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시가 9월 6일 도농상생 공공급식 사업 개선 방안을 담은 공공급식 체계 개편안을 발표했다.
 서울시가 9월 6일 도농상생 공공급식 사업 개선 방안을 담은 공공급식 체계 개편안을 발표했다.
ⓒ 서울시 제공

관련사진보기

 
서울시가 내년 1월부터 자치구마다 운영하던 어린이집 급식을 시 차원에서 통합운영하기로 했다.

시는 6일 오전 어린이집 식재료 공급체계를 서울친환경유통센터로 통합운영한다는 내용의 '공공급식 체계 개편안'을 발표했다.

시는 2017년부터 자치구와 식재료 생산지인 지방 기초지자체를 1 대 1로 매칭해 친환경 농산물을 직거래하는 '도농상생 공공급식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자치구마다 공공급식센터를 설치해 사회적기업이나 협동조합, 비영리법인 등에 민간 위탁하는 방식으로 어린이집에 식자재를 공급해왔다.

그러나 이런 방식이 ▲ 자치구별 식재료 품질 및 가격 편차 ▲ 공급 품목의 다양성 부족  ▲ 공공급식센터 운영의 비효율성 ▲ 식재료 안전성 차이를 낳는다는 지적이 국회와 시의회로부터 꾸준히 제기됐다.

서울시가격분과위원회가 식재료 가격 조정을 권고하고 있지만 동일 품목에대한 자치구별 가격 편차가 40~50%를 상회하는 경우가 생겼다.

1 대 1 매칭 방식으로는 산지 여건에 따라 생산되지 않은 품목이 많아 어린이집 입장에서 다양한 식단 구성이 어렵다는 현장 민원도 바수 발생했다. 자치구마다 물류와 유통을 위한 공공급식센터를 운영하다보니 인건비 등 그 동안 센터 운영비로 사용된 예산도 379억에 달했다. 사업 참여  자치구도 8월 현재 25개 구 중 12개에 그쳤다.

시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서울친환경유통센터에 유치원 식자재 공급 업무를 맡기기로 했다.

서울친환경유통센터는 서울시 내 학교에 식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2010년에 만들어졌는데, 6월 기준 초중고특수학교 1077개교가 이용하고 있으며, 지난 3월 이후 공급대상을 유치원까지 확대해 현재 유치원 277곳이 이용하고 있다.

서울시는 기존 12개 자치구별로 운영되던 9개 공공급식센터를 서울친환경유통센터 1곳으로 통합·운영하기로 했다. 통합 운영시 연간 14억 원의 예산이 절감된다고 한다.

특정 산지에만 머물렀던 공공급식 공급망도 기존 1162개의 농가에서 전국 5만여 농가로 확대된다.

공공급식센터에서 하던 표본검사는 서울친환경유통센터에 편입시킴으로써 배송 전단계에서 생산자별, 품목별 전수검사를 실시하고, 표본검사 건수도 강화한다.

최근 수산물 방사능 노출, 식중독 집단발생 등 어린이들의 먹거리 안전에 우려가 커지는 만큼 신선식품 콜드체인 체계(콜드박스·콜드체인 라벨)를 시범 도입해 식품 안전성을 높이기로 했다.

구종원 서울시 평생교육국장은 "그동안 민간단체를 통한 위탁운영과 사업비로 600억 원이 넘는 예산이 들어갔음에도 품질, 가격,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지적되었다"고 밝히면서, "이번 개편을 통해 아이들의 안전한 밥상이 지켜지고, 전국 친환경 농가의 판로는 점점 확대되는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태그:#서울친환경유통센터, #공공급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