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제주 내도동의 일품 '알작지 해안'
▲ 알작지 해안 1 제주 내도동의 일품 "알작지 해안"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며칠 전 제주 내도동 앞바다인 '알작지 해안(제주도 향토유형유산 제5호)'을 찾았다. 알작지란 아기자기하고 동글동글한 형태의 몽돌이 모래 대신 해변에 깔린 것을 말하며 파도가 밀려왔다가 물이 빠질 때 '자작자작'하는 소리가 일품이다. 마침 날씨가 좋아 바다는 푸르렀고 '알작지 해안'의 몽돌 소리는 아름다운 오케스트라의 조화인 듯 가슴마저 시원하게 해주었다.
  
이 '알작지 해안' 위 도로 곁에는 제주특별자치도 향토유형유산 제10호로 등록된 거욱대가 있다. 거욱대는 방사탑(防邪塔)이라고도 한다. 제주시에서 세워둔 설명판에는 "방사탑(防邪塔)은 마을의 어느 한 방위에 불길한 징조가 보이거나 지형이 터져서 허할 때 그것을 막기 위해 세웠던 돌탑을 이른다. 내도동 방사탑은 바다에서 마을로 들어오는 부정(不淨)을 막기 위해 해안가에 세워 놓은 것으로 이 탑의 높이는 185㎝, 하단 지름은 396㎝다. 꼭대기에는 길쭉한 현무암(높이 82.6㎝, 가로 35㎝)을 세워 놓았다. 내도동에는 6기의 방사탑이 있었으나 현재 원형을 볼 수 있는 것은 이 탑이 유일하다"고 적혀있다.
  
내도의 명물 거욱대(방사탑, 향토유형유산 제10호)는 쓰레기장이 되어있었다.
▲ 거욱대 1 내도의 명물 거욱대(방사탑, 향토유형유산 제10호)는 쓰레기장이 되어있었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거욱대(방사탑) 앞에는 내도동 방사탑이라는 설명판이 서 있다. 쓰레기도 단속해야하지만 한가지 아쉬운 것은 거욱대 앞 울타리를 1미터 정도 없애서 거욱대를 온전히 감상할 수 있게 해줘야한다.
▲ 거욱대 2 거욱대(방사탑) 앞에는 내도동 방사탑이라는 설명판이 서 있다. 쓰레기도 단속해야하지만 한가지 아쉬운 것은 거욱대 앞 울타리를 1미터 정도 없애서 거욱대를 온전히 감상할 수 있게 해줘야한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원래 이 거욱대는 내도동 514-1번지에 있었는데 도로공사로 2017년 9월부터 내도동 465-3번지로 이전 복원해놓은 것이다.

문제는 이 거욱대에 쓰레기가 아무렇게나 버려져있는 점이다. 쓰레기 포장 상태로 보아 재활용쓰레기로 보였는데 내다 놓은 지 오래되지 않은 듯 했다. 이곳은 '알작지 해안'이 있어 많은 사람이 찾는 곳인데 거욱대(방사탑) 역시 길 옆에 있어 찾는 사람이 많은 곳이다. 이러한 곳에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도 문제이고 관리를 안하는 시당국도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념사진을 찍으려해도 쓰레기 포대와 함께 찍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 가지 더 아쉬운 것은 거욱대(방사탑)를 온전히 카메라에 담을 수 있게 거욱대 앞 나무 울타리를 없애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현재는 울타리가 거욱대(방사탑)를 막아 놓아서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이 카메라로 거욱대(방사탑)를 온전히 찍을 수도 없고 감상할 수도 없다. 나무 울타리를 만든 시당국의 무관심이 아쉽다.

다시 제주를 찾아 내도동 거욱대(방사탑)를 찾아갈 때는 쓰레기도 없고 거욱대도 온전히 감상할 수 있는 모습으로 변해 있길 바란다.

덧붙이는 글 | 우리문화신문에도 보냈습니다.


태그:#알작지, #거욱대, #방사탑, #제주, #내도동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학박사. 시인.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 한국외대 외국어연수평가원 교수, 일본 와세다대학 객원연구원, 국립국어원 국어순화위원, 민족문제연구소 운영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냄 저서 《사쿠라 훈민정음》, 《오염된국어사전》, 여성독립운동가를 기리는 시집《서간도에 들꽃 피다 》전 10권, 《인물로 보는 여성독립운동사》외 다수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