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메밀로 만든 국수로 찬물에 말았다. 국수발이 콧등을 친다 하여 콧등치기다.
▲ 콧등치기 국수. 메밀로 만든 국수로 찬물에 말았다. 국수발이 콧등을 친다 하여 콧등치기다.
ⓒ 강기희

관련사진보기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이효석의 단편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한 대목이다. 이효석이 살던 봉평 지역에도 메밀이 많았지만 정선 지역도 메밀 농사를 많이 지었다. 예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오래 전 <TV 문학관>(KBS1)에서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을 촬영할 때 배경이 된 메밀꽃밭은 거의 정선 지역이었을 정도였다.

신령스런 곡식으로 만든 메밀국수 "콧등을 철썩 때려요~"

산촌 마을에 살던 어린 시절엔 메밀밭이 화전으로 일군 산허리밭까지 가득했다. 소금을 뿌린 듯 하얗게 핀 꽃만 봐도 배고픔을 잊을 정도였다. 메밀 잎을 따서는 나물로 무쳐 먹기도 했고, 줄기는 불쏘시개로 사용했다. 메밀 껍질은 '달갱이'라고 했으며, 베개 속으로 활용했다. 그 베개가 지금은 건강 베개로 인기를 끈다니 가난이 오히려 건강을 지켜주었던 셈이었다.

버릴 것이 하나도 없는 메밀은 척박한 땅에서 잘 자랐다. 그런 이유로 비옥한 땅엔 고추나 감자, 옥수수 등을 심었고 메밀은 돌밭에 뿌렸다. 메밀 농사는 다른 농사법과는 달랐다. 골을 켜고 씨를 뿌리는 것이 아니라 밭에다 훌훌 뿌렸다. 이 지역 사람들은 그것을 두고 '메밀을 푼다'고 표현했다.

메밀은 다섯가지 색을 가진 곡식이다. 꽃은 흰색이요, 잎은 푸른색이다. 열매는 검은색이고, 메밀 줄기는 붉은색이다. 황색인 뿌리로 다섯가지 색을 마저 채운다. 때문에 메밀은 다섯가지 방위를 나타내는 신령스런 곡식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는 '메밀은 그 성질이 차며 맛은 달고 독이 없다.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고 기력을 북돋운다'라고 적고 있다.

신령스런 곡식인 메밀은 감자, 옥수수와 함께 정선 지역의 대표적인 먹을거리를 만들어냈다. 메밀로 만들 수 있는 음식도 많다. 메밀국수를 비롯해 메밀묵, 메밀전, 메밀전병, 메밀밥, 메밀수제비, 메밀국죽 등등.

어린 시절에만 해도 아침엔 메밀국죽, 점심엔 메밀국수, 저녁엔 메밀 수제비를 먹었다. 하루 종일 메밀로 만드는 음식을 먹었지만 물리거나 질리지 않았다. 다들 그 맛과 모양이 독특하고 다양하기 때문이었다.

콧등치기 국수로 유명한 청원식당이다.
▲ 소문난 맛집. 콧등치기 국수로 유명한 청원식당이다.
ⓒ 강기희

관련사진보기



즉석에서 반죽해 밀어 먹는 콧등치기. 맛이 끝내줘요~
▲ 메밀국수 면발. 즉석에서 반죽해 밀어 먹는 콧등치기. 맛이 끝내줘요~
ⓒ 강기희

관련사진보기


20년 전통의 메밀국수집, "국수 한 그릇으로 입맛 확 돌아옵니다"

오늘 소개할 음식은 많은 음식 중에서도 메밀국수. 이 지역의 대표적인 토속음식이며 역시 메밀로 만드는 막국수나 평양냉면과는 전혀 다른 음식이다. 20년 전통의 메밀국수 전문식당인 '청원식당'으로 갔다. 전날 술을 마신 터라 해장국이 필요했던 3월 31일 오후였다.

청원식당의 위치는 아우라지가 있는 정선군 북면 여량리. 정선아라리 가락이 흐르는 마을이다. 청원식당은 기차가 서는 아우라지역 앞에 있다. 나는 고향인 정선으로 오기 전에도 청원식당을 즐겨 찾았다. 정선 읍내에서 아우라지까지는 20분 남짓. 읍내에서 전화를 하고 도착하면 메밀국수가 차려져 나왔다.

