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사제들>에서 다른 사제들은 아웃사이더 김 신부의 구마의식을 못마땅해 한다. 종교가 이성의 영역으로 들어온 시대, 기성으로 대표되는 이들은 한 소녀의 불행을 오히려 외면한다.

<검은 사제들>에서 다른 사제들은 아웃사이더 김 신부의 구마의식을 못마땅해 한다. 종교가 이성의 영역으로 들어온 시대, 기성으로 대표되는 이들은 한 소녀의 불행을 오히려 외면한다. ⓒ 영화사 집


<검은 사제들>을 보고 나왔을 때, 깔끔하게 잘 만들어진 영화란 느낌을 받았다. 만듦새에 있어 군더더기 없고, 배우들의 연기는 적절했으며, 감독의 과잉은 피해갔다. 삼박자가 잘 갖춰진 영화였다.

엑소시즘, <검은 사제들> 표현에 따르면 구마(驅魔)는 귀신을 쫓는 의식 또는 일을 지칭한다. <검은 사제들>에서 다루고 있는 엑소시즘 자체는 지난 1973년에 개봉한 영화 <엑소시스트>를 넘어서지 못한다. 소녀의 몸속에 들어간 악마를 사명감을 가진 두 사제가 축출한다는 원론적 이야기 구조를 그대로 따른다.

하지만 이 평범한 엑소시즘의 이야기 구조를 장대현 감독이 '한국 사회'에서 구현하면서, 특별한 구제 장치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사회적 의미를 지닌 엑소시즘

영화의 시작은 뺑소니 사건으로 시작된다. 12악령 중 한 악령이 한국으로 잠입(?)했다는 소식을 받아든 장미십자회는 비밀리에 구마 사제를 한국으로 급파한다. 악령을 손에 넣은 채 다급히 강으로 향하던 교황청의 사제는, 그 과정에서 뺑소니 사건을 일으키고 만다. 영화 초반, 그저 사제의 차량 충돌 사고로 보여 졌던 사고는, 영화 후반 사실 뺑소니 사고였음이 드러난다. 그렇게 영화는 평범한 엑소시즘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한다.

구마라는 목적을 위해 거리를 거닐던 평범한 여고생을 치고 달아나는 사제. 비록 그것이 악령의 의도된 도발이라 할지라도, 이 행동은 목적을 위해 평범한 사람을 희생시키는 '권력'을 상징한다.

결국 악령을 퇴출하는 데 실패한 로마 교황청. 그를 대신해 뺑소니 사건의 희생자인 소녀의 몸속에 들어간 악령을 퇴출하고자 김 신부가 나선다. 하지만 한국의 기성 가톨릭 교단 및 관계자들은 김 신부의 구마 의식에 냉소적이다. 구마와 관련된 회의를 하지만, 대주교는 참석은 하되, 자신은 참석하지 않은 듯, 악령에 대해 그 어떤 메시지도 남기지 않은 듯 그 자리를 떠나 버린다.

나머지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12번째 부사제인 최 부제를 선택하고 소개시켜주면서도 막상 그에게 김 신부의 비리 영상을 찍어오라는 학장 신부, 어떻게든 김 신부의 구마 의식을 무마하려는 수도원장. 이들의 엑소시즘에 대한 태도는 이율배반적이다. 문제를 어떻게든 최소화하면서 잡음은 없애려고 하는 무사안일 권위주의의 태도로 일관한다. 그런 권위에 대항하는 김 신부는, 교단의 정통 신부의 모습에서 비켜선 아웃사이더 그 자체이다.

이렇게 권위 혹은 기성 권력에 대항하는 엑소시즘은 또한 이성에 대한 대비로서도 스스로를 규정한다. 학장 신부는 최 부제에게 한국의 가톨릭에 대해, 모든 미신에 맞서 싸우며 성장한 이성의 종교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런가 하며 대주교와의 회의에서 기회주의적인 모습을 드러내 보였던 수도원장은, 정작 정부에 대항하는 반정부적 시위에서 활약한다. 이렇게 영화 속 엑소시즘은, 이성이라는 근대의 산물이 활약했던 영역에서, 그 이성의 상대편으로 자리매김한다. <검은 사제들>의 엑소시즘은 탈근대적 모습으로 등장한다.

종교성은 이성만의 영역이 아니다. 그러나 근대 이후로는 다르다. 종교는 이성의 영역으로 여겨졌다. 사회의 민주화를 외치지만, 정작 한 소녀의 불행에는 둔감해진 종교. 한국 사회에서 종교와 시민운동이 어쩌면 편협하게 성장한 것은 아닌지 문제를 제기한다. 결국 근대 사회는 '이성'이라는 굳건한 토대를 만들었지만, 영화 속 김 신부의 엑소시즘을 어떻게든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그 '이성'만의 토대가 얼마나 허약한 것인가. 영화는 그렇게 외치고 있다.

 영화 <검은 사제들>의 한 장면. 구석에서 강동원이 목격하는 것 그리고 그의 갈등은, 이 한국사회가 가지고 있는 체계와 권위가 얼마나 취약한 것인지 여실히 보여준다.

