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나의 형님은 집을 잘 짓는 목수다. 평생 목수로 살면서 직업에 대한 자부심도 강하다. 자신이 지은 집은 특별하다며 꼼꼼하게 짓기 때문에 겉만 번지르르한 집 장사들의 집과는 다르다고 자부한다. 또한, 눈에 잘 안 띄는 구석까지 야무지고 실용적으로 지었다고 한다. 젊었을 때는 도시에서 집을 많이 지었지만, 재미는 못 보았단다.

그러다가 나이 오십이 될 무렵, 도시생활을 다 털어버리고 시골에 들어와 자신이 손수 지은 집에 살면서 귀촌한 사람이나 이웃의 집을 부탁받고 일 년에 한두 채 정도 꾸준히 짓고 있다. 부지런한 형수는 농사를 지어본 적이 없지만 200여 평의 텃밭에 가지가지 먹을 채소들을 가꾸어 자급하면서 적게 벌고, 적게 쓰는 생활을 하고 있다.

형님이 지금 칠십이니 시골로 온 지, 어느덧 20년을 넘기게 되었다.

경주시 산내면 감산리에 자리잡은 형님집 앞에 서있는 70년 생 느티나무는 집과 잘 어울린다.
▲ 형님집에 잘 어울리는 느티나무 경주시 산내면 감산리에 자리잡은 형님집 앞에 서있는 70년 생 느티나무는 집과 잘 어울린다.
ⓒ 송인규

관련사진보기



나는 명절이면 형님 집에 간다. 올해 설날도 우리 식구 넷이 내려갔다. 우리 식구가 명절 때 형님네 가고 싶어하는 이유는 형님 내외가 편하게 대해 줘서만은 아닌 것 같다.

형님의 집은 산간 분지에 자리 잡은 터인지라 공기도 맑고, 하늘도 쾌청하며 새소리도 가까이 들린다. 집 앞과 동쪽에는 개울물이 흐르는데, 여름에는 아이들이 물놀이하기에도 딱 좋다. 본채 뒤에 다섯 평짜리 황토방을 별채로 지었는데, 장작 보일러로 난방을 한다. 나는 형님 집에 가면 그 방에서 꼭 자는데, 동쪽 개울이 내려다보여 잠자리에서 일어나면 항상 개운한 느낌이다.

또 다른 집에서는 찾을 수 없는, 무엇보다도 좋은 것이 있다. 그것은 집 앞을 가리고 서 있는 커다란 느티나무다.

1.2미터 정도 띄워 심겨진 나무인데 서로 약속이나 한 것처럼 같은 높이에서 첫 가지가 벌어졌다.
▲ 둘이 한몸처럼 자라는 느티나무 1.2미터 정도 띄워 심겨진 나무인데 서로 약속이나 한 것처럼 같은 높이에서 첫 가지가 벌어졌다.
ⓒ 송인규

관련사진보기


형님 땅도 아니고 형님이 심은 것도 아니고 돈을 주고 이 나무의 권리를 산 것도 아닌데, 이 느티나무는 형님 집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처럼 집 앞 개울 건너 아주 적당한 거리에서 싱싱한 물기를 뿜어 올리면서 해가 다르게 자라고 있다.

이 느티나무가 주는 영향은 말로 딱히 설명할 수 없는 미묘한 것이다. 성경에서 아브라함이 브엘세바라는 곳에서 에셀나무를 심고 거기서 영원히 존재하신 하나님을 부르며 살았다고 했는데(창세기 21장 33절) 아브라함이 느꼈을 딱 그런 느낌과 그의 온몸이 받았을 그런 영향을 받는다. '안식과 평화'라고 해야 하나?

70년 정도로 추정되는 느티나무 두 그루가 약 1미터의 간격을 두고 뿌리박고 자라고 있는데 처음 만났을 때는 거목의 자태는 없었다. 그런데 해가 갈수록 품도 커지고 기품이 완숙해졌다. 창조주가 준 작은 것 하나라도 간과하지 않는 경외심과 심미안(審美眼)을 가지고 주변을 살피면 천지에 널려있는 축복을 보게 된다. 나는 이 느티나무를 보면서 마음 깊이 감탄한다.  

이 나무는 사실 두 그루다. 하지만 한 나무처럼 절묘한 어울림을 자랑한다. 왼쪽 나무가 약간 가늘고 부실한데도 불구하고 중심기둥에서 처음으로 벌어진 제1가지들의 높이가 똑같다. 이게 소 닭 쳐다보듯 그냥 지나치고 말 일인가! 이렇게 약속이나 한 듯 첫 가지가 같은 높이에서 벌어지고 나무의 맨 위 가지 끝도 같은 높이를 맞춰서 자란다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며 놀랍고 신비로운 것이다.

분명 두 그루의 나무이지만 바람에 일렁이며 함께 춤추고 원대한 꿈을 하나로 그려낸다.
▲ 하늘에 드리운 나무 자락이 한 나무인듯 분명 두 그루의 나무이지만 바람에 일렁이며 함께 춤추고 원대한 꿈을 하나로 그려낸다.
ⓒ 송인규

관련사진보기



살짝 부는 바람에도 흔들리며 일렁이는 맨 끝 잔가지들은 학교 운동장에 풀어 놓은 아이들처럼 재잘거리며 춤을 추고 푸른 꿈을 꾸고 있는 것이리라. 해 질 녘 천수만의 가창오리 수천 마리가 군무(群舞)를 추는 광경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낸다. 하늘에 펼치는 거대한 그물처럼, 뫼비우스의 띠처럼 일사불란한 새들의 움직임은 분명 놀라운 것이다. 그래서 이 장관을 구경하려고 사람들은 숨을 죽이고 몇 시간씩 기다리는 것이다.

