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 사진은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 사진은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본인의 '민주유공자법(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안) 셀프심사' 논란에 "나는 (민주유공자법) 대상자가 아니다"라면서 적극 해명에 나섰다.

그는 27일 원내대책회의 후 브리핑 때 "(저와 관련한) 언론 보도가 있어서 바로잡기 위해 자청해 나왔다"면서 말문을 열었다. 바로 <조선일보> 보도다. <조선일보>는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이 해당 상임위에서 논의 중인 민주유공자법이 정하고 있는 '유공 대상자'"라면서 자신이 혜택을 받을 법안을 자신이 심사·결정하게 됐다는 '셀프 심사' 논란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민주유공자법을 발의한) 우원식 민주당 의원의 (법률)안을 보면,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상해를 입은 사람의 정의는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심의·결정된 사람 중 장애등급 판정을 받은 사람'"이라며 "저는 1990년 노동절 100주년 시위 때 경찰에 잡혀 집단 폭행으로 전치 6주를 받았지만 (장애등급이 아닌) 등급 외 판정을 받아 우원식 의원 법안에 따른 (유공) 대상자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해당 <조선일보> 기사를 "민주당에 '셀프 입법'이라는 프레임을 씌우기 위해 만들어진 기사"라고 비판했다.

"혜택 볼 가족이나 당사자도 없는 유공자도 있는데 정쟁이 되는 현실"

특히 김 의원은 민주화운동 과정 중 숨진 지인의 사례를 거론하면서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민주유공자법을 '셀프 입법'이란 프레임으로 바라보지 말고, 민주화운동 과정 중 다치거나 숨진 이들의 '명예'라도 돌려주자는 입법 취지를 온전히 바라봐 달라는 호소였다.
 
"제 친구 중에 조정식이라고 있습니다. 학번도 82학번이고 서울대 물리학과에 수석으로 입학했다고 합니다. 학생 운동, 민주화운동에 참여했고 졸업 후 노동 운동을 하다가 검거돼 3년형을 살고 나왔습니다.

그후 성수동에 조그만 공장에서 신분을 숨기고 살다가 날아온 쇠공구 맞아서 그 자리에서 사망했습니다. 그런데 이 조정식은, 그냥 일하다 죽은 산재 사망자로 남아있습니다. 똑같이 민주화운동을 했고 힘 없고 가난한 노동자들과 함께하겠다고 했던 희생자가 아무런 특혜도 못 받고 있는 거죠."
 
김 의원은 "조정식은 결혼하지 못 했고 자식도 없고 본인은 죽었다. 혜택을 볼 가족이나 당사자가 없다"며 "그러나 (그런 그를 민주유공자로 인정해주자는) 뜻마저 정쟁이 돼 버리는 게 국회의 현실"이라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누구든 박종철, 이한열, 전태일은 인정한다고 한다. 그러면 이들을 인정하는 법을 만들면 된다"며 "민주주의를 누리고 있는 대한민국에서 그들의 희생을 기리는 민주화유공자법을 만들어야 한다는 게 유가족들의 간절한 소망이자 동시대를 살았던 민주주의자들의 역할이라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을 맺었다.

한편, 민주유공자법은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및 '5.18 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을 통해 유공자로 인정받고 있는 4.19혁명이나 5.18민주화운동 참여자들 외에도 박종철·이한열 열사 등 다른 민주화 운동 관련자들도 유공자로 인정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1960~1990년대 활동한 민주화 운동가 중 요건에 맞는 이들을 유공자로 예우하고 본인 또는 가족에게 교육·취업·의료 등 보훈 혜택을 지원하는 내용도 있다.

이 때문에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던 국회의원들에 대한 '셀프 특혜 입법'이란 반발을 받아 여러 번 좌초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논란이 됐던 대입 특별전형과 채용 가산점 내용을 제외했다.

태그:#김성주, #더불어민주당, #국가유공자법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안녕하세요. 오마이뉴스 류승연기자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