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밤마실 남도 한바퀴'를 타고 '시를 품은 집'을 보러갔다. 광양 망덕포구, 전어횟집들 사이에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등록문화재 제 341호)'이 있다. 해변 길에서 유리창을 통해 안이 훤히 드려다 보이는 1925년 지어진 점포형주택, 윤동주 육필 원고(하늘과바람과별과詩)를 마루장 밑에 감춰, 수천만 국민이 윤동주 시를 애송하도록 살려낸 '시를 품은 집'이다.

문화관광 해설사는 초겨울 노을빛이 반짝이는 섬진강끝자락 망덕바다를 바라보면서 윤동주 유고 한 부가 살아남게 된 사연을 서사시처럼 풀어간다. 1940년 정병욱(鄭炳昱;1922~1982)은 윤동주(尹東柱;1917~1945)를 연희전문에서 만나 하숙방 글벗이 된다. 1942년 윤동주는 자필로 19편의 시를 3권 써서, 한 권은 자신이, 또 한 권은 스승에게, 마지막 한 권은 가장 가까운 글벗인 후배 정병욱에게 건네고 일본으로 떠난다.

1944년 1월 정병욱은 학도병으로 끌려가기 전 모친에게 윤동주 육필 원고를 맡긴다. 모친은 점포 마룻장 3장을 뜯어내고 원고가 든 항아리를 묻는다. 구사일생으로 살아 돌아온 정병욱은 항아리 속 유고를 꺼내 1948년 윤동주 시집을 발간한다.

정병욱이 윤동주 시를 살려냈다. 그후 정병욱은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교수가 되어 27년간(1957~1982) 재직하면서 판소리학회(1974년)를 창립하고 고전시가와 민족예술을 학문으로 전달한다. 가장 큰 업적은 윤동주 알리기다.

"동주의 노래 소리는 이 땅의 방방곡곡에 메아리치지 않는 곳이 없게 되었으니 ---- 내가 평생 해낸 일 가운데 가장 보람 있고 자랑스런 일이 무엇이냐고 묻는 이가 있다면, 나는 서슴치 않고 동주의 시를 간직했다가 세상에 알려줄 수 있게 한 일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밤늦게 '광양 밤마실'에서 돌아와 정병욱이 1975년께 쓴 '잊지 못할 윤동주'라는 수필을 인터넷에서 읽었다. 윤동주가 자필 시집 3부를 쓰게 된 사연, '풍화작용'이라는 시어 한 마디 때문에 몇 달간 고민하는 사연, '별 헤는 밤' 끝부분 4줄을 덧붙여 쓰게 된 사연이 영화를 보듯 생생하다.

"'별 헤는 밤'에서 그는 '따는 밤을 새워 우는 벌레는 /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로 첫 원고(原稿)를 끝내고 나에게 보여 주었다. 나는 그에게 넌지시 '어쩐지 끝이 좀 허(虛)한 느낌이 드네요'. 하고 느낀 바를 말했었다. 그 후, 현재의 시집(詩集) 제1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원고를 정리하여 '서시(序詩)'까지 붙여 나에게 한 부(部)를 주면서 '지난번 정 형이 별 헤는 밤의 끝 부분이 허하다고 하셨지요. 이렇게 끝에다가 덧붙여 보았습니다.' 하면서 마지막 넉 줄을 적어 넣어 주는 것이었다."

​3년 전 영화 <동주>를 보고 윤동주 시집을 샀다. 1955년 정음사(正音社)가 발간한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를 그대로 복사한 복사본이다. 그때 정병욱이 항아리에서 꺼내 세상에 공개한 유고시집(복사본)도 같이 왔다. 유고복사본을 다시 들쳐본다.

좋은 세상이다. 윤동주가 바로 지금 쓴 듯, 항아리에서 바로 나온 듯, 누르끼한 색깔까지 400자 원고지 26장 그대로가 눈앞에 펼쳐진다. 또박또박 담백한 필체, 옛 철자법, 줄로 긋고 옆에 고쳐 쓴 단어, 행간에 조그맣게 써서 끼워 넣은 글, 윤동주 숨결이 그대로 느껴진다.

'별헤는 밤' 끝 날짜(1941.11.5.)뒤에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 무덤우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 내 이름자 묻힌 언덕우에도 /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게외다.' 덧붙인 4줄도 선연하다. 정병욱이 '허하다'고 해서 덧붙여 적어 넣은 4줄이다.

​"별하나에 추억과 / 별하나에 사랑과 / 별하나에 쓸쓸함과 / 별하나에 동경과 / 별하나에 시와 / 별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별헤는 밤'을 암송해본다. 정병욱이 묻고 답한 물음을 스스로 물어본다. '우리가 평생 해낸 일 가운데 가장 보람있고 자랑스런 일은 무언가?'

태그:#윤동주, #정병욱, #별헤는 밤, #하늘과바람과별과시, #광양망덕포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무리 어려운 문제도 글로 쓰면 길이 보인다'는 가치를 후학들에게 열심히 전하고 있습니다. 인재육성아카데미에서 '글쓰기특강'과 맨토링을 하면서 칼럼집 <글이 길인가>를 발간했습니다. 기자생활 30년(광주일보편집국장역임), 광주비엔날레사무총장4년, 광주대학교 겸임교수 16년을 지내고 서당에 다니며 고문진보, 사서삼경을 배우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