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추억 속의 쌀엿. 오래 전 겨울에 즐겨 먹던 주전부리 가운데 하나였다.
 추억 속의 쌀엿. 오래 전 겨울에 즐겨 먹던 주전부리 가운데 하나였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겨울은 유난히 추억이 그리운 계절이다.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가고픈 마음도 한번쯤 든다. 주전부리도 겨울에 많았다. 뜨끈뜨끈한 아랫목에 앉아서 도란도란 먹던 군고구마가 먼저 떠오른다. 생각만으로도 입안에 침이 고인다. 엿과 인절미, 풀빵, 보리개떡도 잊을 수 없다.

겨울 주전부리 가운데 하나가 엿이다. 엿은 헌책과 바꿔먹을 수 있었다. 어쩌다 공사장 언저리에서 쇳조각이라도 주우면 '횡재'한 느낌이었다. 빈 병이나 닳아진 고무신도 엿장수가 반겼다. 부러, 새 신발을 찢어서 엿하고 바꿔먹기도 했다.

엿은 언제나 꿀맛이었다. 입에 달라붙어도 좋았다. 손이나 옷에 묻어 찐득거려도 괜찮았다. 많이만 먹을 수 있으면 그만이었다. 엿치기도 흥미진진한 놀이였다. 기다란 엿을 서로 맞부딪혀서, 구멍의 크기를 대보는 내기였다. 엿의 구멍이 큰 쪽이 이겼다. 엿의 생명은 '구멍'이라는 말도 회자됐다.
 
옛 방식 그대로 만드는 쌀엿. 누런 갱엿을 식이는 과정이다.
 옛 방식 그대로 만드는 쌀엿. 누런 갱엿을 식이는 과정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구멍이 숭-숭- 뚫린 쌀엿. 엿치기는 엿에 난 구멍의 크기를 재보는 놀이였다.
 구멍이 숭-숭- 뚫린 쌀엿. 엿치기는 엿에 난 구멍의 크기를 재보는 놀이였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추억 속의 엿을 찾아 길을 나선다. '슬로시티' 전라남도 담양에 속한 창평이다. 지금도 옛 방식대로 엿을 만들고 있는 곳이다. 쌀엿은 한과, 된장과 함께 창평을 '슬로시티'로 만들어 준 슬로푸드다.

남극루 건너편, 유천마을로 간다. 남극루는 북을 쳐서 현감이나 현령의 출·퇴근을 알리던 누각이다. 월봉산에서 시작된 월봉천, 운암천, 유천 등 3개의 물줄기가 모이는 삼지내(삼지천)마을과 마주하고 있다.

골목까지 넘실대던 단내가 코끝을 간질인다. 추억의 엿이라는 걸 직감한다. 단내를 좇아가니, 예상대로 갱엿을 달이고 있다. 오래 전부터 전통의 쌀엿을 만들고 있는 강순임씨 집이다.
 
쌀엿 만들기의 첫 단계인 엿기름. 엿기름은 겉보리로 만든다.
 쌀엿 만들기의 첫 단계인 엿기름. 엿기름은 겉보리로 만든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여러 가지 색깔의 쌀엿. 강순임 씨가 만든 컬러 쌀엿이다.
 여러 가지 색깔의 쌀엿. 강순임 씨가 만든 컬러 쌀엿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쌀엿 만들기는 겉보리를 씻어 엿기름을 만드는 작업으로 시작된다. 엿기름에다 고두밥을 섞어 식혜를 빚고, 식혜를 숙성시켜 즙을 짠다. 식혜즙을 가마솥에 넣어 달이면 조청이 된다. 조청을 계속 달이면 갱엿으로 변한다. 어렸을 때 먹던 누런 엿이다.

물크러진 갱엿을 조금씩 떼어내 쭈욱쭈욱 늘이면 하얀 쌀엿이 된다. 물수건을 올려놓은 화로 위에서 늘이면 적당한 크기의 구멍도 생긴다. 엿을 만드는 일은 생각보다 고되다.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이 수작업이다. 전통을 지킨다는 사명감도 있어야 한다. 소득은 그 다음의 문제다.

강씨는 여러 가지 색깔과 맛의 쌀엿을 만든다. 블루베리, 아로니아를 넣으면 분홍빛깔의 엿이 된다. 댓잎을 더한 연녹색의 엿도 있다. 백련초, 단호박을 넣은 것도 있다. 따로 주문을 하면 고객이 원하는 엿을 다 만들어준다.

이왕이면 다홍치마이고,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 했던가. 컬러의 쌀엿을 마주한 눈이 화들짝 빛난다. 눈으로만 먹는데, 입안에서 군침이 돈다. 맛도 색깔 따라 다르다. 바삭바삭하고, 입에도 달라붙지 않는다.

