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장거리 감시레이다 운용 개념도 및 형상(안)
 장거리 감시레이다 운용 개념도 및 형상(안)
ⓒ 방위사업청 제공

관련사진보기

 
30년이 넘은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 장거리 감시레이더를 국내기술로 개발해 교체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방위사업청은 8일 LIG넥스원과 약 460억 원 규모의 장거리레이더 체계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체계개발 후 양산을 거쳐 2027년부터 순차 배치하는 것이 목표다.

장거리 레이더는 카디즈 내 항공기 등을 감시·식별하는 레이더다. 레이더에서 탐지한 자료가 공군 중앙방공통제소(MCRC)에 전송돼 방공작전 수행에 활용된다.

LIG넥스원에 따르면 장거리레이더 생산 국가는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 일부 국가에 불과하다.

국내에서는 이전에도 장거리 레이더의 국내 연구개발이 추진됐지만, 일부 성능 미충족으로 2017년 사업이 중단됐다.

그러나 최근 향상된 국내 기술수준과 경제적 파급 효과 등을 고려해 2019년 연구개발 재추진이 결정됐고, 이번에 체계개발 계약이 이뤄졌다.

이번 사업은 재추진되는 점을 고려해 개발비의 65%를 투자하는 정부와 업체 간 공동투자 방식으로 진행된다. 개발 성공에 대한 책임성을 높이기 위한 취지라고 방사청은 설명했다.

레이더 교체 시급성을 고려해 체계개발 기간도 과거보다 6개월 단축해 48개월간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운용 중인 공군의 장거리 레이더의 경우 1990년 이전 도입된 미국산 장비로, 노후화가 심각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지난 2013년 카디즈 범위가 제주도 남단까지 확장된 이후 감시 공백 해소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최근에는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의 카디즈 진입 횟수가 늘어나면서 레이더 성능 개선 요구도 커지고 있다.

실제 지난해 9월 박한기 당시 합동참모본부 의장은 이임사를 통해 자신의 재임 중(2018년 10월∼2020년 9월) 150여 회에 걸쳐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의 카디즈 진입에 대응했다고 밝힌 바 있다.

미 바이든 행정부 출범을 앞둔 그해 12월에는 중국 H-6(4대), 러시아 Tu-95(2대) 폭격기 등 군용기 19대가 연합훈련을 명분으로 이어도와 독도 인근 카디즈에 진입하기도 했다.

방사청 관계자는 "성공적인 체계개발에 이어 전력화 완료 시 카디즈에 대한 보다 면밀한 감시가 가능해지며, 기존 국외에서 도입했던 레이더를 국산 장비로 대체함에 따라 국내 방위산업 활성화 등 국가 경제에 보다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태그:#감시레이다, #카디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