캥거루족, 어미의 육아낭 속에서 1년여를 보내는 캥거루에 빗대, 부모에게 경제적 이유 등으로 얹혀사는 젊은이들을 뜻하는 말이다. 이 단어가 우리 사회에 등장한 것은 이웃 일본을 통해서다.

일본은 장기불황에 빠지면서 나이가 들어서도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에 기대어 사는 젊은이들이 늘었다. 이른바 캥거루족이다. 하지만 격세지감이라고 그로부터 미처 10년이 되기도 전에 일본이 맞닦뜨린 그 '불황'은 한국사회를 덮쳤다. 우리 사회에도 '신(新) 캥거루 족이 등장했다. 지난 4일 SBS 스페셜은 <우리 집에 신 캥거루가 산다>를 다뤘다. 

이런 독립할 수 없는 젊은 세대는 모든 나라의 고민이다. 미국에는 대학 졸업 후 경제적 독립을 못해 결혼도 못한 채 부모에게 얹혀사는 트윅스터(Twixter) 족이 있고, 프랑스에는 눈치없는 자식과 부모 사이의 내전을 코믹하게 그린 영화에서 유래된 탕기족이 있다. 영국에는 부모의 은퇴 수당을 좀먹는 키퍼스가 있고, 중국에도 일정한 수입이나 직업없이 부모를 '갉아먹고'사는 컨라오 족이 있다.

평생 엄마 아빠 그늘 아래 쉬고 싶다 

프랑스 영화 <탕기>의 주인공 탕기의 말처럼 캥거루 족은 '평생 엄마 아빠 그늘 아래 쉬고 싶은' 자식들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부모와 같이 사는 미혼 자녀는 1985년 9.1%에 비해 2010년 26.4%로 급격하게 늘어났다. 미혼 자녀만이 아니다. 경제적, 혹은 육아의 이유로 부모와 같이 사는 기혼 자녀의 비중도 4.2% 포인트나 늘었다. 물론 이 통계 안에 자녀의 편의가 아니라, 부모를 모시는 전통적인 '관례'가 있음을 감안한다 해도 급격한 증가율이다. 2016년 대한민국 청년 실업률이 12.5%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저임금 고용불안 등으로 대졸 청년들 가운데 51%가 여전히 부모로 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고 있다.

신캥거루 족의 원래 의미는 결혼 한 뒤에도 부모와 같이 사는 자식들을 뜻하는 말이지만, <SBS스페셜>은 결혼한 자녀는 물론, 결혼할 나이의 자녀들이 여전히 부모와 함께 사는 사례를 '신캥거루족'의 범주에 넣어 다뤘다.


다큐는 여러 유형의 신캥거루 족을 보여준다. 대기업 협력 회사 소장으로 근무하고 있는 안덕호씨. 정년이 2년 남은 그이지만 최근 그가 종사하는 산업의 불황 여파로 그조차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아직 그에게는 부양해야 할 가족이 많다. 고등학교 시절 아이 아빠가 되어 25살 현재 세 아이를 둔, 핸드폰 업체에 근무하는 큰 아들 내외와 대학원 다니는 딸까지 그가 책임져야 한다. 아들은 직장은 다닌다지만 한 달 벌이가 150여만 원. 하지만 안덕호씨네 한 달 생활비는 300만 원이 넘고, 그건 온전히 아버지 안덕호씨의 주머니에서 나온다. 은퇴 후 귀농을 하고 싶지만 후에 봉양을 할 테니 집을 두고 가라는 아들 내외. 아버지가 능력이 되는 한 아버지 그늘에서 버티고 싶다는 아들의 의지에 아버지는 불가항력이다.

결혼을 하지 않았지만 서른 다섯이 되도록 경제적 독립을 하지 못한 인디 밴드 로맨틱 펀치의 기타리스트 강호윤씨도 아버지가 여유 자금을 털어 실용 음악 학원까지 내주며 아들을 뒷바라지하고, 어머니는 아들의 끼니를 책임진다. 그런가 하면 서른이 되도록 직장을 잡지 못한 취업 준비생 아들 김경한씨와 김은정씨의 딸도 당연히 부모의 책임이다. 병원에 입원한 남편을 대신해서 목욕탕에서 일하는 가장 어머니에게 딸은 밀린 핸드폰비라도 내달라 '애걸'하는 신세다. 하지만 어머니는 도와주자니 끝이 없고, 외면하자니 능력이 없는 딸 앞에서 언제까지 너를 보살펴야 하냐고 오히려 읍소한다.

더 심한 경우도 있다. 81세의 고충진씨 노부부는 곰팡이가 핀 낡은 지하 전셋집에 산다. 마흔이 넘은 아들이 있지만 이집엔 경제 활동을 하는 사람이 없다. 중동 공사 현장에서 일해 번듯한 아파트까지 마련했던 아버지, 하지만 대학원까지 나와 사업을 했던 아들은 IMF 외환 위기를 겪으며 아버지 집까지 날려 버렸다. 이제 노부부는 자신의 집도 없이 남의 집에서 죽음을 맞이할 현실에 안타까워하지만 희망은 쉬이 보이지 않는다.

자식에 몰빵한 한국, 사회의 책임은?

세계적 불황이다. 신캥거루족의 증가는 한국도 예외가 될 수 없다. 하지만 '한국'이기에 더 특별한 이유도 있다. 6,25전쟁 이후 자식 교육만이 대한민국 사회에서 '성공'을 담보한다 생각했던 부모 세대는 온전히 자식에게 몰입했다. 전세계 어디서도 보기 힘든 자식에 대한 헌신은 화려한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을 일구었지만, 그 반대 급부로 결혼 적령기를 훨씬 넘긴 자식을 여전히 '아기'처럼 여기는 성숙되지 못한 '가족 관계'를 낳았다.

다큐는 이런 비정상적인 한국 사회의 가족적 인식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노후에 봉양할 테니 지금은 가능한 한 부모의 도움을 받겠다'며 당당히 손을 내미는 자식들과, 심지어 '아기'라 부르며 끼니에서부터 벌이까지 노심초사 뒷바라지를 하는 부모들. 

 우리집엔 신캥거루가 산다

우리집엔 신캥거루가 산다 ⓒ sbs


하지만 다큐는 그저 한국적 특수한 가족관계에만 책임을 돌리지는 않는다. 현재 한국 사회가 '신캥거루 족'을 배태한 원인이 사회 탓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청년층이 첫 직장을 잡는데 걸리는 기간 평균 12개월, 하지만 그 조차도 상당수가 계약직인 고용 불안이 항시적으로 존재하는 한국 사회에서, 자녀들에게 '경제적 독립'은 먼 꿈과도 같은 일이다. 또한 한 개인의 경제적 실패를 온전히 그 개인, 그리고 가족이 짊어져야 하는 '가족 책임'의 사회에서 부모는 책임의 수레바퀴에서 쉬이 벗어날 수 없다. 40·50대의 70%, 그리고 60,70대의 53%가 은퇴 준비 대신 자녀를 우선 지원하겠다는 부모 세대의 인식은 이런 한국 사회의 불안정한 구조를 견디는 버팀막이 되고 있고, 그 현실이 '신캥거루 족'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는 걸 다큐는 강조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SBS스페셜-우리집에 신(新) 캥거루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4년 5월 공채 7기로 입사하여 편집부(2014.8), 오마이스타(2015.10), 기동팀(2018.1)을 거쳐 정치부 국회팀(2018.7)에 왔습니다. 정치적으로 공연을 읽고, 문화적으로 사회를 보려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