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포장재 재질 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이행 여부에 대한 19개 업체의 답변 여부입니다.
▲ 자발적 협약 이행 여부에 대한 기업 답변 여부 포장재 재질 구조·개선 자발적 협약 이행 여부에 대한 19개 업체의 답변 여부입니다.
ⓒ 환경운동연합

관련사진보기

    
환경운동연합은 다가오는 7월 3일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을 맞이하여, 환경부와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 자발적 협약"을 맺은 19개 업체의 이행 실적을 확인한 결과, 목표치의 절반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4월 환경부는 페트병 출고량 상위 19개 업체와 '포장재 재질 구조·개선 자발적 협약'을 체결했다. 자발적 협약에 따르면 해당 기업은 재활용이 어려운 ▲유색 페트병을 무색 페트병으로 전환하고 ▲폴리염화비닐(PVC)을 재활용이 쉬운 재질로 대체 ▲제품의 재질을 단일화하는 등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개선해야 한다.

자발적 협약이행에 19개 기업 중 10개 기업 무응답 
 
환경부 제출,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 자발적 협약이행 실적 결과
▲ 환경부 제출,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 자발적 협약이행 실적 결과 환경부 제출,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 자발적 협약이행 실적 결과
ⓒ 환경부

관련사진보기

 
환경부가 환경운동연합에 제출한 2019년 하반기까지의 협약이행 실적을 검토한 결과, 재활용이 어려운 재질 1294개의 제품 중 49.4%(639개)만이 개선했다고 밝혔다. 이는 목표치에 비하면 절반 수준에 그친다.

재활용할 수 없는 유색 페트병을 재활용이 용이한 무색 페트병으로 변경은 17개 기업 중 13개 기업만 이행했고, 이행률도 54.7%(567개)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제품 포장재 재질 단일화도 7개 기업 중 4개 기업만 이행했고, 실적 또한 202개의 제품 중 26.2%(53개)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재활용이 어려운 'PVC 재질'에 있어 6개 기업이 재질 대체를 권고받았으나, 4개 기업만이 이행했다. 마찬가지로 55개의 제품 중 19개(34.5%) 제품만이 개선되는 등 낮은 이행률을 보였다.
   
환경운동연합이 협약을 맺은 19개 업체를 대상으로 기업별 이행 실적을 요구했다. 그 결과, 9개 기업은 협약이행 실적을 공개했지만, 10개 기업은 답변이 없었다. 환경운동연합에 답변을 제출한 9개 기업은 포장재 재질 구조개선에 있어 모두 높은 수준의 실적을 달성했다.

매일유업은 "모든 제품을 협약에 따라 페트병의 재질 및 구조개선을 완료했다"고 밝혔으며, 빙그레 또한 '페트병'과 '단일재질' 용기 항목에서 각각 100%, 91.3%의 높은 전환 실적을 보였다.

남양유업은 유색 페트병을 무색으로 전환한 제품의 수가 계획 대비 74%(38개→28개)에 그쳤다. 이에 대해 남양유업은 "기존에 보유한 자재를 소진한 후에 올해까지 모든 제품을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코카콜라와 해태htb 모회사인 LG생활건강은 99개 제품의 재질 개선을 통해 약 557톤의 플라스틱을 재활용이 쉬운 재질로 대체했다고 밝혔다. CJ제일제당은 올해 4월까지 모든 유색 페트병을 무색으로 전환했으며, 2019년 기준 연간 약 111톤의 플라스틱을 절감했다고 밝혔다.

서울우유협동조합과 '제주삼다수'를 판매하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도는 2019년 기준 출고된 모든 제품에서 유색 페트병을 무색으로 전환하고, 라벨 또한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환경운동연합에 답변을 제출한 9개 기업은 모두 세부 이행계획에 있어 90% 이상 개선을 완료하는 등 평균적으로 매우 높은 이행률을 보였다. 하지만 9개 기업의 높은 이행률에도 환경부가 제출한 전체 이행률은 49.4%로 매우 저조하다. 환경부가 밝힌 개선사항을 이행하지 않는 3개 기업 포함 환경운동연합에 답변을 제출하지 않은 나머지 10개 기업의 경우, 자발적 협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환경운동연합의 공개 질의에도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는 모양새다.
  
"국민적 약속 외면한 롯데, 농심... 책임 물을 것" 

환경운동연합 측은 "무응답으로 아무런 의사를 표현하지 않은 롯데칠성음료, 롯데제과, 농심, 아모레퍼시픽, 애경산업, 오비맥주, 광동제약, 대상, 동아제약, 하이트진로는 플라스틱 감축을 위한 최소한의 이행수단인 '자발적 협약'이라는 국민적 약속을 방기한 것으로 보인다"며, "지속해서 해당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물을 것이고 온·오프라인 직접 행동을 통해 소비자에게 알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플라스틱 포장재로 인한 위기의식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생산, 폐기, 재활용 단계에서의 다차원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제품과 포장재의 생산 단계부터 재활용을 고려해 생산하고, 재활용이 쉽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현재의 환경부와 19개 업체와의 '포장재 재질 구조·개선 자발적 협약'은 국내 순환 경제 정책의 첫 시발점이 될 수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자발적 협약이 완료할 때까지 지속해서 모니터링을 진행할 계획이며, 협약 이후에도 기업의 자발적 이행 수준을 넘어 정책적 과제로 입법화될 수 있도록 요구할 계획이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는 환경운동연합 생활환경국 활동가입니다.


태그:#포장재, #재포장금지법, #자원순환, #쓰레기, #일회용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