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BS 스페셜 > '2020 은둔형 외톨이, 나는 고립을 선택했다'편

< SBS 스페셜 > '2020 은둔형 외톨이, 나는 고립을 선택했다'편 ⓒ SBS

 
은둔형 외톨이, 그건 바다 건너 일본의 사회적 현상이라 여기기 쉽다. 하지만 접촉이 어려워서 그렇지 학교를 가지 않고, 구직조차 하지 않은 채 '스스로 고립'을 선택한 15세~29세 사이 우리 사회 청년 인구가 19% 정도에 달할 것이라 전문가들을 추정한다. 
 
일명 '은둔형 외톨이'라 칭해지는 '사회적 고립 청년'은 3개월 이상 집안에 머물며 가족 등과 인간 관계를 맺지 않는 이들을 지칭하는 단어다. 29일 방송된 < SBS 스페셜 > '은둔형 외톨이, 나는 고립을 선택했다'편은 그런 청년들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으레 사회에, 인간관계에 적응하지 못한 낙오자, 개인적인 일탈로 여겨지는 이들에 대해 전문가들은 단군 이래 최대의 스펙을 자랑하는 '밀레니얼 세대'가 낳은 그늘이며, 이를 사회적 현상을 받아들여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스스로 택한 '고립'
 
방송에 나온 18살 상민이(가명)는 아빠의 생신날 온가족이 모여 '축하 노래'를 부르는데도 방문을 닫고 만다. 가족과 얼굴을 마주한 게 언제인지도 모른다. 중2 때부터 학교에 가기 싫어하더니 고등학교 입학한 지 한 달 후부터는 아예 등교를 거부하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1년 2개월 째, 상민이는 방안에만 머무르고 있다. 
 
방에서 상민이는 무엇을 할까? 하루 종일 침대 위에서 휴대폰만 들여다 본다. 부모의 바람은 온가족이 모여 밥 한 끼 먹는 것이지만, 상민이는 차라리 밥을 포기할지언정 식탁에 함께 앉지 않는다. 결국 엄마가 상민이가 먹을 밥을 방으로 가져다 준다. 
 
23살 민준(가명)씨도 마찬가지다. 1년 넘게 방에서 산다. 학교 다닐 때는 지각, 결석도 하지 않은 모범생이었다. 군대도 다녀왔고, 제대 후에 친구들도 만나러 나가기도 했는데, 그 이후로 그는 '칩거'중이다. 
 
하소연도 해보고, 다그치기도 해봤다는 어머니. 그런 어머니에게 민준씨가 내놓은 답은 냉정하다. '바라지마, 도와주지마, 내 스스로 가능성이 보이지 않아. 방에서 나오지 않으면 굶어 죽었구나 해'. 결국 어머니는 세상을 포기한 아들이 나가서 어떻게 될까봐, 차라리 답답한 게 낫다며 눈물을 흘린다. 
 
도대체 이 청년들이 스스로 '고립'을 선택한 이유는 뭘까? 흔히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 정의내린다. 그런데 사회적 고립 청년들은 그 '정의'를 배반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그 '정의'로부터 '고립'이 비롯되었다고 분석한다. 
 
전문가와 만난 상민이는 어렵사리 말문을 트더니 힘들어서 그랬다고 말한다. 학교가 여러 가지로 힘들어서, 그러면서 이게 편하니, 그냥 이렇게 살겠단다. 그는 정말 지금의 상황이 편한 걸까?
 
26살의 민성(가명)씨는 반복적인 고립 생활을 한 지 4년 째다. SNS를 보면 친구들은 잘 살고 있는데 자신만 뒤처지는 것 같은 패배감이 들었고, 그런 감정들이 자꾸 자신을 방안으로 밀어넣었단다. 결국 그렇게 그는 세상 밖으로 나갈 자신감을 잃고 말았다. 
 
그렇다고 방안에서 편했을까? 천국과 지옥을 반복했다고 한다. 5년 동안 고립 생활을 했던 28살 유승규씨 역시 마찬가지다. 엉망진창이었던 시간, 순간순간 제 정신이 될 때 그런 자신을 견딜 수가 없었단다. 자신이 싫었고 이렇게 살고 싶지 않았지만 거기서 벗어나는 것이 쉽지 않았다고 한다. 
 
