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각으로 23일 오전 3시 30분부터 벌어진 한국과 나이지리아의 B조 마지막 경기에서 박주영이 동점골을 넣을 때 박지성은 왜 나이지리아 선수들이 쌓은 벽 사이에 버티고 있었을까?

"마크의 3원칙 지키지 못해 선취골 허용"

축구해설가 신문선 교수(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전 SBS 해설위원)가 낸 퀴즈다. 그 이유를 신 교수는 이렇게 설명했다.

 한국 축구 대표팀이 월드컵 사상 첫 원정 16강에 진출한 가운데 23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오마이뉴스> 스튜디오에서 열린'신문선의 거침없는 하이킥 3탄, 나이지라아전 평가한다' 오마이TV 생방송에서 축구해설가 신문선 명지대 기록정보과학 전문대학원 교수가 박주영이 동점골을 넣을 때 박지성이 나이지라아 선수들 벽 사이에 서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 축구 대표팀이 월드컵 사상 첫 원정 16강에 진출한 가운데 23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오마이뉴스> 스튜디오에서 열린'신문선의 거침없는 하이킥 3탄, 나이지라아전 평가한다' 생방송에서 축구해설가 신문선 명지대 기록정보과학 전문대학원 교수가 박주영이 동점골을 넣을 때 박지성이 나이지라아 선수들 벽 사이에 서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유성호


"박지성 선수가 나이지리아 선수들 사이에 서 있는 것은 이 중간으로 볼이 왔을 때 길을 확보하는 의미도 있지만 그 전에 골키퍼의 시야를 가리는 것이다. 지금 골키퍼의 얼굴을 한 번 보라. 골키퍼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당히 긴장해 있다. 나이지리아 골키퍼는 박지성 때문에 이 볼이 벽을 통과할 때까지 볼을 보지 못했다."

신 교수는 23일 오전 <오마이TV>를 통해 생중계 된 <신문선의 거침없는 하이킥, 나이지리아전을 평가한다>에 출연해 한국팀의 득점 장면과 실점 순간을 면밀하게 분석했다.

신 교수는 나이지리아에 선제골을 허용했던 것은 마크의 3원칙을 지키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축구에서 수비를 할 때는 마크를 그냥 하는 것이 아니다. 원리가 있다. 첫째는 볼과 수비수와 골문이 일직선이 되게 하라는 것이다. 공격수가 볼을 잡을 때 수비수가 골문과 볼과 일직선이 되게 위치하는 것이 첫 번째 원칙이다. 두번째는 상대 선수를 태클 거리 안에 두라는 것이다. 멀리 떨어져 있게 되면 공격수가 자연스럽게 드리볼을 할 수 있고 패스를 할 수 있게 된다. 공격수를 태클 거리 안에 두어서 언제든지 이 선수를 마크할 수 있게 하는 그런 움직임을 하라는 것이다. 세번째는 볼과 공격수를 한 시야에 두고 같이 볼 수 있게 하라는 것이다. 한국이 실점을 하는 장면을 보면 차두리 선수가 이 위치에서 볼도 보고 상대 선수도 볼 수 있도록 몸을 돌렸으면, 그렇게 다급한 상황이 되지 않았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면서 첫 골을 내줬다."

"우루과이 선수들, 부딪치면 절대 밀리지 않아"

 한국 축구 대표팀이 월드컵 사상 첫 원정 16강에 진출한 가운데 23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오마이뉴스> 스튜디오에서 열린'신문선의 거침없는 하이킥 3탄, 나이지라아전 평가한다' 오마이TV 생방송에서 축구해설가 신문선 명지대 기록정보과학 전문대학원 교수가 수비할때 마크의 3원칙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 축구 대표팀이 월드컵 사상 첫 원정 16강에 진출한 가운데 23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오마이뉴스> 스튜디오에서 열린'신문선의 거침없는 하이킥 3탄, 나이지라아전 평가한다' 생방송에서 축구해설가 신문선 명지대 기록정보과학 전문대학원 교수가 수비할 때 마크의 3원칙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유성호


신 위원은 한국팀이 8강 진출을 놓고 맞붙게 될 우루과이 팀의 특성으로 3가지를 지적했다.

"첫째 수비가 안정되어 있다. 우루과이팀은 이번 조별 예선에서 단 한 점의 실점도 없었다. 4득점에 무실점이다. 둘째로 거칠다는 점이 특징이다. 아르헨티나도 거칠지만 우루과이 거친 것과는 다르다. 선수들의 표현을 그대로 하자면 우루과이 팀은 좀 지저분하다. 팔꿈치를 쓰고 잡아 다니고, 부딪치면 절대로 밀리지 않는다. 아주 끈끈하게 상대를 물고 가고 몸싸움의 축구를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유러피언 골든 슈 상을 수상한 포를란(아틀레티코 마드리드)과 한 시즌에 35골을 넣은 수아레즈(아약스) 같은 세계적인 공격수를 보유하고 있다."

신 교수는 우루과이팀을 상대로 경기할 때 공격수 포를란과 수아레즈의 발을 어떻게 묶어서 무력화시키는지가 승리의 관건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아르헨티나전에서 메시 선수가 문전 측면쪽에서 들어올 것을 예상해서 큰 그물을 쳤지만, 큰 고기(메시)는 그물 바깥으로 나갔다. 포를란 선수가 한국전에 어떻게 뛸 것인가 이런 점을 면밀하게 살펴야 한다."

"멀리서 본 사람들이 선수 인격 모독하거나 공격하는 것 위험"

 한국 축구 대표팀이 월드컵 사상 첫 원정 16강에 진출한 가운데 23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오마이뉴스> 스튜디오에서 열린'신문선의 거침없는 하이킥 3탄 나이지라아전 평가한다' 오마이TV 생방송에서 축구해설가 신문선 명지대 기록정보과학 전문대학원 교수가 한국과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 대해 기록을 분석하며 설명하고 있다.

한국 축구 대표팀이 월드컵 사상 첫 원정 16강에 진출한 가운데 23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오마이뉴스> 스튜디오에서 열린'신문선의 거침없는 하이킥 3탄 나이지라아전 평가한다' 오마이TV 생방송에서 축구해설가 신문선 명지대 기록정보과학 전문대학원 교수가 한국과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 대해 기록을 분석하며 설명하고 있다. ⓒ 유성호


신 교수는 이외에도 "스타팅 멤버를 결정하는 것은 감독의 몫"이라며 선수들에 대해서 가장 잘 알고 있고 가까이 있는 감독에 대해서 멀리서 본 사람들이 인격을 모독하거나 특정 선수를 공격하는 것은 위험하다"며 "특히 언론들이 인터넷 공간에서 만들어진 이야기를 확대 재생산해 경기를 앞두고 감독이 현명한 판단을 하는 데 눈을 가려서는 안 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특정 선수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거나 비판할 때에는 면밀한 데이터를 갖고 논리적으로 풀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이제 16강 벽을 넘고 8강을 향해서 더 빨리 뛰어야 하는데, 뛰는 선수들 어깨 가볍게 해주자. 정성과 노력은 선수단 23명만의 몫이 아니라 국민 모두의 마음이 거기 얹어지는 것"이라며 "노력하고 열정을 다한 팀에게 신은 승리를 부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문선 월드컵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진기자. 진심의 무게처럼 묵직한 카메라로 담는 한 컷 한 컷이 외로운 섬처럼 떠 있는 사람들 사이에 징검다리가 되길 바라며 오늘도 묵묵히 셔터를 누릅니다.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