"어떻게 하면 모두가 좋아하는 엿을 만들까 고민했어요. 남녀노소 다…. 우리 몸에 더 좋고, 색깔도 이쁘면 좋겠다 생각했죠. 갖은 농산물을 가미해서 엿을 만들어봤어요. 그게 컬러 엿이에요. 특허를 받았습니다."

강씨의 말이다.
 
유천마을 입구에 세워진 유래비. 마을주민들의 자긍심이 행마다 배어있다.
 유천마을 입구에 세워진 유래비. 마을주민들의 자긍심이 행마다 배어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학봉 종가의 사당. 담양 유천마을에 자리하고 있다.
 학봉 종가의 사당. 담양 유천마을에 자리하고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블루베리를 가미한 엿 한 토막을 입에 넣고 오물거리면서 다시 길을 나선다. 유천마을은 겉보기에 별날 것이 없다. 산 밑으로 논밭이 펼쳐지는 평범한 농촌이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사뭇 다르다.

쌀엿과 함께 전통 된장으로 '슬로시티'를 더욱 빛내는 마을이다. 종가의 장맛을 잇고 있는 기순도 식품명인도 이 마을에 산다. 기 명인은 된장과 간장, 고추장은 물론 청국장, 장아찌까지 만든다. '음식의 맛은 장에서 나온다'는 말을 실감케 하는 집이다.
 
녹천 고광순 사당. 기념관과 사당으로 이뤄져 있다. 담양 유천마을에 있다.
 녹천 고광순 사당. 기념관과 사당으로 이뤄져 있다. 담양 유천마을에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유천(柳川)마을은 1400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마을의 지형이 버드나무를 닮았다고 '유천'으로 이름 붙었다. 인조가 월봉 고부천을 만나려고 세 번 찾아 '인조대왕 삼고초려리'라고도 불렸다. 월봉은 학봉 고인후의 둘째 아들이다.

유천마을은 학봉의 처가이기도 하다. 학봉은 제봉 고경명의 둘째 아들이다. 제봉과 학봉은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서 순절했다. 이후, 학봉의 자손들이 여기 외갓집에서 살았다. 창평에 터를 잡은 장흥 고씨의 시조다.

학봉의 사손(使孫)인 녹천 고광순도 한말 의병장으로 활약했다. 녹천은 민비 시해사건 때, 또 을사조약 이후 의병으로 나섰다. 장기전을 준비하며 지리산 피아골로 옮겨 의병활동을 하다가 숨졌다. 12대 할아버지 제봉이 금산전투에서 순절한 나이 60살과 같았다. 녹천의 집도 일본군이 불태워 버렸다.

마을에 고광순 기념관이 있다. 머지않아 광복이 될 것이라는 의미를 담은 '불원복기'를 만날 수 있다. 혈서로 태극기에 '불원복(不遠復)'을 써놓았다. 원본은 독립기념관에 전시돼 있다.
 
혈서로 태극기에 쓴 ‘불원복(不遠復)’. 머지않아 광복이 될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혈서로 태극기에 쓴 ‘불원복(不遠復)’. 머지않아 광복이 될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조선오란 호국충혼탑과 동상. 조선 오란은 정묘호란, 임진왜란 등을 일컫는다.
 조선오란 호국충혼탑과 동상. 조선 오란은 정묘호란, 임진왜란 등을 일컫는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기념관 뒤편에 조선오란 호국충혼탑도 있다. 정묘호란, 임진왜란 등 5대 란에 참가해 순절한 의사들을 기리는 탑이다.

"우리 마을 자랑이요? 전통 쌀엿과 된장이 첫 손가락에 꼽히죠. 주민들의 자긍심도 아주 높아요. 문과와 무과에 급제한 학봉 할아버지 자손만도 서른 분이나 되거든요. 다들 나라를 위해 큰일을 하셨고, 헌신한 분들입니다. 건재 김천일 의병장도 우리 마을 출신이에요."

고재한 마을 이장의 목소리에 힘이 잔뜩 들어가 있다.

마을에서 숲길로 이어지는 월봉산 자락 상월정(上月亭)도 애틋하다. 상월정은 풍류 공간이 아닌, 인재양성에 목적을 둔 학숙이었다. 요즘말로 산속 고시원이다. 상월정으로 오가는 숲길도 다소곳하다. 싸목싸목 걸으면 더욱 좋은 길이다.
 
월봉산 자락의 상월정. 인재양성에 목적을 둔 옛 학숙이었다.
 월봉산 자락의 상월정. 인재양성에 목적을 둔 옛 학숙이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전남일보에도 실립니다.


태그:#유천마을, #담양창평, #창평쌀엿, #의병장 고광순, #전통쌀엿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해찰이 일상이고, 일상이 해찰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전남도청에서 홍보 업무를 맡고 있고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