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청년참여연대 대학분과원들이 요즘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애오'체를 통한 피켓팅을 하고 있다
▲ 아프리카 청춘이애오 청년참여연대 대학분과원들이 요즘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애오'체를 통한 피켓팅을 하고 있다
ⓒ 청년참여연대

관련사진보기


따뜻했던 지난 5일. 평상시라면 조용했을 주말 한양대 교정에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소위 3대 입시학원이라 불리는 종로, 대성, 메가스터디 중 하나인 대성학원의 입시설명회가 열리는 날이었다. 한 기사에 따르면 이 설명회에 1만3천 명이나 되는 대학입시생과 학부모가 모였다고 한다. 청년참여연대 대학분과는 대학입학금 문제를 당사자인 예비대학생, 학부모들에게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 생각하고 캠페인을 진행했다.

청년참여연대 대학분과는 그동안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해 실질적인 대학입학금을 줄이는 활동을 진행해왔다. 현행 고등교육법에 따르면 '학교의 설립자·경영자는 수업료와 그 밖의 납부금(아래 등록금)을 받을 수 있다'고 되어 있어서 입학금 등 이외의 비용을 합법적으로 걷을 수 있다. 문제는 대학 등록금의 경우 사회적 관심이나 학생들의 관심이 높기 때문에 금액을 쉽게 올리지 못하는데 반해, 입학금을 비롯한 여타 등록금은 비교적 손쉽게 올리고 있다는 점이다.

천차만별 입학금, 대체 어디에 쓰는 걸까?

대부분의 사립대학에서 70만원이상의 입학금을 걷고 있다. (출처 : 대학알리미, 대학교육연구소 <2015 입학금 현황>)
▲ 4년제 사립대학별 입학금 분포도 대부분의 사립대학에서 70만원이상의 입학금을 걷고 있다. (출처 : 대학알리미, 대학교육연구소 <2015 입학금 현황>)
ⓒ 청년참여연대

관련사진보기


사립대학이 압도적으로 높은 걸 알 수 있다. (출처 : 대학교육연구소, 대학알리미 <2015 입학금 현황>)
▲ 사립대학, 국공립대학 입학금 순위 사립대학이 압도적으로 높은 걸 알 수 있다. (출처 : 대학교육연구소, 대학알리미 <2015 입학금 현황>)
ⓒ 청년참여연대

관련사진보기


2015년 기준 전국의 4년제 사립 대학교 134곳을 조사한 결과(출처: 대학알리미, 대학교육연구소 2015 대학 입학금 현황) 입학금을 90만 원 이상 받고 있는 학교는 37개(27%), 70만 원 이상은 108개(80%)에 달했다.

가장 많이 받는 대학은 고려대학교로 103만 원이었다. 하지만 국공립대의 경우 최대 40만 원을 넘지 않을 뿐더러 입학금을 전혀 받지 않는 학교도 있었다. 어느 대학은 '호그와트 열차'라도 타고 입학하길래 100만 원이나 하고, 어느 대학은 걸어서 입학하기에 이런 차액이 발생하는 것일까?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이렇게 과도한 입학금의 용도와 산정 근거가 모호하다는 것이다. 홍익대학교 2015학년도 등록금심의위원회 1차 회의에서 학생위원 측이 입학금 산정 근거에 대한 자료를 요청하였으나 학교 측 위원이 "관련 법규는 없다"며 "신입생들은 과거 선배들이 이룩해 놓은 여러 가지 유무형의 혜택을 받는 것이므로 입학금을 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쉽게 말해 근거는 없지만 홍익대생이 되는 입회비로 100만 원에 가까운 비용을 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대학 입학금의 과도한 비용과 이러한 산정 과정의 문제를 알리는 유인물과 피켓을 만들어서 입시 설명회에 오는 학생, 학부모를 상대로 캠페인을 진행했다. 특히 대학배치표를 풍자한 '입학금배치표'는 많은 분들의 주목을 받았다. 대학별 입학금을 순위로 보여주는 배치표였는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고 등록금 외에 입학금이 존재하며 그 금액에 상당하다는 것에 놀라움을 표시하는 분들도 많았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묻는 적극적인 분들도 있었다.

300장의 유인물을 나눠주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이야기가 있다. 우선 입학이라도 해야 입학금을 낼 수 있냐는 얘기였다. 사실 이번 캠페인을 준비하면서 입학금을 내는 당사자들은 어떻게든 대학에 들어가고 싶기 때문에 이 이슈에 대해 별 관심이 없을 거라는 의견이 있었다.

사실 입학금의 경우 그 금액을 내는 당사자가 대학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문제 삼을 만한 집단이 없다는 것이 해결과정에 있어 가장 큰 문제다. 필자도 입시를 경험해봤기에 수능 이후 대학 입학까지의 과정이 얼마나 불안한 시기인지 누구보다 잘 안다. 

10여 년간 날 지탱해주던 학생이라는 사회적 신분이 없어지는 시기이기에 마치 바닥이 닿지 않는 물 위를 걷는 것처럼 걸어도, 걸어도 앞으로 나아가는지 알 수 없는 불안한 시절이라는 것을 안다. 그렇기에 입학금은 그러한 사람들에게 어떻게든 마련할 수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비싼 입학금을 내야한다는 것은 아니다.

대학입학은 청년들이 사회에 내딛는 첫걸음이다. 그렇기에 그 과정은 더욱 철저하고 공정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대학이 상대적으로 갑의 위치에 있다고 해서 당연히 돈을 더 내야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지면 안 된다. 공정한 절차를 통해, 사회로 내딛는 첫걸음이 공정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사회로부터 배워야 한다. 그 시작이 '벽'이 되지 않도록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갖고 바꿔나가야 한다.

19대 정기국회가 끝났다. 임시국회에서 특별히 언급이 안 된다면 입학 실비에 들어가는 비용만 걷자는 고등교육법 개정안도 자동으로 폐기될 것이다. 정부는 임시국회를 열어서 한시라도 빨리 청년을 위해 임금피크제를 비롯한 노동개혁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토로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진짜 청년을 위한 정책인지, 청년을 이용한 기득권 지키기 인지 큰 의구심이 든다. 결국 16학번 후배들도 나와 같이 100만 원을 내고 대학에 입학할 것이다.

입학을 하기 전까지 아직 3달가까이 남았다. 앞으로 청년참여연대 대학분과는 입학금을 줄이기 위한 거리 캠페인, 기자회견 등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 캠페인을 마친 후 단체사진 입학을 하기 전까지 아직 3달가까이 남았다. 앞으로 청년참여연대 대학분과는 입학금을 줄이기 위한 거리 캠페인, 기자회견 등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 청년참여연대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글쓴이는 청년참여연대 대학분과 활동가입니다. 이 글은 참여연대 홈페이지에도 게시될 예정입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쓴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합니다.



태그:#참여연대, #청년참여연대, #입학금, #입시설명회, #대학분과
댓글

참여연대는 정부, 특정 정치세력, 기업에 정치적 재정적으로 종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활동합니다. 2004년부터 유엔경제사회이사회(ECOSOC) 특별협의지위를 부여받아 유엔의 공식적인 시민사회 파트너로 활동하는 비영리민간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