 21대 현역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1차 공천부적격자를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이어 2월말에는 총선 대응 정책공약 발표와 함께 2차 공천부적격자도 발표한다. 3월에는 낙선명단 발표와 유권자가 뽑은 '최악의 후보' 온라인 투표도 실시한다.

태그:#총선시민네트워크, #총선넷, #정치개혁, #공천부적격자, #낙선명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학부와 대학원에서 모두 NGO정책을 전공했다. 문화일보 대학생 기자로 활동했고 시민의신문에서 기자 교육을 받았다. 이후 한겨레 전문필진과 보도통신사 뉴스와이어의 전문칼럼위원등으로 필력을 펼쳤다. 지금은 오마이뉴스와 시민사회신문, 인터넷저널을 비롯, 각종 온오프라인 언론매체에서 NGO와 청소년분야 기사 및 칼럼을 주로 써오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