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부의 대형마트 규제 효과가 동네 슈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소비자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주하연 서강대학교 교수는 지난달 30일 '대형마트 규제에 의한 소비자 구매행동 연구결과'에서 이같이 밝혔다. 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2012년 5~6월 소비자 가구의 월 평균 대형마트 구입액(10만834원)은 전년 동월 대비 1만8195원(18%) 감소했다.

해당 시기는 정부의 대형마트 영업규제가 가장 활발했던 때로, 대형마트 구입액 감소분은 고스란히 전통시장(9033원), 기업형 슈퍼마켓(8624원), 전문점(7037원) 등으로 옮겨간 것으로 조사됐다.

이 분석결과는 서울·인천·경기 지역 소비자 패널 가구 중 대형마트 영업규제 해당 지역에 사는 687가구의 2011년과 2012년 5∼6월 두 기간의 월별 소매업태별 농식품 구입액 자료를 활용한 것이다.

소비자들은 이같은 소비 패턴 변화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이 2013년 3월 실시한 대형마트 규제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규제에 대해 찬성하는 사람은 전체의 44.5%에 달했으며 '중립' 입장은 42.1%, 반대는 12.7%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대형마트 휴일에 대체구입처로 전통시장(16.1%), 중형마트(28.3%), 동네슈퍼(21.9%)를 찾은 것으로 조사됐다.


태그:#대형마트, #규제, #전통시장, #동네슈퍼, #농촌진흥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