사람들이 눈길을 주지 않지만, 조용히 펼쳐가는 대장관을 보라! 마치 젊은 연인들끼리 서로 팔을 내밀어 러브마크를 그리듯 두 그루의 느티나무는 완벽히 하나의 나무가 되어 넓은 자락을 푸른 하늘에 펼쳐 둥그런 원을 그리고 있다. 잎을 다 떨군 앙상한 겨울 가지 끝마다 봄을 기다리고 있는데, 찬바람과 눈보라를 함께 맞으면서도 새봄에 틔울 꽃눈과 잎눈을 잉태하고 있다.

찬바람과 눈보라를 맞으면서도 부지런히 생명활동을 하고있는 한 쌍의 느티나무
▲ 새봄을 맞기 위해 꽃눈과 잎눈을 잉태하고... 찬바람과 눈보라를 맞으면서도 부지런히 생명활동을 하고있는 한 쌍의 느티나무
ⓒ 송인규

관련사진보기


여름의 느티나무는 큰 그늘을 만들어 시원한 휴식(休息)을 제공하고 있다. 형님은 그늘에 너덧 평의 평상을 깔고 방수가 되는 소파까지 갖다 놓았다. 목침 서너 개가 늘 준비되어 있어 세상에서 제일 편한 낮잠을 잘 수 있다. 이 나무가 제공하는 소슬한 바람과 그늘 덕분에 가장 무더운 여름날에도 형님 집은 더운 줄을 모른다.

느티나무가 제공하는 시원한 그늘은 동네사람들의 사랑받는 휴식처다. 평상 위에서 열댓명이 낮잠을 잘 수 있다.
▲ 한여름의 시원한 휴식처 느티나무가 제공하는 시원한 그늘은 동네사람들의 사랑받는 휴식처다. 평상 위에서 열댓명이 낮잠을 잘 수 있다.
ⓒ 송인규

관련사진보기


거실 창문을 통해 바라본 느티나무는 살아있는 그림이다. 나무는 계절에 맞춰 옷을 갈아입고, 많은 사연과 비밀을 가진 현자처럼 지혜로운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어하며 조용히 말을 걸고 있다. 그 이야기를 한 번 들어보자.

창문은 한 폭의 살아있는 그림을 그려낸다. 자연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여 시시각각 표현한다.
▲ 형님집 거실 창문을 통해서 본 느티나무 창문은 한 폭의 살아있는 그림을 그려낸다. 자연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여 시시각각 표현한다.
ⓒ 송인규

관련사진보기


고목(古木)이라고 결코 부를 수 없는 그다지 오래되지 않은 이 느티나무는 유복하게 자라난 청년처럼 보이지만 사실 가슴 아픈 사연이 있다.

소싯적에 이 나무를 심은 노인은 나무에 올라가 가지를 자르다가 떨어져 죽었다. 잘라낸 가지의 흔적이 세 군데 보인다.
▲ 이 나무를 심은 노인은 이 나무에 떨어져.. 소싯적에 이 나무를 심은 노인은 나무에 올라가 가지를 자르다가 떨어져 죽었다. 잘라낸 가지의 흔적이 세 군데 보인다.
ⓒ 송인규

관련사진보기

이 나무를 심은 이는 형님 집이 들어서 있는 땅을 판 H노인이다. 그 노인이 소싯적에 자기 키만큼이나 되는 느티나무 묘목을 구해다가 심은 것인데, 쑥쑥 잘 자라서 논에 그림자가 크게 드리운 게 화근이 되었다.

H노인은 심술이 많은데다 인색하기로 온 동네에 평이 나 있었다. 열댓 평에서 벼농사를 얼마나 잘 지어서, 큰 수확을 보겠다고 그 노인은 나무를 잘라내기로 작정을 하고 온 동네에 떠들고 다녔다. 동네 사람들은 다 일어나 말렸다고 한다.

"이미 온 동네 사람들이 그늘에서 쉬고 막걸리도 마시고 하는 건데 놔두세요. 동네 지킴이가 된 나무는 함부로 베는 법이 아닙니다."

그래도 H노인은 거추장스러운 가지라도 몇 개 잘라내겠다며 기어이 나무 위로 올라가 세 개의 가지를 자른 다음 자신이 자른 나뭇가지와 톱과 함께 떨어져 죽었다는 것이다.

'자기가 심은 나무를 마땅치 않아 자기가 베다가 죽었다.' 참 묘한 인연이다. 형님은 나무에 심술을 부린 이유가 따로 있다고 말했다.

"집터를 팔고 우리 집을 짓고 나니까 나무가 우리 집에 그냥 딱 맞춤 인거야. 나무는 자기가 심었는데, 덕 보는 놈 따로 있는 게 심사가 꼬였지" 

H노인이 세상을 떠난 후, 이 느티나무는 마을에 살아 있는 전설이 되어 버렸다. 젊고 싱싱한 전설 말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인터넷 생태신문 '새마갈노'http://www.eswn.kr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생존경쟁, #상호부조, #느티나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는 현재 충북 괴산에 귀농하여 농사를 짓고 있으며 초록동심원이라는 농사영성치유공동체를 세워가고 있습니다. 농사와 생태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땅에 엎드려 하늘을 본다." (伏地仰天)이 제 신앙과 삶의 자세입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