지금도 그것은 다르지 않아 메밀국수를 먹으러 갈 때는 꼭 전화를 한다. 읍내에도 메밀국수를 하는 집이 있으나 굳이 오십리 길인 청원식당까지 가는 것은 내가 기억하는 메밀국수 맛을 가장 잘 살리기 때문이었다.

청원식당이 메밀국수를 맛있게 하는 비결은 다른 게 아니라 손님이 오면 즉석에서 반죽을 하여 국수를 밀기 때문이다. 한 번 맛을 본 사람은 반드시 다시 찾을 수 밖에 없는 이유가 그것이다. 여행가들이 아우라지하면 떠오르는 음식이 청원식당의 메밀국수일 정도로 마니아들도 많다.

뜨겁게 끓였다. 맛이 개운하며 느름국이라고도 한다. 땀을 뻘뻘 흘리게 만든 국수다.
▲ 메밀국수. 뜨겁게 끓였다. 맛이 개운하며 느름국이라고도 한다. 땀을 뻘뻘 흘리게 만든 국수다.
ⓒ 강기희

관련사진보기



방순옥 할머니 "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게 메밀음식이래요."
▲ 콧등치기 국수의 원조. 방순옥 할머니 "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게 메밀음식이래요."
ⓒ 강기희

관련사진보기


시인이 지은 이름 '콧등치기 국수'

그날은 메밀국수 만드는 과정을 지켜 보아야 하니 전화를 걸지 않고 갔다. 함께 간 이는 친구인 북면의 총무계장과 이도현 선생. 그렇게 세 그릇을 주문하고 나는 주방을 어슬렁거렸다.

"이 집 단골인데 저 기억하시죠?"

청원식당 주인인 방순옥(70)씨에게 물었다.

"그럼요, 이 집에 자주 오시잖아요. 지난 번 테레비에 나오는 것도 봤어요. 보면서 우리집에 자주 오시는 분인데… 했는데 지금보니 그 분이 맞네요."

얼마 전 모 방송의 다큐 프로그램에 출연했던 것을 본 모양이었다.

"메밀국수를 하신 지는 얼마나 되셨나요?"
"올해 내가 칠십이니 꼭 20년 되었어요."
"언젠가부터 메밀국수가 '콧등치기'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어요. 그게 언제 적 일인가요?"
"꽤 오래 되었어요. 장사 시작하고 얼마 있다가 진용선 시인이 와서 이걸 먹어 보더니 면발이 콧등을 친다고 하며 '콧등치기'라고 부르자고 했어요. 그때부터 메밀국수라는 이름보다 콧등치기가 유명하게 된 거래요."

시인이자 정선아리랑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는 진용선씨. 그는 정선의 음식문화를 알리기 위해 메밀국수를 '콧등치기'라는 이름으로 재탄생 시켰다. 그는 이후 잡지나 신문에 글을 기고하면서 '콧등치기'라고 했고, 지금은 메밀국수보다 '콧등치기'라는 말이 더 많이 알려졌다.

그러니까 '콧등치기'라는 말이 만들어진 것도 청원식당이고, 콧등치기 국수의 원조가 이 식당인 셈이다. 원조의 맛을 따라갈 곳이 없기에 아직은 독보적인 위치를 자랑하는 청원식당. 국수발에 콧등을 맞기 위해 작심을 했다.

국수를 후루룩 먹을 때 국수발이 콧등을 철썩 친다는 콧등치기는 매밀국수를 찬물에 말아 먹을 때 그 소리가 더 크다. 칼국수 면발보다 굵은 메밀국수 면발이 콧등을 칠 때면 정신이 번쩍번쩍 든단다.

그러나 오늘 나온 콧등치기는 뜨겁게 끓여졌다. 아무렴 어떤가. 콧등치기 국수가 나오자 세 사람은 누가 콧등을 더 많이 맞는지 내기라도 하는 듯 국수 그릇에 코를 박았다. 후루룩 후루룩 소리가 날 때마다 "아야, 아야!" 소리가 났다. 그 소리에 국수 먹는 자리가 웃음판으로 바뀐다. 음식을 먹으면서 이렇게 즐거울 수도 있다는 게 더 놀랍다.

