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경새재의 광화문 옆에는 동십자각도 보인다
 문경새재의 광화문 옆에는 동십자각도 보인다
ⓒ 박하용

관련사진보기


흥례문 전경
 흥례문 전경
ⓒ 박하용

관련사진보기


영남에서 한양으로 과거 시험을 보려면 조령을 넘어야 했다. 조선시대 영남지방과 기호지방을 잇는 영남대로 중 가장 유명하며 조선시대의 옛길로 유명한 곳이다. 조령 3관문 중 제1관문 주흘관에는 영남 제1관(嶺南第一關)이라고 현판이 걸려있다.

주흘관 천정에는 적군들이 지나가는 것을 용서라도 하지 않으려는 모습으로 칼을 들고 눈을 부릅뜨고 바라보고 있다. 동벽의 배수로에는 적군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수구문을 설치하여 놓았고, 서벽은 옛 고증을 거쳐 산까지 성벽을 연결하여 놓았다.

주흘관을 지나서 새재 길에 접어드니 우측에는 타임캡슐이 설치되어 있다. 조금 더 걸어 올라가니 공덕비가 많이도 세워져 있다. 좌측으로 대왕세종 세트장이 나타난다. 지난번에 올 때만 하여도 별도로 관람료를 받지 않았는데 관람료를 받는 곳이 설치되어 있다.

문경새재 길에서 바라보는 광화문은 어떨까?

세트장에 들어서니 지난번에 와서 구경한 것이 생각이 난다. 초가집도 예전 모습 그래도 보전되어 있다. 예전에 설치한 세트장은 일회용으로 만들었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이번에 새로이 설치한 세트장은 세트장인지 사람이 거주하려고 만들어 놓은 건물인지 모를 정도이다.

조선시대 문경새재 길이 열리면서 조령을 넘나들던 길손들이 즐겨 마셨던 우물로, 임진왜란 이후에는 관문을 지키던 병사들이 식수로 사용하였던 ‘용사골 샘’이 복원되어 있다. 양반가의 집을 둘러보는데 정원에 연못이 있고 아름답게 가꾸어 놓았으며 양반 어른이 기침을 하고 금방이라도 나올 것만 같다.

아미산 전경
 아미산 전경
ⓒ 박하용

관련사진보기


세트장내 양반가옥의 정원
 세트장내 양반가옥의 정원
ⓒ 박하용

관련사진보기


세트장을 산책하다 보니 서울에서 많이 보았던 광화문 현판이 보인다. 자세히 살펴보니 대왕 세종을 촬영하고자 최근에 지었다고 한다. 서울에 있는 광화문은 일제잔재를 없애고자 새로이 건축하고 있는데 이곳에서 광화문을 바라보니 새로운 느낌이 든다. 세트장에는 광화문과 더불어 경복궁도 복원하여 놓았다.

경복궁을 들어가기 위하여 흥례문을 들어가니 우뚝 서 있어야 할 근정전은 보이지 않는다. 아무리 살펴보아도 근정전은 찾아볼 수 없고 근정전 자리에는 강녕전과 교태전이 있다. 세트장 내 경복궁을 둘러보니 교태전의 후원에 설치된 아름다운 아미산도 만들어져 있다. 일부 건물은 세트장 여건상 위치가 바뀌어 지어져 있는 것도 있다.

세트장 관람을 하고 새재 길을 따라 2관문과 3관문 방향으로 산책을 하면서 신선한 공기를 많이 마시면 좋으련만 일정상 걸어보지를 못하였다.

찻사발을 구경하고자 찾아간 문경도자기 박물관

문경도자기 박물관은 조령1관문에서 가까운 곳에 있어서 찾아가 보았다. 박물관에는 건물 내 전시장과 옥외 전시장으로 구분되어 전시하고 있다.

외부전시장에는 문경 용연리 백제공방 유적이 있다. 이 유적은 문경댐 수몰예정지에 있었는데, 2005년 안동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하여 그 결과 백제공방 유구 8기 중에서 보존상태가 좋고 학술 가치가 높은 3기를 현 위치로 이전 복원하였다고 한다. 건물 뒤에는 전통가마인 망댕이가마가 설치돼있다.

용연리 백제공방 유적
 용연리 백제공방 유적
ⓒ 박하용

관련사진보기


문경도자기 박물관 내 망댕이 가마전경
 문경도자기 박물관 내 망댕이 가마전경
ⓒ 박하용

관련사진보기


내부전시장에 들어가니 문경도자기가 한 뿌리에서 생겨나 그 근원이 현재까지 이어짐을 나타내는 '문경전통찻사발 상'을 2003년도에 설치하였다. 찻사발 상에 소개된 찻사발은 14인의 문경도예가들의 출품작이며, 한눈에 모든 형태의 다양한 찻사발을 감상할 수 있다.

문경지역에서 발굴된 찻사발에 대하여 전시가 되어 있으며, 조선시대의 찻사발을 한눈에 바라볼 수가 있다. 찻사발은 원래 분청사기의 일종으로 일반 서민들이 사용하던 생활자기로서 막사발이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일본으로 전래되어 그들의 차문화속에서 '고려다완'이라 불리며 각광을 받았다. 차를 즐기는 사람들이 가루차를 마시는 그릇으로서 흔히 다완이라고 하여 막사발에서 찻사발로 사용하였다.

찻사발 모습
 찻사발 모습
ⓒ 박하용

관련사진보기


찻잔모습
 찻잔모습
ⓒ 박하용

관련사진보기


우리전통차와 떡
 우리전통차와 떡
ⓒ 박하용

관련사진보기


전시장을 둘러보고 나오는 길에는 다례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가 있다. 안방에서 앉아서 체험을 하였다. 한복을 입은 다례 선생님으로부터 차를 마시는 법에 대하여 알 수가 있었다. 우리 차를 맛있게 먹어보았다.

이렇게 2박 3일 동안 경상북도에 대하여 정책현장탐험을 마무리 지을 수가 있어서 좋았다. 우리가 사무실에서 생각하였던 생각과 현지에서 느낄 수 있는 생생함을 교차하여 느껴볼 수 있었던 좋은 계기였다.

덧붙이는 글 | 대왕세종 세트장과 문경도자기박물관은 11월 14일 다녀왔습니다



태그:#대왕 세종세트장, #문경도자기박물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