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씨앗을 다 날려버린 민들레 꽃대에 여치가 피었다.
▲ 여치 씨앗을 다 날려버린 민들레 꽃대에 여치가 피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가을은 풀벌레 소리가 높아지는 만큼 깊어집니다.

가을이 깊어지면 '깊음'에 대해 깊게 생각하게 되고, 깊어지지 못한 자신에 대해서 혹은 변하지 않은 자신을 돌아보면서 살아온 날을 돌아보기도 합니다. 후회가 많으면 가을을 타기도 하지요. 그 '후회'라는 것이 흔히 말하는 세상의 성공을 이루지 못한 것 때문이라면, 아직은 더 깊어져야 합니다. 더 진지하게 살아오지 못했음에 대한 후회가 없으면 껍데기만 남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냥 공허함을 느끼는 것만으로는 깊어질 수가 없습니다.

하얀 메밀꽃만 있는 것이 아니다.
▲ 분홍메밀꽃 하얀 메밀꽃만 있는 것이 아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하얀 메밀꽃 사이에 수채화 물감으로 분홍빛을 점점이 찍어 놓은 것 같아 신비로웠습니다. 너무 다르지도 않고 너무 많지도 않아 이질적이지 않으면서도, 그들이 없었더라면 밋밋했을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극명하게 자기의 색을 드러내는 것이 필요할 때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선'과 '악'이라는 분명한 대립이 아니라면 때로는 '이것도 저것도' 포용할 수 있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자기와 다르면 적으로 규정해 버리는 세상은 경직된 세상입니다. 달라서 더 아름다운 꽃밭인 것처럼, 다르기에 더불어 살 사람입니다.

보랏빛이 선명한 꽃향유, 그 끈질긴 생명을 보다.
▲ 꽃향유 보랏빛이 선명한 꽃향유, 그 끈질긴 생명을 보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완만한 모래톱이었던 강을 깎고 재단하여 돌덩이로 조경한 북한강 줄기의 상류, 조경사의 손길을 타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보랏빛 꽃향유가 돌 틈에 피었습니다. 그렇게 끈질긴 몸부림까지도 끊어버려야 속이 시원한 것일까 싶습니다.

오로지 자신의 뜻을 관철하는데만 열중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것이 옳은 일이든 그른 일이든 상관없습니다. 자신의 뜻이냐, 아니냐에만 관심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이 지도자가 되면 많은 이들이 고통을 당하게 됩니다. 사람만 그런 것이 아니라, 사람과 관계를 맺은 모든 것들이 함께 아파합니다. 저 들꽃까지도 그렇게 아픈 것입니다.

제주도 동남
▲ 코스모스와 등대 제주도 동남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사람의 손길이 닿으면 다 망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여느 동물들보다도 자연친화적이지 못한 사람이기에 자연을 적절하게 통제하지 못하면 살아갈 수 없는 것이 우리네 현실입니다. 물론, 다 통제될 수는 없는 일입니다. 어쩌면, 최소한의 통제일 것입니다. 그 '통제'란 인간이 우위에 있다는 뜻도, 마음대로 대해도 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각자의 경계를 살짝 지어놓는 것이지요. 싸리담장처럼 마당을 들여다볼 수 있을 정도의 경계입니다. 그리하여 간혹 넘어갈 수도 있고, 넘어올 수도 있는 정도의 경계를 지어놓은 정도입니다.

그러한 경계를 없앴을 때에는 본래의 모습대로 돌아갈 수 있을 정도 이상의 폭력을 자연에 행사할 권리가 인간에게는 없습니다. 그것을 넘어서면, 이전에는 보지 못했던 방법으로 상상하지 못하던 방법으로 인간에게 돌아오기 마련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겪는 환경재앙이 그 일면입니다.

빛과 그림자의 조화
▲ 낙엽 빛과 그림자의 조화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낙엽이 하나 둘 떨어지는 계절입니다.

소임을 다한 나뭇잎이 땅에 내려와 쉬는 계절, 그들은 다시 흙이 되어 나무의 일부가 될 것입니다. 누가 누구인지, 누구 속에 누가 들어 있는 것인지 묘연해지는, 그래서 나와 네가 구별이 없는 경지를 살아가는 것이 자연입니다.

죽어서도 흙으로 돌아가길 거부하는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길 스스로 거부하는 것입니다. 흙에서 온 존재가 흙으로 돌아가지 않는 기이한 현실, 죽은 몸뚱어리로 꽃 한 송이 피우지 못하는 현실은 인간이 얼마나 자연과 멀어진 삶을 사는가 하는 증거입니다. 저 낙엽처럼, 때가 되면 스스로를 놓아버리고 자연의 일부가 되는 장례문화가 필요한 때입니다.

여치도 단풍 들것만 같은 가을
▲ 여치 여치도 단풍 들것만 같은 가을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가을이 깊어갑니다.

깊어가는 가을인데 내 삶도 깊어지는 것인지 돌아봅니다. 그저, 세상 흐름을 따라 살아가다가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 판단도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돌아봅니다. 그러한 판단마저도 남에게 맡겨 버린 것은 아닌지 돌아봅니다.

사람 사는 방식은 다양합니다.
그 방식이 남에게 해를 끼치는 것이 아니라면, 공동체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 방식대로 살고, 그 방식을 통해서 삶을 영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삶 따로, 돈벌이 따로 살아가게 되면 절대로 깊은 마음을 가진 사람이 될 수 없습니다.

너무 가벼운 사람, 껍데기들이 많습니다. 그 껍데기를 벗어버리고자 한다면, 이 가을이 가기 전에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일이 필요합니다.


태그:#여치, #가을, #꽃향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