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자신의 20, 30대 청춘을 1980년대와 보낸 한국 시인들의 목소리는 거칠었다. 개인의 잘못은 아니다. 시대가 그랬다. 독재와 전횡을 거듭하던 부도덕한 정권은 결 고운 마음씨를 가진 젊은 시인이 등장하는 걸 허락하지 않았다. 야만의 시대였다.

이은봉 신작 시집 <봄바람, 은여우>
 이은봉 신작 시집 <봄바람, 은여우>
ⓒ 도서출판b

관련사진보기

이은봉(63)도 그 시대와 무관할 수 없었다. 날을 세운 풍자와 거친 시어가 그의 작품 속에서 꿈틀거렸다. 전두환 정권 시절인 1986년 출간된 첫 시집 <좋은 세상>이 그랬다.

붉은 피와 푸른 청춘이 시집 속에서 갈등했고, 불의와의 반목 끝에선 불꽃이 튀었다. 시집의 제목은 "좋은 세상은 아직 멀었다"는 역설이었다. 그때 이 시인의 나이 서른 셋이었다.

이후 30년의 세월이 흘렀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무엇이 너를 키우니> <첫눈 아침> <걸레옷을 입은 구름> 등 여러 권의 시집이 이은봉의 머리를 거쳐 손끝에서 탄생했다. 그 시간 동안 그는 대학교수가 돼 학생들을 가르쳤고, <실사구시의 시학> <시와 생태적 상상력> <화두 또는 호기심> 등을 통해 문학평론도 병행했다.

바로 그 이은봉이 새로운 시집을 들고 독자들과의 만남을 청했다. 이름하여 <봄바람, 은여우>(도서출판b). 기자가 만난 이번 시집은 갑년을 넘긴 노시인이 부르는 '이순(耳順)의 노래'처럼 들린다. 여기서 노시인이란 '늙은 시인'이란 의미가 아니다. 아래와 같은 시에서 보이는 '한소식 한 승려'와 같은 목소리를 들어보라.

봄바람은 둑길가의 민들레 씨앗털이다
등 떠밀지 않아도 절로 날개를 파닥거린다

민들레 씨앗털은 지금 촉촉이 젖고 있다
초록강아지들 흥건히 껴안고 있다
- 위의 책 중 '봄바람' 일부 인용.

봄에 부는 바람을 '파닥이는 날개'로, '초록강아지'로 표현한 감각을 보자면, 이은봉은 아직 젊다. 기자가 '노시인'이라 칭한 것은 사물의 본질과 세계의 운행법칙을 읽어낸 자만이 가질 수 있는 시어의 세련됨과 풍부함을 이야기한 것이다.

사람 좋은 웃음 뒤에 숨긴 서늘한 시심(詩心)

잘 웃는 시인 이은봉.
 잘 웃는 시인 이은봉.
ⓒ 이은봉 SNS

관련사진보기

이은봉은 문단에서 '잘 웃는 시인'으로 유명하다. 어지간해선 얼굴 찡그리고 화내는 법이 없다. 시종여일 빙그레 웃는 낯이다. 그 웃음 속엔 서늘함과 따스함이 동시에 담겼다. 깊숙한 생의 내부를 꿰뚫어보는 견자(見者)의 미소. 아래 시 '각시탈'은 그의 웃음에 관한 것이다.

티내지 않으려고 씨익, 웃다 보니
웃는 모습, 어느새
일상이 되어버렸다

평범해지려고 씨익, 웃다 보니
웃는 표정, 벌써
익숙해져버렸다...

'티내지 않으려', 혹은 '평범해지려' 웃었다는 이은봉의 시적 고백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그는 시를 쓰는 자의 고통과 눈물을 숨긴 채, 평범을 거부하고 비범함을 지향하며 살아온 사람이다. 그의 제자인 기자는 그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사람 중 하나다.

<봄바람, 은여우>에 실린 노래 중 가장 매혹적인 건 '정취암 언덕에서'라는 부제가 붙은 '구름바다'다. 이 시의 마지막 두 연은 이은봉이 웃음 뒤에 숨긴 서늘하면서 뜨거운 시심을 구구한 설명 없이도 알게 해준다. 그는 '이순의 노래'만이 아닌 '고희의 노래'도 기어코 부를 사람이다.

가까운 것은 늘 먼 것을 꿈꾼다
생사의 나뭇가지는 지금 희망의 산으로 가고 싶다

생사의 바깥에서 저 스스로 꿈이 되는 산
이제는 잿빛 옷의 구름바다를 데리고 가고 싶다.


봄바람, 은여우

이은봉 지음, 비(도서출판b)(2016)


태그:#이은봉, #봄바람 은여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버지꽃> <한국문학을 인터뷰하다> <내겐 너무 이쁜 그녀> <처음 흔들렸다> <안철수냐 문재인이냐>(공저) <서라벌 꽃비 내리던 날> <신라 여자> <아름다운 서약 풍류도와 화랑> <천년왕국 신라 서라벌의 보물들>등의 저자. 경북매일 특집기획부장으로 일하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