영화 <검은 사제들>의 한 장면. 구석에서 강동원이 목격하는 것 그리고 그의 갈등은, 이 한국사회가 가지고 있는 체계와 권위가 얼마나 취약한 것인지 여실히 보여준다. ⓒ 영화사 집


김 신부의 구마 의식이 진행된다. 강력한 악령을 견디지 못해 뛰쳐나온 최 부제는 골목으로 숨어든다. 숨어든 골목, 그 어둠 그리고 그가 한 발만 내밀면 들어설 수 있는 휘황찬란한 거리. 그가 숨어 있는 어둠과 외부의 밝은 허상이 절묘하게 대비된다. 더구나, 악령에 시달리며 죽어가는 소녀의 집은 서울의 중심 명동 한복판이다. 그 복잡한 도시의 한 구석이자, 그 중심의 틈새이다. 이를 통해 영화는. 번듯한 우리 사회가 가진 체계와 권위가 얼마나 허약한지, 그 빈 구석을 고스란히 설명한다.

최 부제는 한 발짝만 나서면 그 몸의 흉한 흔적마저 사라질 빛의 세계로 갈 수 있다. 역으로 그 밝은 세계는, 한 발짝만 내딛으면 소녀가 악령에 휩쓸려 희생되어가는 어둠의 세계이다. <검은 사제들>의 엑소시즘이 설득력을 가지게 되는 것은, 엑소시즘을 다룬 어느 영화에서나 등장했던 구마 의식 그 자체 때문이 아니다. 발전과 성공, 그리고 이성의 체계가 자리 잡은 한국 사회의 어둠, 골목, 그 틈새를 조명했기 때문이다.

기존의 권위와 이성의 영역에서 인정받아온 그 모든 것을 적으로 돌린다. 구마 의식이 맞닿아 있는 곳은 샤머니즘이다. 근대의 이성을 탈피한 엑소시즘이 찾아간 곳은 뜻밖에도 가장 원시적이며 원초적인 종교성 그 자체였다. 그래서 김 신부는 제천법사와 그의 뒤를 잇는 딸 영주 무당과 함께 영신의 몸속에 들어간 악령을 퇴출하고자 한다. 마치 이성의 세계에 환멸을 느낀 탈근대주의자들이 감성과 비논리, 상대주의의 세계에 침잠했듯이 말이다. 한국 사회를 이룬 기성의 체계에서, 그 절름발이 이성의 뒤안길 같은 구마 의식으로 소녀를 구원한다.

하지만 이런 행위가 그저 전체를 제쳐버리고 개인으로의 회귀를 뜻하지는 않는다. 개인적 고뇌를 신부의 길로 도피한 최 부제. 자신의 트라우마와 속죄의식을 구마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결국 '구원'의 길을 얻는다. 결국 개인의 문제는 전체적 혹은 사회적 차원에서 해결될 수밖에 없음을 영화는 제시한다.

배우들의 호연, 그보다 돋보인 감독의 절묘한 배합

이 영화를 보고 난 후 관람객들의 평 중 대다수는, 만화가 강풀이 자신의 영화 리뷰 웹툰 <강풀의 조조>에서 평한 것과 비슷하다. '강동원이 나왔다, 강동원이 사제복을 입고 나왔다'처럼 배우의 존재감에 대한 평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역시나 강동원의 존재감이 드러났지만, 동시에 아쉬움이 제기됐던 <군도>와 대비되는 평이기도 하다.

존재감이 강력한 강동원이란 배우가, 똑같이 그 우월한 실루엣으로 영화를 휘젓지만 반응은 다르다. <군도>가 강동원의 비주얼이 오히려 이야기 구조를 무너뜨린 데 비해, <검은 사제들>은 오히려 득이 됐다. 관객이 강동원의 외모에만 빠져들지 않고 '약'으로 잘 친 장대현 감독의 성과이다.

김윤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버려진 고아였던 그가 또 다른 아이를 유기하여 자신과 같은 괴물로 키울 때나(<화이>), 폐선 직전의 배를 지키기 위해 몸부림칠 때나(<해무>) 마찬가지였다. 언제나 그 무언가와 대적하여 스스로 괴물이 되어 싸우는 존재로 등장한다. <검은 사제들> 역시 마찬가지다.

정 신부가 결국 악령의 손아귀에 넘어갔음에도, 그리고 자신의 구마 의식이 성폭행이라 폄훼받음에도 그는 흔들리지 않고 악령에 대항하여 싸운다. 그런 김윤석의 연기는 그의 트레이드 마크이다. 자칫 진부하거나, 그 무시무시한 싸움의 기로 인해 영화 자체가 흐트러질 수도 있었다. 그러나 강동원이 최 부제로 절묘하게 빙의되었듯, 김 신부의 괴물 같은 존재감도 <검은 사제들>에서 그다지 소모적이지 않다.

그저 묵직하게 구마의 맥을 놓치지 않을 뿐. 덕분에 영화는 역으로 강동원의 존재감도 살리고, 김윤석의 연기도 진중하게 전한다. 연기뿐만이 아니다. 구마 의식 자체와 적절하게 배합된 거리에서의 악령과의 대치 신은 블록버스터 영화 못지않은 흥미를 자아낸다. 덕분에 평이한 엑소시즘은 적절한 의미와 깔끔한 만듦새의 영화로 완성된다.

 영화 <검은 사제들>의 포스터. 엑소시즘이라는 평이한 장르에 적절한 사회적 의미와 깔끔한 만듦새가 겹치면서 잘 완성됐다.

영화 <검은 사제들>의 포스터. 엑소시즘이라는 평이한 장르에 적절한 사회적 의미와 깔끔한 만듦새가 겹치면서 잘 완성됐다. ⓒ 영화사 집



○ 편집ㅣ곽우신 기자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검은 사제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