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여기 있던 지저분한 집들이 다 사라졌네요, 헝클어진 내 머리를 깔끔하게 자른 기분입니다."

무허가 집들을 철거하고 노란 꽃밭으로 변신한 해안마을을 보고 강릉시민이 던지는 말이다. 강릉시 안현동 사근진해변 이야기다.
   
바다와 인접한 꽃밭에 방문객들이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2024/5/15)
▲ 사근진 유채꽃밭 바다와 인접한 꽃밭에 방문객들이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2024/5/15)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이 곳에 가면 푸른 파도와 노란 들녘이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바다와 가장 가까이서 꽃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사근진 - 순긋은 경포해수욕장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소규모 간이해수욕장으로 아담한 해변이다. 인근의 경포 해변이 젊은이들이 찾는 곳이라면 사근진 - 순긋해변은 조용하고 수심이 얕아 가족단위의 피서객들이 선호하는 곳이다.

서울에서 온 김천일씨(75세) 부부는 "바닷가 인근에서는 제주도에서만 유채꽃을 볼 수가 있었는데 동해안에 와서 이렇게 가깝게 꽃을 본다는게 행운"이라며 즐거워 한다.
 
경포해변 북쪽에 위치한 한적한  해변이다
▲ 사근진해수욕장 경포해변 북쪽에 위치한 한적한 해변이다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한때는 파도소리를 들으면서 신선한 회를 저렴하면서도 맛깔스럽게 먹을 수 있는 횟집들이 줄지어 있어 시민들이 선호하는 해변이었다. 그야말로 가성비 좋은 횟집이 있는 해안가였다.

꽃밭 소문을 듣고 방문했다는 한 강릉시민은 "회를 먹기 위해 가족들과 함께 자주 왔던 곳인데 횟집은 철거가 되어 아쉽지만 노란 유채꽃밭으로 변해있어 너무 좋습니다. 또 다른 시민은 동해안 해안가는 천편일률적으로 소나무(해송) 군락인데 이곳은 노란 유채꽃으로 조성돼있어 신선함을 일으킵니다. 더 많은 볼거리가 생겨 좋습니다"하고 기뻐하는 모습이었다.  
 
강ㄹ으시 안현동 해안가에 핀 곷(2024/5/15)
▲ 유채꽃 밭 강ㄹ으시 안현동 해안가에 핀 곷(2024/5/15)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동해안은 고파랑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표사이동으로 인한 연안침식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이곳은 너울성 파도로 인해 해안가 도로 뿐만 아니라 주택이 파괴될 정도로 상태가 심각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임시방편으로 응급복구를 펼쳐왔던 지역이다.

지난 2021년 연안침식실태조사에서 해안침식 위험등급으로 판정 이후 2023년도 역시 같은 등급으로 판정되었던 위험 지대였다.

연안침식실태를 조사하는 장성렬 박사는 "이곳은 예기치못하는 너울성파도와 이상파랑 내습으로 해안침식이 심각해 위험등급인 D등급 판정을 받은 지역이다. 인공구조물인 잠제(수중방파제)를 설치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했고 또한 정비되지 않은 무허가 건축물들과 해안도로는 해안침식에 그대로 노출된 해변이었다"라고 지적한다.
 
반복되는 연안침식으로 몸살을 앓았던 해변이다(2022/10)
▲ 순굿해변 반복되는 연안침식으로 몸살을 앓았던 해변이다(2022/10)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아스팔트가 무너져 절벽을 이룬 해안가(2023/12/6)
▲ 연안침식 아스팔트가 무너져 절벽을 이룬 해안가(2023/12/6)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이곳에 정비되지 않은 불법건축물과 연안침식은 방문객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에 2020년 제3차 연안정비기본계획에 포함돼 당초 인공시설물 등을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주변 지역 2차 피해 발생이 우려되어 육지에 침식 완충구역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고.

해안 침식을 줄이기 위해 바다에 인공구조물을 설치하던 방식에서 육지에 완충구역을 만드는 쪽으로 방향을 바꾼 것이다. 이는 수온상승과 해수면 상승 등 기후변화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해안침식에 근본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공간을 많이 확보해 해안선 자체를 내륙 쪽으로 후퇴시키는 개념이다. 바로 국민안심해안 사업이다.   
   
강릉시 해안로에 위치한 순굿해변의 철거전 모습(2023/7/13)
 강릉시 해안로에 위치한 순굿해변의 철거전 모습(2023/7/13)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불법건축물을 철거하고 공원으로 조성하고 있다(2024/5/14)
▲ 사근진-순긋해변 불법건축물을 철거하고 공원으로 조성하고 있다(2024/5/14)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이 사업은 연안재해 위험이 높은 해안 지역의 토지를 사들여 그 공간에 친환경 공원을 만드는 것이다. 전국에서 강릉시와 전북 고창군 시범지역으로 선정됐다. 이번 완충구역은 강릉시가 추진하는 경포3지구 녹지축 조성 사업과 맞물려 추진돼 사업 성과가 크게 기대된다.

