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인천의 국악 이야기는 다른 문화·역사에 비해 덜 알려진 편이다. 인천시민들의 가슴속에서 울고 웃고, 신명나게 놀았던 인천국악의 숨은 이야기들을 연재한다.[기자말]
항도백화점 예전 모습
 항도백화점 예전 모습
ⓒ 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항도백화점(경동 172번지)은 인천 싸리재에 있던 백화점이다. 이곳은 1954년에 개업했고, 인천에서 가장 오래된 백화점이다. 일 년 정도, 영업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에도 인천사람들은 여기를 항도백화점이라고 불렀다.

항도백화점은 이후 어떻게 활용됐을까? 1층은 업종이 바뀌었다. 싸리재가 인천의 가구 거리로 불리었기에 항도백화점도 가구점일 때가 많았다. 2층과 3층은 입시학원으로 활용됐다.

인천중학교와 제물포고등학교 등 명문 중·고를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이 공부하러 이 건물에 모여들었다. 내 누이(1953년생)도 여길 다녔다. 이 건물의 2층과 3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매우 어두웠다. 오래전 여길 기억하는 어른도 그렇다고 하니, 당시 나 같은 미취학 아동은 어떻겠는가? 도저히 계단 위로 올라가는 걸 엄두도 못 내고, '과외'하러 간 누나가 빨리 내려와 주길 바라면서 계단 입구에서 떨며 기다렸다.

누나가 내려오면 근처 율목동으로 올라가는 길에 있던, 용일당과 인천도나스에 들려 누나와 함께 '도나스'(도넛)를 먹고 싶은 마음이었다. 인천토박이들은 '인도집'(인천도나스)을 기억한다. 장사가 참 잘 됐다. 중·고등학교에서 좀 떨어져 다소 후미진 장소여서 생활지도선생님이 나타나지 않을 거라는 지리적 이점도 있었고, 무엇보다 입시학원(항도백화점)에서 매우 가까웠다.
 
이명숙 중앙무용학원 원장. 그는 박문초등학교에서도 무용을 가르쳤다.
 이명숙 중앙무용학원 원장. 그는 박문초등학교에서도 무용을 가르쳤다.
ⓒ 윤중강/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그러다가 1968년 중학입시가 폐지되면서, 이곳은 중학교 입시학원 건물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했다. 그 이후는 어떻게 변했을까? 여기서 노랫소리가 들리고, 장구소리가 들렸다. 무용학원시대가 열린 것이다. 가장 오래 있었던 것은 중앙무용학원(경동 172번지)이 아니었을까?

항도백화점과 중앙무용학원은 같은 주소였고, 사람들은 이 무용학원을 '삼익가구 3층'이라고 알려줬다. 1980년대 중반까지는 이곳이 무용학원이었다. 이명숙 원장은 예전 박문학교 교사였다. 박문초등학교에서도 무용소녀들을 지도해서 이름을 날렸다.

중앙무용학원에서는 한국·현대무용, 발레를 두루 배울 수 있었고, 인천시가 주최하는 무용제에 모두 참가했다. 인천이 직할시로 승격(1981년)된 후, 대규모의 무용제가 시민회관(주안)에서 열렸다. 중앙무용학원 출신과 현재 다니고 있는 무용소녀들은 이명숙 원장의 지도하에 함께 참가했다.
     
인천시립무용단과 윤성주

그런데 이 장소와 연관해서, 매우 재밌는 사실 하나가 있다. '우연같은 필연'이라 해야 할까? 한국의 유명 무용가가 이 장소(항도백화점)와 연관된 집안의 가족이었다. 현재 인천시립무용단의 예술감독은 윤성주다. 그는 국립무용단에서 주연 무용수를 거쳐, 국립무용단의 예술감독을 지낸 분이다. 다른 안무가와는 다르게, 윤성주는 대본과 연출도 직접 담당하고 있다.

그가 2018년 하반기 연출한 공연작 '비가'(悲歌, 윤성주 대본·연출·안무)는 그리스 오이디푸스를 모티브로 한 대작이다. 작품의 주제가 분명하며, 밀고 나가는 힘이 확실해 근래에 보기 드는 수작이자 대작으로, 인천시민은 물론 한국무용계의 또 한 번 큰 화두를 던졌다.
 
'비가'. 인천시립무용단 예술감독인 윤성주가 공연의 대본, 연출, 안무를 했다.
 "비가". 인천시립무용단 예술감독인 윤성주가 공연의 대본, 연출, 안무를 했다.
ⓒ 윤중강/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인천시립무용단의 공연 담청. 가운데가 윤성주 예술감독 (2019년 11월 22일)
 인천시립무용단의 공연 담청. 가운데가 윤성주 예술감독 (2019년 11월 22일)
ⓒ 윤중강/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인천시립무용단은 이영희 예술감독을 시작으로, 민태금, 이청자, 김영숙, 한명옥, 홍경희, 손인영, 김윤수 예술감독을 거쳤고, 윤성주 예술감독이 인천시립무용단을 맡으면서 국내 정상급 무용단으로 발돋움하는 기본적 체계를 갖췄다고 보인다. 앞으로 인천시립무용단만의 고유한 레퍼토리의 계발이 중요하며, 그 안에서 인천이라는 지역성과 연관된 스토리텔링이 매우 중요하겠다.

