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부가 인천만 조력발전소 사업을 강행하기위해 주민설명회를 밀어붙이자 지역주민과 환경단체 등이 이를 저지하는 등 강력반발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11일 오전 강화문예회관에서 인천만 조력발전소 사전환경성 검토와 관련 주민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사업 시행을 위한 절차를 밀어 붙이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한수원은 지난해 11월 영종도에서 주민 설명회를 개최한데 이어 강화군에서도 똑같은 설명회를 열려다 당시 새우젓 등을 뿌리며 항의하는 반대 측 주민들 때문에 무산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수원은 오늘(11일) 강화문예회관에서 주민설명회강행을 재차 시도했으나 어민대책위(위원장 박용오)와 강화조력발전반대시민모임 측의 반대로 또다시 행사가 무산됐다.

 

지역주민들은 강화조력과 인천만 조력발전소가 건립될 경우 조류의 흐름이 바뀌고 부유물질과 염분의 농도가 증가되어 꽃게나 주꾸미, 병어, 밴댕이, 새우어장 등이 영원히 사라지기 때문에 결사반대 한다며 반대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또"갯벌훼손에 따른 홍수피해와 환경재앙 등 생태계 파괴로도 이어질 수 있다"며 한수원측의 책임 있는 관계자와 대화를 통해 주민설명회를 합법적으로 개최하는 것이 순서라고 주장했다.

 

강화지역 어민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설명회 무산 당시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다시 설명회를 개최하겠다고 약속하더니 결국 아무런 상의도 없이 설명회를 밀어 붙이고 있다"며 "주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로 물리적으로라도 설명회 개최를 끝까지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강화지역을 비롯한 옹진, 김포, 파주, 일산 등에서 700여 명의 어민들이 대거 참여했으며 참가자들은 "어민들의 삶을 파괴하는 강화조력발전건설 계획을 전면 백지화하라"는 구호와 함께 강화공설운동장에서 군청 앞까지 시가행진을 벌였다.

 

이에 대해 한수원측은 어민대표들과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빠른 시일 내에 주민설명회를 다시 개최하겠다며 서둘러 자리를 떴다.

 

한편 한수원은 지난해 6월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에 인천만 조력발전소를 포함시켜달라고 요청해 놓은 상태이며, 국토해양부는 오는 6월 이를 심의해 통과시킬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한수원은 최대한 빨리 공사를 진행해 오는 2017년 6월까지는 공사를 모두 마친다는 계획이다.

 

한수원이 이처럼 서둘러 사업을 강행하려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지난해 법 개정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비율을 2012년 2.0%에서 매년 0.5%포인트씩 높여 2022년까지 10%로 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u포터 뉴스'에도 송고됐습니다. 


태그:#인천만조력발전소, #강화조력발전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