"메밀국수 정말 맛있네~"
▲ 후루룩 후루룩. "메밀국수 정말 맛있네~"
ⓒ 강기희

관련사진보기



국수를 싫어하는 내가 찾는 메밀국수집 "정말 맛있어요!"

콧등치기와 가장 궁합이 맞는 김치는 갓김치다. 국수에 고명으로 얹어진 갓김치는 남도의 갓이 아니라 이 지역에서 나는 키 작은 갓이다. 갓김치가 없으면 메밀국수 맛도 살아나지 않는다.

"콧등을 몇 번이나 맞았는지 땀이 다 나네."

음식을 먹으면서 땀을 흘린다는 것은 먹고 있는 음식이 맛있다는 증거다.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시금털털 먹게 되면 땀은커녕 체하기 딱 알맞다. 나를 비롯해 세 사람은 땀을 뻘뻘 흘리며 콧등치기 국수를 먹었다. 얼마나 맛있던지 그릇을 깨끗하게 비웠다.
  
"어따, 배부르니 한숨 자고 싶네."
"흐흐, 사람이라는 게 저 배 부르면 세상만사 다 귀찮은 법이지요."

일행은 국수를 먹고도 엄청난 음식을 먹은양 이쑤시개 하나씩을 이 사이에 꼽고서 식당을 나섰다. 밖으로 나오고야 흐르던 땀이 멈추었다.

고백하자면 나는 국수를 좋아하지 않는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어릴 때부터 그랬다. 돌아가신 아버지께서 칼국수를 즐겼기에 어머니는 가끔 만들었지만 언제나 내 밥은 따로 해야 했다. 그렇게 국수를 싫어하는 내가 국수를 먹기 위해 스스로 찾아 드는 집은 우리나라에서 두 곳 뿐이다. 서울 명동에 있는 칼국수 전문점인 '명동교자'와 정선의 '청원식당'이다.

어쩌다 서울에 간 날이 있으면 명동교자에 꼭 들러 칼국수를 먹어야 직성이 풀렸고, 도시에 살 때는 정선에 오는 날이면 반드시 '콧등치기 국수'를 먹어야 정선에 다녀온 보람이 있을 정도였다.

두 집만 생각하면 지금도 군침이 도는 것은 물론이고 허기까지 느끼게 된다. 그러하니 그 맛이 어느 정도인지는 상상만으로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입맛 까다롭기로 소문난 터라 내가 맛있다고 한 집은 누구와 함께 가더라도 만족해 했다.

정선아라리를 만들어낸 아우라지. 정선아라리 가사 "아우라지 뱃사공아 배 좀 건네주게~"가 탄생된 곳이다.
▲ 아우라지. 정선아라리를 만들어낸 아우라지. 정선아라리 가사 "아우라지 뱃사공아 배 좀 건네주게~"가 탄생된 곳이다.
ⓒ 강기희

관련사진보기


정선 사람들의 영혼이 녹아든 '콧등치기'

10년 전쯤 나는 문학기행 팀과 함께 정선을 자주 찾았다. 정선이 고향인 데다 소설가라는 이유로 안내를 맡은 것이었다. 동강과 정암사, 몰운대 등을 둘러보고 아우라지는 마지막 코스로 넣었다. 아우라지에서 정선아라리를 배우고 돌아가는 길. 나는 꼭 청원식당에 들러 콧등치기를 먹었다.

내가 맛있게 먹는 음식을 다른 이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했다. 문학기행 일정을 끝내고 서울로 돌아가는 길. 나는 정선에서 어떤 것이 가장 인상에 남느냐고 하루를 함께 했던 이들에게 물었다. 놀랍게도 정선의 풍경이나 정선아라리가 아니라 '콧등치기 국수'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그 이유를 물었더니 난생 처음 먹어 보았다는 콧등치기 국수가 맛도 좋지만 정선의 모든 것을 대변해 주고 있다는 것이었다. 어떤 이는 정선 사람들의 영혼이 녹아내린 음식이라고까지 했다. 놀라운 일이었다. 여행을 하면서 어느 지역을 떠올리면 그 지역의 풍경보다 음식이 가장 먼저 생각나는데, 그들에겐 정선의 음식하면 '콧등치기'가 되어버린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덧붙이는 글 | '우리 동네 맛집' 기사 공모 글입니다.



태그:#메밀국수, #콧등치기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