윤성주는 한국의 남성무용의 대가 3인에게 사사했다. 송범(1926~2007), 전황(1927~ 2015), 최현(1929~2002)의 춤맥을 잇는 윤성주 예술감독은, '거장의 구월동 나들이' 시리즈를 통해서 과거 무용가의 세계를 알리는데 힘을 쏟았다.

2019년에는 최현의 작품세계를 알렸다. 석하 최현의 예술세계를 사진 및 영상자료를 포함해 이야기와 춤이 병행하는 인문학적으로 접근한 콘서트였다.

2020년에는 송범의 작품세계를 준비해 공연 직전에 이르렀으나, 안타깝게도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공연이 무산됐다. 송범의 대표작 '은하수'에서 여주역을 맡은 무용수가 윤성주였다. 윤성주 예술감독이 이끄는 인천시립무용단이 앞으로 송범과 전황의 예술세계도 깊게 다루는 공연을 만들어주길 바란다.
 
무용극 '은하수'. 송범이 안무를 하고, 윤성주가 주역 무용수를 맡았다.
 무용극 "은하수". 송범이 안무를 하고, 윤성주가 주역 무용수를 맡았다.
ⓒ 윤중강/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송성주&최공주 듀오 공연 '탈의 눈물'. 1994년 10월 31일 국립극장 대극장에서 공연했다. '탈의 눈물'은 이청자가 안무했다.
 송성주&최공주 듀오 공연 "탈의 눈물". 1994년 10월 31일 국립극장 대극장에서 공연했다. "탈의 눈물"은 이청자가 안무했다.
ⓒ 윤중강/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인천시립무용단에서 가장 오래된 단원은 누구일까? 40명의 단원 중 남성은 송성주(1985년), 여성은 최공주(1987년)로, 두 사람은 인천시립무용단의 산증인이다. 두 무용수가 함께 공연한 작품이 이청자가 안무한 '탈의 눈물'이다(전국시도립무용단무용제, 1994년 10월 18일, 국립극장 대극장).

한명옥 예술감독 시절, 인천시립무용단 창단 20주년 작품은 '땅을 위한 진혼곡 – 미추홀, 생명의 땅'이란 대작이었다(2001년 12월 6~7일, 인천시립무용단 대공연장). 한명옥 안무, 이재환 대본 연출, 원일 음악, 이상봉 조명 등 한국공연계의 최고의 스텝이 참여했는데, 이 작품의 주인공이 최공주였다.

인천을 담은 공연이 더욱 다채로워지길

최공주는 전통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무용공연에서 주역으로 활동했다. 그녀가 보여준 소고춤은 많은 사람들이 지금도 좋아하고 다시 보길 원한다(우리민속한마당, 2002년 3월 국립민속박물관).

현재 무용단의 훈련장을 맡고 있는 최공주가 전체 구성한 작품으로는 '인천, 춤의 발자취 1888~2018'가 있다(2018년 9월 29일 인천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이 공연은 인천이라는 지역과 보다 더 밀접하게 연관된 춤을 살펴보는 자리였다.
 
미추홀 생명의 땅(좌)과 소고춤(우)을 추는 최공주
 미추홀 생명의 땅(좌)과 소고춤(우)을 추는 최공주
ⓒ 윤중강/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인천의 춤과 직접 연관되거나, 연관이 깊다고 추정되는 용동권번(춘앵전), 가부기좌(장구춤), 대불호텔(모던보이와 모던걸), 인천시립공회당(가인전목단)과 인천시민관 (장검무) 등은 인천의 춤을 살리는 공연이었다. 앞으로 인천을 담은 공연은 보다 더 다채로울 필요가 있다.

인천은 국악과 무용을 기반으로 한 전통예술의 자원이 의외로 넓은 편인데, 지금 인천의 공연예술계에서 다루는 방식은 너무도 특정 분야와 방식에 집중돼, 외부자의 시선으로 보면 매우 안타깝다. 인천과 관련한 여러 문화적, 예술적 기록을 바탕으로 인천시민의 문화적 자긍심을 높여줄 수 있는 '인문학에 기반을 둔 공연콘텐츠'를 계발할 필요가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인천시 인터넷신문 'i-View'에도 실립니다. 글쓴이는 윤중강 문화재위원(국악평론가)입니다.


태그:#인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인천시 인터넷신문 ‘i-View’는 시민의 알권리와 다양한 정보제공을 위해 발행하며 시민을 대표해서 객원·시민기자들이 콘텐츠 발굴과 신문제작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제작된 신문은 뉴스레터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