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권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역시 신동일이었다. 어쩌면 홍보된 것처럼 이주노동자와 여고생의 로맨스라는 말랑말랑하고도 얄팍한 소재주의의 노선을 따라갔다면 이 영화에서 찾을 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과연 의미를 찾을 수는 있었을까? 누군가는 선정적이며 확 끌리는 것들을 기대했겠지만 감독은 철저하게 그들의 기대를 배반하며 자신이 그동안 닦아왔던 노선을 확장시킨다. 그것이 바로 감독의 힘이고 그를 혹은 그의 영화를 애타게 기다렸던 관객이 받을 수 있는 감흥이다.

그래서 신동일의 세번째 영화 <반두비>는 혼란스럽고 불만가득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이 꼭 봐야할 작품이다. 누구도 말 못하지만 누군가는 말하여야만 하는 이야기를 용기있게 감독은 풀어내었고 소재주의에 함몰될 수 있는 유혹을 당당히 떨쳐 내고 자신의 말을 분명히 한다. 그와 같은 노선을 달리는 관객은 그의 열렬한 응원자가 되어 함께 행동하며 그처럼 자신들이 하고 싶은 말을 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이 영화가 우리들이 분출하고 싶은 감정들을 무수히 끌어내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고 그런 여고생과 이주노동자의 로맨스에서 철저히 벗어나며

그렇고 그런 여고생과 이주노동자의 로맨스에서 철저히 벗어나며 ⓒ 빈장원


신동일 감독은 전작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관계'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소수종교를 믿으며 전쟁을 거부하는 청년과 사회적으로 타락한 대학강사의 관계를 그리는 데뷔작 <방문자>에서나 부인보다도 더 강렬한 '관계'를 맺고 있는 한 남자와 그의 친구의 이야기를 그린 <나의 친구, 그의 아내>를 보면 그가 사람과 사람을 연결시키는데 있어서 상당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세번째 작품 <반두비>도 예외일 수 없다. 그의 장기를 십분 살려 민서와 카림이라는 인물의 '관계맺음'을 그리고 있다. 그가 보여주는 인물들의 '관계'는 객관적으로 보았을 때는 너무나 어울리지 않는데,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서로가 그들에게 꼭 필요한 존재임을 각인시켜준다.

어떤 여고생이 말도 피부도 다른 외국인 노동자를 좋아할 수 있을까? 하지만 그의 영화 안에서는 불가능은 곧 가능이 되고, 소수자의 시선이 곧 다수의 생각이 된다. <방문자>와 마찬가지로 이 영화에서도 감옥에서의 면회장면이 등장하는데, 두 장면 모두 이루어질 수 없는 것처럼 보였던 인물들의 관계가 이제는 서로에게 한쪽 구석을 채워주는 관계로 발전했음을 잘 보여주는 부분이다. 그래서 그 장면은 이 영화에서 엔딩장면만큼 값지고 감동적인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

감독은 <나의 친구, 그의 아내>에서부터 세심하게 매만져 왔던 '계급'에 관한 문제도 인물들의 '관계맺음' 못지않게 이 영화에서 부각시키고 있다. 달콤하며 씁쓸함 가득한 상류사회로의 진입 욕망을 그렸던 전작과 달리 이 영화에서의 상류사회의 모습은 모순, 그 자체이다.

상류사회의 모습은 다층적으로 표현되는데 부패한 정치인, 타락한 교사, 외국인 노동자를 부려먹는 공장 사장등을 통해서 변주된다. 하지만 하나같이 제대로 된 모습은 존재하지 않는다. 감독은 그것을 직접적으로 비판하며 정치적,사회적 시선에 두 눈을 치켜 뜨고 마주선다.

그것을 모두 아우르는 감독의 시선은 물론 인물을 묘사하는 것처럼 따스하고 온화한 배려가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더 나아가서 감독은 불온함을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소녀의 모습을 통해 '계급'이 생김으로써 파기되는 모순덩어리의 모습 역시도 세밀하게 관찰해 낸다.

 당당히 말하고, 당당히 사랑하는 소녀 민서

당당히 말하고, 당당히 사랑하는 소녀 민서 ⓒ 빈장원


민서는 대부분의 여고생과 다를 바 없는 것처럼 보인다. 영어학원에 등록하고 싶어하고 아버지의 부재를 쉽게 인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녀가 '행동하는 인물'이라는 것을 생각했을 때, 민서는 특별한 인물이 된다. 방법이 옳다라고 볼 수는 없지만 스스로 학원비를 마련하고 정당하지 못한 정치와 언론, 정권에 쓴 소리를 내뱉으며 자신에게 찾아온 사랑을 즐길 줄 안다. 생각없이 말하지 않으며 '왜'를 통해 '어떻게'할지를 결정하는 소녀다.

이것은 정권에 아부하는 인물들(카림의 공장사장)과 정권에 저항하지 못하며 스스로 포기하려는 인물들(민서의 어머니와 의붓아버지, 그리고 어쩌면 카림까지)을 비판하면서 그것을 바라보는 관객들이 적극적으로 행동으로 실천할 것을 요구한다. 민서는 그래서 이 시대에 꼭 필요한 인물을 대변하는 '메타포'처럼 느껴진다.

여고생으로 분하긴 했지만 민서는 혼란기에 처한 우리 누구라고 해도 사실 무방하다. 다만 민서가 가치를 가질 수 있는 인물인 것은 아무도 쉽게 건드릴 수 없는 부분을 건드리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민서는 또한 영화를 만든 신동일 감독의 '메타포'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데뷔작부터 그려온 그의 정치적 올바름을 향한 비판적 시선은 영화를 통해 관객이 가질 수 있는 것이 단지 감동뿐은 아니라는 것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뉴타운 건설의 폐해를 말하는 술주정뱅이나 시급 3500원의 억울함을 토로하는 아르바이트생 모두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초상이다. 하지만 시대는 억울함을 받아줄만큼의 포용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오히려 갖지 못한 자를 가진자의 테두리에서 더 멀리 내쫓을 뿐이다. 수많은 노동자들, 이주민들을 그 테두리 밖으로 내쫓은 것은 것은 어쩌면 우리 자신이 아닐까? 힘없다고 소리내어 말하지 못했던 우리 때문이 아닐까?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MB정권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어린 소녀를 통해서 보여주는 <반두비>는 정말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영화임이 틀림없다. 분명 웃음지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 민서가 카림이 전에 만들어주었던 방글라데시 음식을 먹으며 슬며시 웃음지은 그 모습처럼.

 소외된 자를 따뜻하게 그려내는 감독의 시선

소외된 자를 따뜻하게 그려내는 감독의 시선 ⓒ 빈장원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네오이마주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반두비 신동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6 전주국제영화제 관객평론가 2008 시네마디지털서울 관객심사단 2009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관객심사단 2010 부산국제영화제 시민평론가

이 기자의 최신기사 '물안에서' 이미 죽은 이의 꿈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