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재호 감독.

윤재호 감독. ⓒ 이선필


한국에서 20년, 프랑스에서 14년 다시 한국에서 2년 - 단편 영하 <히치하이커>로 제69회 칸영화제 감독주간에 초청을 받은 윤재호 감독(36)의 인생 여정이다. "어린 마음에 한국이 싫어서 프랑스로 유학 간" 이후 다큐멘터리와 극영화를 찍는 감독이 돼 있을 줄이야. 영화제가 한창이던 17일 오후(현지시각) 팔레 드 페스티벌 내 영화진흥위원회 부스에서 만난 그는 "외국에서 오래 살다보니 기본적으로 내 시선은 이중적일 수밖에 없다"고 운을 뗐다.

한국에선 생소하지만 윤재호 감독은 이미 네 차례 칸영화제를 방문한 실력파다. 전작 다큐멘터리 <마담B>를 비롯해 2013년 대만영상위원회 지원작 <돼지>로 칸의 초청을 받았고, 그 이전엔 학생 신분으로 단편 부문과 단편 마켓에 참여했다. <마담B> 역시 현재 프랑스독립영화배급협회(ACID)의 초청을 받아 칸영화제 기간에 상영되고 있다. <히치하이커>와 <마담B> 모두 탈북자가 중심이 된 작품.

경계선

"운이 좋아서"라고 윤재호 감독이 간단명료하게 현재 주목을 받는 이유를 전했지만, 그의 작품엔 나름 고유성이 있어 보인다. 이를 '경계선에 선 사람들에 대한 성애'로 정의해도 좋을 것 같다. 그 스스로가 상당 기간 타지에서 경계인으로 살아왔기 때문일까. 윤 감독은 "문화적으로 난 더블컬쳐(double culture)"라고 진단했다.

"2년 전에 한국에 왔을 때 고생 좀 했어요. 외국물 먹었다는 사람들이 한국에 잘 적응 못하는 일이 있잖아요. 제가 그런 쪽이었어요(웃음). 프랑스 문화와 한국 문화 모두 경험했기에 분단을 바라보는 시선이 좀 다를 겁니다. 최대한 중립적으로 보려고 해요. 제가 보는 한국 분단은 하나의 역사일 뿐이거든요. 거기에 얽매여서 서로 싸우는 건 좋지 않은 거 같아요. 화해를 위해 나아가야죠.

어릴 땐 디자이너가 꿈이었고 잠깐 미술대학교에 진학했다가 개인적 사정으로 프랑스에 간 거였어요. 낭시라는 시골 도시가 있는데 한국으로 치면 전주 같은 곳이에요. 거기 가서 사는데 학교가 있으니 시험을 본 거죠. 나중에서야 교수님이 '넌 이론과 실기, 면접 다 빵점이었는데 그림을 잘 그려서 뽑았다'고 하시더라고요. 이곳은 한국처럼 특정 전공을 정하지 않고 다양한 매체를 가르치기에 전 좋았죠."

그러다가 덜컥 만들게 된 첫번째 단편이 바로 <그녀>(2003)라는 제목이었다. 프랑스로 온 한국 이민자의 이야기인데, 앞선 작품과 일말의 연관성이 있어보였다. 윤 감독은 "그때부터 경계선에 놓인 사람들 이야기에 관심이 가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닮은 꼴 영화들

<히치하이커>와 <마담B>는 정서적으로 통한다. 두 작품 모두 탈북자에 대한 이야기다. 20분 분량의 <히치하이커>가 중년의 탈북 남성 이야기를 극화한 것이라면, <마담B>는 탈북을 돕는 여성 브로커에 대한 이야기다. 본래 전혀 다른 작품을 생각하며 취재차 마담B를 만났는데 그만 그의 삶에 빨려들어가버린 셈이다.

"3년 전이었어요. 그 분이 태국에 간다고 해서 동행했는데 발을 잘못 디딘 거죠(웃음). 온갖 험지는 다 다녔어요. 태국에서 라오스로, 라오스 내에서 산을 타야했는데 탈북하신 분들에게 제가 오히려 짐이었어요.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러다 수용소까지 들어가게 됐어요. 탈북자분들은 한국 대사관에서 보호해주는데 제가 졸지에 불법 밀입국자가 돼버린 거죠. 제 여권에 입국 도장이 안찍혀 있는 거잖아요."

여기서 차마 웃지 못 할 사실은 수감 당시 그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준 건 한국 정부가 아닌 프랑스 칸영화제 사무국이었다. 2013년 칸영화제에 그의 영화 <돼지>를 상영했어야 했기에 적극적으로 당국에서 구명을 한 것. 생각보다 일찍 태국에서 추방당한 그는 바로 다음 날 칸 영화제 파티에 참석했고, 당시 경험으로 잠시간 그는 혼란에 빠져있어야 했다.

<히치하이커>를 기점으로 그는 다큐멘터리를 놓을 생각을 하고 있다. "준비 중인 다큐 하나가 있는데 그게 아마 마지막이 될 것"이라며 윤 감독이 넌지시 계획을 밝혔다. 덴마크 코펜하겐 영화제의 지원을 받아 만들게 되는 작품이다.

이야기는 계속된다

 영화 <히치하이커>의 포스터.

영화 <히치하이커>의 포스터. ⓒ 윤재호


다큐가 아닌 극영화에 집중할 생각이지만 그를 둘러싸고 있는 경계선 감성은 지속될 예정이다. "<마담B>의 시발점이 됐던 극영화를 생각하고 있다"며 그는 "14년 동안 서로를 보지 못했던 한국인 엄마와 중국인 아들의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제목은 <엄마>다.

"<엄마>는 드라마 장르지만 그 안에 스릴러 요소도 있습니다. 중국인 아들을 쭉 따라가는 영화가 될 것인데 그렇다고 로드무비는 아닙니다. 아무래도 이처럼 경계선에 있는 사람들 이야기를 계속 할 거 같아요. 한국 관객 분들도 만나고 싶어요. <마담B>에 국정원 이야기가 나와서 지난 전주국제영화제 때(해당 작품은 전주국제영화제 초청작이기도 하다-기자 주) 걱정을 많이 했는데 생각보다 반응이 나쁘지 않아서 놀랐어요. 영화를 부담스러워하기보단 하나의 이야기일 뿐이라고 생각하시더라고요."

칸이 총애하는 그의 작품을 만나고 싶다면 오는 6월을 놓치지 않길 바란다. 분단과 관련된 CGV 기획전에서 그의 작품 <히치하이커>가 함께 상영되니 말이다. <마담B>는 오는 11월 프랑스에서도 개봉된다.

윤재호 히치하이커 칸영화제 감독 탈북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