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조선총독부가 있는 것으로 보아 1926년 이후 사진이다. 경성부청(현 서울시청)을 중심으로 태평로, 소공로, 을지로 등의 가로망 윤곽이 뚜렸하다. 이들 가로는 모두 '내부령 9호'에 의해 조선이 개설한 도로다. 현 한국은행 건물과 총독부 철도호텔(현 조선호텔) 모습도 같이 보인다.
▲ 한양 중심가 가로망 조선총독부가 있는 것으로 보아 1926년 이후 사진이다. 경성부청(현 서울시청)을 중심으로 태평로, 소공로, 을지로 등의 가로망 윤곽이 뚜렸하다. 이들 가로는 모두 "내부령 9호"에 의해 조선이 개설한 도로다. 현 한국은행 건물과 총독부 철도호텔(현 조선호텔) 모습도 같이 보인다.
ⓒ 서울역사박물관

관련사진보기

 
함세웅(咸世雄)은 1942년 6월 28일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3가에서 태어났다. 목재상인 아버지는 유교적 가치를 중시하고 어머니는 평범한 분이셨다. 형이 둘 있었으나 6.25 한국전쟁 때 사망하고 외아들로 성장한다.

"하늘 아래 모든 것에는 시기가 있고 모든 일에 때가 있다. 태어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으며 심을 때가 있고 심긴 것을 뽑을 때가 있다."(코헬렛 3,1-2)

그가 태어나고 성장한 시기는 일제 말기에서 해방ㆍ분단ㆍ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혹독한 시련기였다. 현재 생존한 세대 중에서 그는 나라가 가장 어려울 때 태어나고 성장한 세대에 속한다. 

일제의 단말마적인 착취와 탄압은 우리 민족의 정신을 말살시키려 들었다. 주요 사건을 추적해 본다. 

조선총독부는 1942년 2월 식량관리법을 공포하여 민간인의 식량까지 통제하고, 3월 각 가정의 수저와 놋그릇 등 금속류를 강제 회수하고, 5월 징병제 실시, 9월 청장년 국민등록제 실시, 10월 한국어 교육과 사용 금지, 이른바 전시체제를 강화하면서 국민을 옴짝달짝 못하도록 더욱 옥죄었다. 5월에 악독하기로 소문난 고이소가 조선 총독으로 부임하였다. 

2세 때인 1943년 10월 학병제 실시, 11월 학도병에 지원하지 않는 학생에게 징집영장 발급, 8월 여자정신대 근무령 공포, 만 12세 이상 40세 미만의 배우자 없는 여성들을 일본과 남양군도 등 각지로 끌어갔다. 고이소가 일본수상으로 전임하고 아베 신조가 새 총독으로 부임했다. 

3세 때인 1944년 1월 총독부가 여학생들을 일제 군수공장에 동원하여 군복수선과 세탁 등 노역을 시키고, 남학생들에게 소나무 진액과 목화 뿌리 채취를 지시했다. 1945년 3월 총독부가 '결전 교육조칙'을 공포, 초등학교 외의 모든 학교 수업을 정지시키고 학생들을 강제노동 또는 군대에 동원하였다.

함세웅은 4세 때에 해방을 맞았다. 아직 유아기라 일제 말년의 참혹한 압제를 기억하기는 어린 나이였다. 집안 어른들의 과보호로 감기에 잘 걸려서, 오히려 건장한 몸으로 성장하기에 어려웠다.

"제가 어려서부터 몸이 좀 약해서 감기에 자주 걸렸어요. 감기에 걸리면 학교 앞에 있는 성모병원에 다녔는데, 약을 많이 써서인지 감기에 약했어요." (주석 1)
 
1926년 경복궁 내에 준공된 조선총독부 신청사의 모습. (본 저작물은 "서울역사박물관"이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것을 이용했으며, 해당 저작물은 museum.seoul.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독립지사들을 고문하고 죽인 일제 식민통치의 총본산 조선총독부  1926년 경복궁 내에 준공된 조선총독부 신청사의 모습. (본 저작물은 "서울역사박물관"이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것을 이용했으며, 해당 저작물은 museum.seoul.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서울역사박물관

관련사진보기

 
나라는 해방이 되었으나 국토가 남북으로 갈라지고 곧 6.25 전쟁이 벌어졌다. 두 형님이 차례로 사망하는 아픔을 겪어야 했고 집 근처 성모병원에서 부상자들의 참상을 목격한다. 13세에는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홀어머니 밑에서 외롭게 성장한다. 그래서인지 뒷날 쓴 '가정'에 대한 글에서 애틋함이 묻어난다. 

가정의 의미와 중요성은 생명의 존엄과 직결된다. 사람은 특히 성장하여 자립할 때까지 가정에서 부모로부터 도움을 받아야 한다.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의무는 가정의 실천원리 중 가장 중요한 것이다. 자녀에 대한 무조건적인 부모의 사랑, 이 사랑에 대한 자녀들의 응답이 부모의 공경으로 나타난다.

곧 혈연에 기초한 사랑의 관계다. 따라서 부모와 자녀 사이의 권위와 순종은 법적 개념 이전에 형성된 사랑에 그 뿌리를 둔 자연 원리다. 본능적 사랑과 윤리적 규범의 필연적 관계다. 이를 우리는 흔히 자연법이라 부른다. (주석 2)


주석
1> <함세웅 신부의 시대증언, 이 땅에 정의를> 한인섭 대담, 31쪽, 창비, 2018, 이후 <이 땅에 정의를>로 표기.
2> 함세웅, <가정>, <멍에와 십자가>, 빛두레, 1993.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인물열전 / 정의의 구도자 함세웅 신부 평전]는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태그:#함세웅, #함세웅신부, #정의의구도자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이 기자의 최신기사'지식인 134인 시국선언' 주도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