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2번에 걸친 입원과 8개월여 통원치료를 했던 열악한 환경의 온고을 활병원이 확장 이전해 100병상에 넓고 쾌적한 치료실을 갖추게 되었다.
▲ 100병상을 갖춘 병원으로 확장 이전한 병원 2번에 걸친 입원과 8개월여 통원치료를 했던 열악한 환경의 온고을 활병원이 확장 이전해 100병상에 넓고 쾌적한 치료실을 갖추게 되었다.
ⓒ 서치식

관련사진보기


병원에서 일방적으로 정해놓은 기간이 되면 무조건 퇴원해야 하는 재활병원의 불문율에 익숙해져 갈 무렵인 2006년 12월, 난 네 곳의 병원을 여섯 번째 옮겨 집 근처에 있는 작은 규모의 재활병원에 입원해 본격적인 재활을 하고 있었다.

의원급의 작은 병원인지라 밤에는 원무과 남자직원 한 분과 여자간호조무사가 숙직을 하며 입원 환자를 돌보는 등 병원을 관리했다. 정해진 병원 치료 외에도 나만의 프로그램을 가지고 재활에 매진하던 때인지라 나만의 일과를 마치고 늦은 시간 병실에 들어서니 그날의 마감 뉴스가 병실의 TV에서 흘러나오고 있었다.

무심코 뉴스를 듣다보니 인근 군산의 한 산부인과 병원에서 그날 저녁 화재가 일어나 임산부와 갓 태어난 어린아이가 숨졌다는 소식을 다급하게 전하고 있었다. 혀를 차며 잠자리에 들 준비를 하던 순간이었다. 갑자기 화재 비상벨이 울려 이미 잠들었던 환자들, 깨어있던 환자들 모두가  다급하게 복도에 나와 웅성거리기 시작했다.

숙직을 서던 원무과 직원과 어린 간호조무사가 급히 뛰어다니며 병원 이곳저곳을 살펴보았지만 이상을 발견하지 못했다. 늦은 밤이므로 비상벨의 전원을 차단해 일단 소리를 없애고 다음날 수리를 할 수밖에 없어서 한밤의 비상벨 소동은 그렇게 끝났고 나를 비롯한 모든 환자들도 다시 잠자리에 들었다.

지금이라면 그저 한밤에 있었던 해프닝 정도로 가볍게 지나갈 일이다. 하지만 당시의 나는 사고당한 지 2년째 접어들었지만 그때까지도 트라우마에 시달리던 때인지라 마감뉴스에서 다급하게 전하던 이웃 군산소재 한 병원의 화재 소식과 그 밤의 비상벨 소동이 함께 떠오르면서 밤새 불길한 생각에 시달려야만 했다. 희한하게도 스스로가 그런 불길한 생각은 분명 트라우마로 인한 부질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도통 그 생각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던 것이다.

결국 그 밤을 하얗게 지새운 나는 아침이 되어 회진을 도는 그 병원의 원장님에게 지난밤 소동을 이야기하며 그로 인해 밤을 하얗게 새우게 되었다는 이야기했다. 그리고는 "스스로 생각해도 내가 이러는 게 트라우마라고 생각하는데 오늘 꼭 좀 비상벨을 고쳐 이런 일이 없었으면 한다"'라고 이야기했다.

현상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고 불길한 생각을 하는 것이 트라우마라면 더더욱 재활의학을 전공한 의사에게 이야기하고 거기에 맞는 진단과 처방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망설이다가 용기를 내 이야기를 하게 된 것이다.

망상에 시달리며 밤을 하얗게 새우고 여러 번 망설이다 어렵게 이야기를 한 내 바람과는 다르게 내 이야기를 들은 그 원장님은 단 1초의 망설임도 없이 내게 "아버님! 여기는 병원이라서 소방서에서 특별히 화재경보기 센서를 예민하게 해놔서 가끔 그렇게 오작동을 하는 것이니 마음 푹 놓으세요"라는 대답만을 남긴 채 나가버리는 것이었다.

