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외교부가 부산일본총영사관 앞에 강제동원노동자상 건립을 반대하고 나선 가운데, '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상 건립 경남추진위'는 25일 오후 경남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왜교부로 착각케 하지 마라. 외교부의 입장을 즉시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외교부가 부산일본총영사관 앞에 강제동원노동자상 건립을 반대하고 나선 가운데, '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상 건립 경남추진위'는 25일 오후 경남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왜교부로 착각케 하지 마라. 외교부의 입장을 즉시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왜(倭)교부로 착각케 하지마라. 외교부의 입장을 즉시 철회하라."

외교부가 주부산총영사관 앞에 세우려는 '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상' 건립을 반대하고 나선 가운데, 한국노총·민주노총 경남본부와 시민단체로 구성된 '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상 건립 경남추진위'가 이같이 밝혔다.

경남추진위 김영만 상임의장과 류조환 민주노총 경남본부장, 이정식 한국노총 창원지부장은 25일 오후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경남추진위는 오는 5월 1일 창원 정우상가 앞에서 '노동자상 제막식'을 연다.

민주노총 부산본부를 비롯한 부산지역 단체들은 같은 날 부산일본총영사관 앞에 노동자상을 세울 예정이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최근 민주노총 부산본부 등에 공문을 보내 건립 장소를 옮겨줄 것을 요구했다.

김영만 의장은 "일본은 일제 36년의 식민 지배를 지금도 미안하게 생각하지 않고, 우리나라를 근대화시켜 주었다고 자부한다. 그것은 비유하자면 여성을 성폭행 해 놓고 여성을 여성답게 만들어 주었다고 뻔뻔하게 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을 생각하면 이성보다 감정이 앞선다. 일본은 과거의 잘못에 대해 단 하나라도 인정하지 않는다"며 "외교부는 이번 일에 대해 아무 소리 안하고 그냥 있으면 좋겠다. 해방 이후 70년이 넘었는데 국가는 도대체 무엇을 했느냐. 원망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류조환 본부장은 "오는 5월 1일은 세계노동자의 날이다. 노동자상 건립은 일제 강제 동원된 그 역사를 잊지 않겠다는 다짐이고, 일본이 전범국가로서 사죄를 촉구하는 의미다"고 말했다.

경남추진위는 회견문을 통해 "'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상'의 건립 목적은 '일제 강점기 일본이 저지른 죄행에 대해 제대로 된 사죄와 배상'을 받자는 것"이라 했다.

외교부에 대해, 이들은 "일본으로부터 사죄받고자 하는 우리 국민의 염원과 의지를 격려하고 응원하지는 못할망정, 일본정부 눈치만 보는 이유는 무엇인지 도대체 알 수가 없다"고 했다.

이어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올바른 '한일관계'를 정립하기 위해서도 침략 역사에 대해 인정하고 사죄와 배상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하는 것이 정부당국의 역할"이라며 "피해 당사자였던 한국정부가 일본정부의 눈치를 보며 끌려 다니는 굴욕적인 외교정책은 즉각 폐기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남추진위는 "외교부는 일본의 눈치만 볼 것이 아니라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아픔과 한국민들의 분노를 먼저 헤아리고 일본 정부에 주권국가다운 진정한 '사과'를 먼저 요구하는 것이 올바른 역할"이라 했다.

이들은 "부산지역에서 진행하고 있는 '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운동을 지지하며 건립 부지에 대한 선택권은 부산지역 시민들의 몫임을 거듭 밝히며 그 결정을 존중한다"고 했다.

경남추진위는 "외교부는 일본정부의 눈치보기를 중단하고 당당한 주권국가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다할 것을 거듭 촉구하며 이번 외교부의 입장을 즉시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상은 현재 서울 용산역, 인천 부평공원, 제주 제주항에 세워져 있다.

경남의 노동자상 건립에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조합원들이 8500여만원을 모으고, 청소년들이 헌옷가지와 폐휴대폰을 수거해서 쌈짓돈을 모아 진행되었고, 정우상가 상인번영회가 자발적 성금을 냈으며, 경남도와 경남교육청, 창원시청이 기금과 터를 제공해 이루어지게 되었다.


태그:#외교부, #일제강제동원노동자상, #한국노총, #민주노총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