국민안심해안 사업은 사근진-순긋지구 해안 1.5㎞ 구간 5만 6743㎡로 사업비 220억 원을 들여 2026년까지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사근진-순긋해변은 '국민안심해안'으로 조성돼 나무숲 외에 어떤 인공구조물도 들어설 수 없는 친환경 공원으로, 해안 완충지대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한 강릉시의 해변 녹지축 공원화 사업과 맞물려 연안재해로부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또한 동해안 명소로 조성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유채꽃밭으로 변신한 해안가
▲ 순굿해변 유채꽃밭으로 변신한 해안가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아래 사진은 사근진 - 순긋해변 해안침식이 심각했던 2021년 모습과 2024년 4월의 모습을 비교한 것이다. 해안가 인근 45가구 53개 동의 불법건축물을 철거하고 난 이후, 절벽과 임시복구현장은 사라지고 백사장이 다시 회복된 것을 한눈에 알 수가 있다. 인공구조물인, 해안도로와 집들을 철거한 후퇴 공법이 성공을 거둔 셈이다.
     
침식등급  D등급으로 위험지구로 노출되어있던 해변(2021/9/15)
▲ 상습침식지역 침식등급 D등급으로 위험지구로 노출되어있던 해변(2021/9/15)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침식이 심해 임시방편으로 복구했던 해변이 모래사장으로 변모(2024/5/14)
▲ 순굿해변 침식이 심해 임시방편으로 복구했던 해변이 모래사장으로 변모(2024/5/14)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친환경공법으로 성공, 연안침식이 사라지고 자연생태계를 회복한 서해안 기지포해안 역시, 1970년대부터 인공구조물이 설치되면서 파도의 방향이 바뀌고 바닷모래 채취와 하천 퇴적물 유입 등으로 해안침식이 심각한 해변이었다.

그 심각성을 인식한 국립공원공단은 친환경 공법으로 선회, 해안선이 복구되고 연안침식이 사라진 해변으로 거듭났다. 대나무를 엮어 만든 모래 포집기가 그 역할을 했다. 포집기는 대나무를 엮어 만든 약 1.2m 높이 정도 되는 울타리로 해안가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설치해 두면 바람에 날려온 모래가 그 자리에 쌓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설치 이후 옛 해안가의 모래모습을 그대로 복원할 수 있었다고. 해안사구가 복원되자 통보리사초, 갯멧꽃, 갯그령 등 사구 식물 10여종도 자연 유입되어 자연식생을 연구하는 많은 탐방객과 관광객이 찾는 해안가로 다시 태어났다.
 
갯메꽃
 갯메꽃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선진국에서는 연안침식이 심각한 해변은 해안도로나 건축물 등 인공구조물을 해안선으로부터 후퇴시켜 해빈을 확보하고 침식을 예방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해안침식전문가인 한 교수는 "미국 플로리다 해안도 침식이 심각했던 해변이었습니다. 그러나 해안도로와 건물들을 뒤로 후퇴해 모래해변을 회복하고 그곳에 공원조성함으로써 연안침식 방지는 물론 관광지로서 면모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국내에서도 인공구조물설치 보다는 친환경공법으로 전환이 필요한 때입니다"라고 말한다.

사근진 - 순긋해변은 동해안에서 유일하게 국민안심해안 사업으로 선정된 곳이다. 나무숲 외에 어떤 인공구조물도 들어설 수 없는 친환경 공원으로 조성된다. 이제 시작에 불과한 초기 사업인 만큼 본래 목적에 맞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이곳에 터를 잡고 살아온 전찬길씨(64세)는 "사근진 해변이 동해안 해안가의 또 다른 명소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면에 우려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주말이면 관광객들은 몰려드는데 주차공간도 협소하고 화장실도 부족합니다. 이 지역에 살고있는 주민 조차도 어떤 사업인가를 모르고 있습니다. 국민안심사업 취지에 맞게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홍보를 해야 합니다"하고 아쉬워 한다. 

해안은 사회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지만 무분별한 개발과 불필요한 인공구조물 설치로 인해 연안침식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고파랑 등의 영향으로 침식은 가속화되고 있다.

이제는 해안도 자연으로 돌려줄 때다. 해안 지역의 접근성 및 이용성을 높이는 친수공간을 마련하고 해안의 공적인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방향으로 선회해야 한다.
 
꽃밭조성으로 관광객이 몰리고 있다(2024/5/15)
 꽃밭조성으로 관광객이 몰리고 있다(2024/5/15)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태그:#연안침식, #안심해안, #불법건축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그물에 걸리지않는 바람처럼!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