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일 오후 '10월항쟁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 앞에서 열린 위령제에서 채영희 10월항쟁유족회장이 눈물을 닦고 있다.
 1일 오후 "10월항쟁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 앞에서 열린 위령제에서 채영희 10월항쟁유족회장이 눈물을 닦고 있다.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10월항쟁 75주기와 민간인 희생자 71기 합동위령제가 1일 오후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10월항쟁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 앞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는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이 세워진 후 처음 개최되는 오프라인 행사로 관심이 많았다. 행사에는 10월항쟁유족회 회원뿐만 아니라 전국의 민간인 희생자 유족회 가족들이 자리를 빛냈다.

또 차혁관 대구시 자치행정국장, 강민구 대구시의회 부의장, 김동식·강성환 대구시의원, 최광준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 등이 참석했다. 

위령제는 식전행사로 종교의례와 지신밟기 등 영혼을 불러 모으는 의식, 전통제례가 진행됐고 합동추모제는 추도사와 추도시 낭독, 헌화와 분향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10월항쟁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 옆에 죽은 아들을 끌어안고 통곡하는 어머니의 슬픔을 형상화한 '어머니의 눈물' 조각상이 세워져 있다.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10월항쟁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 옆에 죽은 아들을 끌어안고 통곡하는 어머니의 슬픔을 형상화한 "어머니의 눈물" 조각상이 세워져 있다.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채영희 10월항쟁유족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들은 빨갱이 자식이라 손가락질에 어린 시절 친구들과 어울려 놀지도 못했다"며 "국가 폭력에 아버지를 빼앗긴 것도 모자라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연좌제에 묶여 온갖 굴레 속에 살았다"고 회상했다.

채 회장은 이어 "먼 나라 아우슈비츠나 킬링필드는 알아도 가까이 있는 10월의 가창골이나 경산코발트, 세계에서 제일 긴 무덤인 대전 골령골은 모른다"면서 "결코 잊어서는 안 될 해방공간에서 용기있는 외침으로 10월항쟁을 마음에 깊이 새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혁관 대구시 자치행정국장은 이날 참석하지 않은 권영진 대구시장을 대신해 추도사를 읽었다. 그는 "해방 이후 극렬한 이념 대립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우리 지역에서도 1946년 10월항쟁, 1949년 국민보도연맹사건, 1950년 7월 대구형무소 재소자 희생 사건 등이 발생하여 수많은 민간인 희생자를 낳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추모제와 평화·인권교육 등 다양한 위령 사업을 통해 과거의 역사적 아픔을 잊지 않겠다"며 "유가족의 아픔을 치유하고 지역사회의 인권증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원웅 광복회장은 노수문 대구지부장이 대독한 추도사를 통해 "해방 이후 민초들의 정의로운 항쟁은 항일 독립운동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이들의 처절한 항쟁은 4.19혁명과 6월항쟁, 촛불혁명으로 이어지는 '승리의 역사'를 다지는 밑거름이 되었다"고 말했다.
      
대구 10월항쟁 75주기와 민간인희생자 71주기 합동위령제가 1일 오후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10월항쟁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 앞에서 열렸다.
 대구 10월항쟁 75주기와 민간인희생자 71주기 합동위령제가 1일 오후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10월항쟁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 앞에서 열렸다.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이날 위령제에서는 대구시를 향한 쓴소리도 나왔다. 지역 중요 행사인데도 불구하고 시장이나 부시장 등 고위 간부가 참석하지 않았다는 비판이다.

강민구 대구시의회 부의장은 권영진 대구시장과 부시장이 아닌 국장이 위령제에 참석한 것은 '대구 역사에 대해 아픔을 함께 공유하지 않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고 강하게 질타했다.

강 부의장은 "우리는 유족분들하고 호흡을 함께 하려고 하는데 대구시는 남의 일처럼 대하고 있다"며 "10월항쟁과 관련된 부서가 얼마 전에는 감사관실에 있다가 조직개편을 하면서 자치행정국으로 넘어갔다. 부서가 자주 바뀌니 유족들도 헷갈려 찾아가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편 10월항쟁은 1946년 10월 1일 식량난이 심각한 상태에서 미군정이 친일관리를 고용하고 식량 공출 정책을 강압적으로 시행하자 미군정의 식량 정책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면서 일어난 해방이후 최초의 민간인 저항운동이다.

1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는 2009년 군위와 경주, 대구지역 국민보도연맹 사건을 시작으로 2010년 대구 10월항쟁 등 6건을 진실규명 결정하고 위령·추모사업, 희생자 고적기록 정정, 진실규명 내용 등재, 평화·교육 강화 등을 권고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도 2016년 10월항쟁 등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 사업 지원 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위령사업 지원근거를 마련하고 지난해 11월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을 건립했다.

태그:#10월항쟁, #위령제, #위령탑, #10월항쟁 유족회, #민간인 학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주재. 오늘도 의미있고 즐거운 하루를 희망합니다. <오마이뉴스>의 10만인클럽 회원이 되어 주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