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강화도 4개 섬을 연결해 건설될 예정인 세계 최대규모의 조력발전소 건설을 놓고 찬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 박종이

관련사진보기


강화군은 내년 3월 안으로 공사를 착공한다는 입장인 반면 환경단체와 어민단체들은 환경파괴와 생존권사수를 위해 절대불가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강화조력발전소는 강화본도와 교동도, 서검도, 석모도 등 강화 인근 섬 4개를 연결해 7.79km에 달하는 조력댐 방조제를 막고 수차 28개, 수문 10개를 설치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시간당 예상 발전용량이 812MW로 세계 최대 규모인 프랑스 브르타뉴 랑스(250MW)와 최근 완공단계에 있는 시화호(254MW)조력발전소보다 무려 3배나 큰 규모로 총 사업비 2조 3천여억 원이 투입되며, 이 발전소가 건설될 경우 인천시 전체 93만가구 가운데 40%가 넘는 약 40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엄청난 규모의 전력량이다.

인천시는 강화군과 한국중부발전㈜, 대우건설컨소시엄이 공동으로 추진 중인 강화조력발전소를 늦어도 오는 2017년까지 모든 공사를 마무리하고 상업운전을 개시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강화조력발전소의 구체적인 사업 계획이 발표되자 이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인천 강화도 주변 해역과 한강 하구에서 어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은 17일 "강화조력발전소가 건설되면 해역 환경 변화로 어종과 어획량이 급감할 것"이라며 조력발전소 건설 반대 시위를 벌였다.

강화도와 경기북부 4개 시군(강화군, 김포시, 파주시, 연천군) 어민들로 구성된 경인북부어민대책위원회(위원장 박용오) 소속 어민 400여명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강화군 강화읍 구 풍물시장 자리에서 집회를 갖고 강화조력발전소 건설계획을 철회해줄 것을 인천시와 강화군에 촉구했다.

이들은 "발전소가 건설되면 강화도 해역은 물론 경기 북부 연안에도 영향을 미쳐 부유물이 늘고 조류는 물론 염도와 수온 등이 변화해 강화도의 대표적 특산 어종인 새우와 밴댕이 등이 급격히 감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방조제가 건설되면 한강 하구의 물길이 막혀 남. 북한 내륙지방에 홍수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에 '제2의 임진강 황강댐 방류' 발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한편 이날 시위를 벌인 어민들은 주로 한강 하구 지역과 강화도 앞바다에서 숭어와 농어, 새우, 뱀장어, 병어 등을 잡아 생계를 꾸려가고 있으며, 이런 어류의 최대 산란지가 모두 강화 앞바다에 형성돼 있어 계획대로 조력발전소가 건설될 경우 산란환경이 모두 파괴돼 어획량 감소에 따른 어민들의 생존권 위협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경기도와 인천 북부지역 어촌계에는 1260여명의 어민들이 강화도 앞바다에서 생계를 위해 거친 파도와 싸워가며 조업활동을 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 에너지 개발' 논리로 무장한 인천시와 강화군의 의지대로 조력발전소가 건설될 경우 환경파괴와 어민들의 생존권을 둘러싼 논란이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대한매일신문'에도 송고됐습니다.



태그:#강화조력발전소, #경인 북부어촌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