 늦은 밤 화재비상벨이 오작동을 일으킬 정도로 열악했던 병원이 확장 이전해 넓고 쾌적한 운동 치료실 모습.
▲ 온고을재활병원의 넓고 쾌적한 운동치료실 늦은 밤 화재비상벨이 오작동을 일으킬 정도로 열악했던 병원이 확장 이전해 넓고 쾌적한 운동 치료실 모습.
ⓒ 서치식

관련사진보기


밤새 불길한 생각에 밤을 하얗게 새우고 의학적 진단과 처방까지도 바라며 어렵게 한 내 이야기에 현실적으로 전혀 불가능한 이야기로 날 진정시키려는 그 의사의 대답은 내게 오히려 큰 상처를 주었다. 나에 관한 의학적 자료를 가졌으며 재활의학을 전공한 의사가 말도 안 되는 이야기로 날 진정시키려 했다는 사실이 한동안 날 좌절하게 했다.

대한민국의 어느 소방서에서 병원의 화재경보기의 센서를 예민하게 해 주는가? 그 의사는 그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듣고 내 불안이 가실 것이라고 판단해 주저하지 않고 내게 그런 이야기를 한 것이라 생각하니 그들의 눈에 비친 내 인지 능력이 그렇게 형편없는 것인지 골똘히 생각하게 됐다.

거기에 내가 입은 미만성 축삭 손상이라는 외상성 뇌손상이 그런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철석같이 믿고 안심 할 수준의 인지력을 가질 수밖에 없는 부상이라는 절망으로까지 이어져 오랫동안 시달려야 했던 것이다.

내가 경험한 뇌손상은 한동안은 내 어머니조차 몰라보았고 내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어서 나를 바라보는 다른 사람의 눈을 통해 내 상황을 가늠 할 수밖에 없었다. 그랬기에 의료 전문가인 의사의 말은 당시의 내게는 절대적인 권위를 가질 때였던 것이다. 그런 의사가 날 안심시키기 위해 그렇게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했으니 내가 받은 상처가 얼마나 크고 깊었겠는가?

돌이켜보면 그런 상처들이 의료 전문가인 의사와 환자인 나의 입장 차이를 냉정하게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어려운 공부를 마치고 전문지식을 갖춘 의료전문가인 의사에게 장애는 자신이 아닌 남의 문제일 뿐인 것이다. 아무리 인도적인 의사라 할지라도 타인의 문제이기에 장애를 지닌 당사자인 나만큼 직접적이고 절실하게 문제의식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겪을 때마다 숱하게 상처를 받았으며 수 없이 절망했고 한없이 외로웠다. 그런 상처, 절망, 외로움들이 나를 끝없이 자극해 지금껏 아무도 이루지 못한 '완전한 재활'을 아무도 시도조차 하지 않은 '자가 재활'을 통해 이루겠다고 떨쳐 일어나게 한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난 늘 '완전한 재활'을 이루는 봄을 이야기하곤 한다. 장애를 얻은 지 만11년이 되어가는 이 겨울, 난 또 21,0975킬로미터를 당당하게 완주하는 봄을 구체적으로 계획 중이다.

덧붙이는 글 | 재활 수요자인 환자는 철저히 배제된채 일방적으로 시행하는 재활치료에 대한 문제를 이야기하고자 한다



태그:#서치식, #전주시 공무원, #완전한 재활, #휠체어에서 마라톤까지, #하프 마라톤 완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뇌병변2급 장애를 가진 전주시 공무원으로 하프마라톤 완주를 재활의 목표로 만18년째 가열찬 재활 중. 이번 휠체어 사이클 국토종단애 이어 장애를 얻고 '무섭고 외로워'오마이뉴스에 연재하는 "휠체어에서 마라톤까지"시즌Ⅱ로 필자의 마라톤을 마치려 함.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