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1987> 포스터
ⓒ CJ엔터테이먼트

관련사진보기


영화 < 1987 >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한국인이라면 꼭 봐야 할 영화'라는 입소문을 타면서 관객들은 물론 감독들까지 작품에 최고의 찬사를 보내고 있다. 영화를 본 박찬욱 감독은 "일개 영화 이상의 어떤 것이다. 증언이고 절규고 함성이다"라고 감상평을 전했고, <범죄와의 전쟁 : 나쁜놈들 전성시대> 윤종빈 감독 역시 "재미와 의미가 심장을 붙든다"라는 평을 남겨 < 1987 >의 작품성에 힘을 보태주고 있다.

김윤석, 하정우, 이희준 등 연기파 배우들이 대거 출연한 < 1987 >. 이 작품이 특별한 이유는 또 있다. 배우들의 특별한 그 시절의 인연이다. 이미 기사로 많이 알려졌듯이 김윤석, 오달수는 박종철 열사의 고등학교 2년 후배이며, 치안본부장 역할로 출연한 우현은 1987년 6월 항쟁에 참여했던 인물이다. 이한열 열사의 장례 집회에 참석한 사진이 네티즌들을 통해 여러 곳으로 퍼지면서 영화가 가지는 의미에 진실성을 더해준다. 출연 배우들이 일제히 "배우라면 꼭 출연해야 할 영화라고 생각했다"고 말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지 않을까.

영화는 한 인물만을 통해 전개되지 않는다. 영화가 진행되는 내내 각기 다른 인물들의 여정을 추적한다.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했던 사람들'이 끊임없이 자신의 역할을 다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 시절 모두가 함께 했기에 진실이 수면 위로 떠올랐던 것처럼, 배우들의 연기와 스토리는 관객을 87년 그 때, 그 장소로 온전히 데려가준다. '호헌철폐'를 외치던 그 시절, 민주화를 위해 얼마나 많은 이들의 숭고한 희생과 노력이 있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영화 <1987>

영화 <1987> ⓒ CJ엔터테이먼트


영화에서 인상 깊었던 점은 정치적 움직임이었다. 박종철 사건을 조용히 덮기 위해 박처장은 조반장을 교도소에 수감시킨다. 이 전개로 인해 교도소 신이 영화에서 자주 비치는데 어째선지 교도소의 분위기는 우리가 생각하는 교도소 이미지처럼 어둡고 무섭지만은 않다. 당시 실제로 이부영이 수감되어 있을 때 이 사건의 죄수들의 억울하다는 하소연이 교도소에 퍼졌다고 한다. 이를 들은 이부영의 은밀한 작전 덕분에 사건의 실체가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되었다고.

어쩌면 감독은 진짜 '어둡고 갇힌 공간'은 교도소가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세상이라는 메시지를 교도소라는 공간적 프레임을 통해 말해주고 싶었던 게 아닐까. 이 생각에 힘을 싣듯 박처장은 조반장에게 말한다. "애국자가 될 것이냐 빨갱이가 될 것이냐." 군부정치 시대에서 자신을 멸공의 이념을 가진 애국자라 생각하는 박처장. 하지만 그의 그릇된 언론 탄압과 권력을 이용한 독재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음에는 반박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영화<1987>

영화<1987> ⓒ CJ엔터테이먼트


영화의 거의 유일한 여자 출연진이자 박종철 사건에서 이한열 사건으로 영화의 흐름을 이어주는 역할인 연희(김태리 분)라는 캐릭터도 매력적이다. 정권에 반하다 세상을 떠난 아버지 때문인지 연희는 민주화 운동을 계획하는 삼촌이 걱정되고 싫다. "가족들 생각은 안 해요?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어?"라는 연희의 말. 두려움과 울분이 섞인 그 한 마디가 어쩌면 그 시절에 마음만은 정의를 외치고 싶지만 정권에 대한 두려움이 앞섰던 많은 사람들을 떠올리게 했다. 앞으로 나서기를 거부했던 연희가 후반부로 갈 수록 변화하는 모습도 영화를 보며 집중해야 할 키포인트다.

2017년 끝자락에 개봉한 < 1987 >을 통해 다사다난 했던 한 해를 정리했다. 촛불세대가 영화를 통해 태극기를 펼치고 민주화에 목소리를 내던 용기있는 사람들을 만나게 되었다. 그 의미는 결코 작지 않다. 또한 우리에게 이런 역사가 있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그 기억을 통해 한 발짝 더 나아갈 수 있는 국민이 되기를 소망한다.

1987 박종철사건 김윤석 하정우 김태리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4,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