밀레니얼 세대의 그늘 
 
 < SBS 스페셜 > '2020 은둔형 외톨이, 나는 고립을 선택했다'편

< SBS 스페셜 > '2020 은둔형 외톨이, 나는 고립을 선택했다'편 ⓒ SBS


흔히 1990년대 생, 밀레니얼 세대를 '단군 이래 최대의 스펙을 가진 세대'라고 한다. 또 자기 주장이 강하고 똑 부러진 세대로 비쳐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동세대 청년들에게 '1등만 기억하는' 사회라는, 과잉 스펙과 외향적 태도를 가져야만 성공할 수 있다는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 이 때문에 그럴 수 없는 청년들은 스스로를 실패자라 낙인을 찍고, 그 중 일부는 집 안으로 숨어들어 고립을 강제 당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교육과 경쟁에서 최고의 성취가 약화되지 않는 한 고립을 선택한 청년들의 수는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 지적한다. 
 
그리고 그 실제 예를 민성씨의 경우에서 찾을 수 있다. 그는 아버지가 자신에게 가한 '가정 폭력'을 잊을 수 없다고 하지만, 부모님은 '너를 걱정하는 마음에서 그런 것'이라 변명한다. 하지만 '가정 폭력'을 둘러싼 민성씨네 가족 불화의 근원을 찾아 들어가니, 그곳에 민성씨의 자퇴가 있었다. 
 
민성씨는 고등학교 시절, 자퇴를 하게 되었고 부모님은 그걸 받아들일 수 없었다. 부모는 아들이 왜 자퇴를 결심하게 되었는지 살펴보기에 앞서 자퇴만은 막아야 한다며 동분서주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하소연을 했다. 아버지는 그런 아들을 용납할 수 없다며 손찌검을 했다. 그 시절의 앙금은 고스란히 민성씨에게 남아 '고립'의 계기로 작용했다. 
 
물론 처음부터 '고립'을 선택한 건 아니었다. 두 발로 세상을 딛을 자신이 없어 조금만 쉬려고 했는데, 게임을 하고 핸드폰을 들여다보며 지내다 보니 어느덧 2~3년이 훌쩍 지나버리는 이다. 그렇게 시간이 흐르고 나면, 정말 세상 밖에 나가서 할 수 있는 게 없어지고 '고립'이 강제되는 처지에 놓인다는 것이다. 
 
더 늦기 전에 
 
그래서 전문가들은 사회에 발을 붙일 수 없는 상황이 되기 전인 고립 초기에 사회와 주변 사람들이 집중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스스로는 '고립'된 상태에서 빠져나오기 힘들기에 가족을 비롯한 외부의 적극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고립 청년이 어느덧 고립 장년이 되어버리는 등 사회적 문제가 된 지 30년이 넘었다. 1970년대에 시작된 '고립 청년 100만'의 사회적 현상은 이제 80대 부모가 50대 자녀를 돌보게 만드는 상황을 만들어냈다. 이에 일본 히키코모리 문제의 권위자, 사이토 타마키 교수는 고립 기간이 짧은 사람일수록 생활 패턴을 바꾸기 쉽고 사람을 다시 사귀기가 쉽다며 빠른 대처를 요구한다. 
 
 < SBS 스페셜 > '2020 은둔형 외톨이, 나는 고립을 선택했다'편

< SBS 스페셜 > '2020 은둔형 외톨이, 나는 고립을 선택했다'편 ⓒ SBS

 
우리보다 앞서 청년들의 고립이 사회 문제로 대두된 일본에서 1989년 만들어진 사회적 기업 K2인터내셔널은 고립된 청년들의 자립을 돕는 단체다. 2012년 생긴 한국 지부에서 현재 대표를 맡고 있는 고보리 모토무씨 또한 과거 히키코모리였다. 앞서 방송에 출연한 민성씨가 더 이상 이렇게 살 수 없다며 찾아간 곳도 여기다. 
 
매일 아침 일어나 함께 아침 식사를 준비하는 것 외에 특별한 요구 조건이 없는 이곳의 모토는 단순하다. '느려도 괜찮다. 힘들 때 힘들다고 말하자. 서로 도와주자.' 공동체는 사회로 나가고 싶지만 아직은 모든 것이 서툴고 낯선 청년들을 편견 없이 바라봐주며 세상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문을 열어준다. 
 
이렇게 살겠다고 놔두라던 상민씨 역시 가족,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관심에 마음을 열기 시작했다. 처음으로 가족과 함께 저녁 밥상 앞에 앉았고, 아버지와 산책도 시작했다. 그렇게 되기까지 아버지가 날마다 '사랑하는 상민아'라며 편지를 썼다. 
 
'사회적 성취'가 청년들의 목표로 일괄 강요되는 세상에서 그 목표 도달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은 저마다의 방으로 숨어들 수밖에 없다. 사회적 고립 청년들은 우리 사회의 '성취지상주의'가 낳은 '상흔'이다. 그리고 그 상흔에 대해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사회가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방송은 말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SBS스페셜- 은둔형 외톨이, 나는 고립
댓글1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