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의 자원활동가 공다훈(24)씨와 송수진(18)씨가 2일 열린 성미산 마을축제에서 서명 운동을 펼치고 있다.
▲ 성미산 마을축제에서 서명 운동 중인 정대협 자원활동가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의 자원활동가 공다훈(24)씨와 송수진(18)씨가 2일 열린 성미산 마을축제에서 서명 운동을 펼치고 있다.
ⓒ 원유빈

관련사진보기


지난 2일 성미산 마을축제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에서 활동 중인 자원활동가들이 모였다. 지난 5월 27일부터 열린 성미산 마을축제는 '마을을 놀이터로 만들자'라는 구호 아래 성산동 주민들이 함께 주최한 열린 축제다. 이날 오후에는 축제가 열리는 서울 성산초등학교에 정대협 활동가들이 부스를 마련해 서명운동을 벌였다.

정대협은 1992년부터 수요시위를 시작해 현재까지 궂긴 날씨도 마다않고 1000회에 이르는 집회를 이어왔다. 이들은 일본에게 '위안부'의 범죄를 인정하고 진상을 규명하며 법적배상과 공식적인 사죄, 역사교과서에 대한 기록과 책임자 처벌 등 일곱 가지 사항을 요구하고 있다.

성미산 마을축제에서 마포구 시민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1억인 서명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 성미산 마을축제에서 열린 서명운동 성미산 마을축제에서 마포구 시민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1억인 서명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 원유빈

관련사진보기


5월 5일에는 시민들의 모금활동만으로 기금을 모아 박물관도 건립했다.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은 '일본군 위안부' 범죄의 피해상황 및 운동을 기록하고 전시하며 나아가 미래세대에게 인권에 대한 연대를 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인들과도 연대하자는 의미에서 1억인 서명 운동을 시작했다. 현재 온라인에서는 52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서명 운동에 참가했으며 오프라인에서는 여러 행사를 비롯한 장소에서 운동을 벌이고 있다. 성미산 마을축제에서는 섭씨 30도에 육박하는 무더운 날씨에도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뜻깊은 서명을 전달했다. 서명운동은 정대협 온라인 누리집에서도 참여할 수 있다.


태그:#정대협, #서명운동, #일본군 위안부, #성미산 마을축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