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당진시민들과 농민들이 25일 당진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당진시민들과 농민들이 25일 당진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이재환

관련사진보기

   
충남 당진시 농민들과 시민사회단체는 25일 당진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진시에 '대호만 담수호 농업용수 염해 피해에 대한 진상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대호지로 알려진 대호만 담수호는 지난 1984년 준공됐다. 농민들은 1990년대 초반부터 인근 간척지에서 벼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하지만 간척지의 염분 탓에 농사짓기가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에는 간척지의 염분이 아닌 대호만 담수 자체가 피해의 근원지로 지목되고 있다.

농민들에 따르면 지난 6월 대호만호의 용수를 공급받은 논에서 모가 쓰러지고, 어린 모의 잎이 불게 말라 생육이 정지되는 현상이 벌어졌다. 하지만 같은 지역에서도 삽교호의 물과 지하수를 공급한 논의 경우에는 이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피해 농민들이 대호만호를 염해피해의 근원지로 지목하고 있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농민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논에 물을 대고 6월 14일부터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대호만에서 농업용수를 공급받은 논에서 유독 피해가 크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진시는 이 같은 의혹에 대해 책임 있는 자세로 진상조사에 나서야 한다"며 "지난 6월 농민이 직접 측정한 공급된 대호호 농업용수의 염도 측정 수치는 3000~4000ppm으로 측정됐다. 염해 피해가 원인이다"라고 밝혔다. 농업용수의 염도 기준치는 2000ppm 이하이다.

정미면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농민 A씨는 "지난 6월 모(벼)가 뿌리를 잡고 잘 크고 있었다. 하지만 6월 10일 무렵 모가 갑자기 쓰러지기 시작했다. 주변 농가에서도 모가 크지 않고 자꾸 쓰러지는 현상이 벌어졌다"며 "농사를 30년 지었지만 모가 잘 서 있다가 쓰러지는 것을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것은 물에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 염해 피해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진시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실태조사를 하고 원인규명을 해야 한다"며 "농민 입장에서는 답답한 마음 뿐이다"라고 성토했다.
 
지난 7월 13일 대호만 간척지 논의 모습. 논의 일부에 모가 죽어 비어 있는 모습이다.
 지난 7월 13일 대호만 간척지 논의 모습. 논의 일부에 모가 죽어 비어 있는 모습이다.
ⓒ 김희봉

관련사진보기

   
농민 B씨는 "지금 자라고 있는 벼들도 염해 피해가 있다. 가을에 수매를 해 보면 쭉정이가 많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며 "수확 후에는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전년 대비 수확량이 30~40% 정도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국농어촌공사 당진지사 관계자는 "대호만호 양수장에서 물을 펌핑하면서 염도를 측정한다. (6월) 당시 염도 측정 결과는 1260ppm 정도였다. 피해 기준치(2000ppm) 이하였다"며 "다만 당시에는 가뭄이 극심했다. 용수공급 과정에서 증발에 의해 염도가 높아졌을 수는 있다"고 말했다. 가뭄과 고온으로 인한 자연재해일 뿐 농어촌공사의 책임은 없다는 주장인 것이다.

당진시 관계자도 "염해 피해와 관련해 현재 특별한 피해 보상 대책은 없다. 법적인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며 "일단 당진시 14개 읍면동에 공문을 보내 피해 상황을 신고 받고 있다"고 말했다.

태그:#대호만호 , #염해 피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유주의자. 개인주의자. 이성애자. 윤회론자. 사색가. 타고난 반골. 충남 예산, 홍성, 당진, 아산, 보령 등을 주로 취재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