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경수 경상남도지사.
 김경수 경상남도지사.
ⓒ 경남도청 최종수

관련사진보기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김해신공항(김해공항 확장)에 대해 예산 7조 원을 들이는데 안전하지 않은 반쪽짜리 공항이라며 '동남권 관문공항' 재검토를 강조했다.

김 지사는 8일 교통방송(tbs) <김어준 뉴스공장>과 가진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과 오거돈 부산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김경수 지사는 '김해공항 확장'에 대해 총리실에서 재검토하고 그 결과에 따르기로 합의했다.

동남권 관문공항은 2002년부터 논의가 시작되어, 한때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하남평야)이 경쟁하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6년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정이 났다.

김경수 지사는 "김해공항이 포화상태가 되어 가능한 방안을 찾아보자고 해서 2002년부터 논의가 시작되었다. 김대중 정부 때 1회, 노무현 정부 때 2회, 이명박 정부 때 2회, 박근혜 정부 때 1회의 용역연구가 있었고, 6차례 모두 김해공항 확장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결론이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2002년 중국 민항기가 김해 돛대산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있었다. 지금도 김해공항은 자동계기착륙 아니고 수동으로 하게 된다. 조종사들이 김해공항을 꺼린다"며 "위험한 공항을 어떻게 위험하지 않는 공항으로 만들 수 있을까를 따져 봤더니 여섯 번 모두 안 된다는 것이었다"고 했다.

김해공항 확장 결정과 관련해 김 지사는 "박근혜 정부 때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것으로 됐다. 원래는 가덕도였는데 말이다. 정치적 타협점을 찾은 것이다"고 했다.

김해공항 확장에 대해, 김 지사는 "제가 김해(을) 국회의원할 때 국토부 계획을 살펴보니, 김해공항 활주로를 43.4도 트는데, 그렇게 되면 장유 신도시의 소음문제가 훨씬 커지게 되었다"며 "그래서 소음 문제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들여다보면 볼수록 김해신공항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이어 "근본적으로 김해신공항 결정 과정이 정상적인 판단으로 되었는지 의심이 갔다. 2016년 결정하고 나서 대구쪽에서 다시 용역을 한번 더 했는데도 김해신공항는 부적합하다고 나왔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김해신공항을 하면 2016년에는 예산 4조 원이 든다고 했는데 지금은 7조 원 들어간다고 한다. 그런데 여전히 안전하지 않다는 것이다"라며 "부산울산 쪽에서 이런 저런 문제제기가 있었다. 그래서 김해공항 확장이 적절한지, 제대로 된 것인지 검증해 보자고 해서, 부울경 공동검증단을 꾸렸던 것"이라고 했다.

김 지사는 "8번 연구용역 했는데 그 중에 한번만 김해신공항이고 나머지는 모두 부적합이었다"며 "예산 7조 원을 들여서 위험한 공항을 해야 하느냐"고 했다.

"전임 정부의 결정을 뒤집는 것이냐"는 지적에, 김 지사는 "국토부가 스스로 뒤집을 수 없다고 보고 총리실에서 한번 검증해 달라는 것"이라고 했다.

김해신공항 재검토에 대한 대구경북의 반대에 대해, 김 지사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을 짓는 데 국가 예산을 줄 수 있느냐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신공항 문제는 해결이 됐다고 본다"고 했다.

그는 "김해공항이 지금대로 가면 반쪽자리 공항이다. 가덕도에 대해 대구경북이 우려하는데 이해하지만,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 전체인 동남권의 경우, 갈수록 힘들어 지는데 싸울 게 아니라 전체 '파이(빵)'를 키우기 위해, 동남권 경제권 확장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했다.

'드루킹 댓글 조작 연루 의혹 사건' 항소심 재판과 관련해, 김 지사는 "1심 때는 쉽게 생각하고 서둘렀다. 2심은 자료나 기록도 많고 1심 증인 신문했던 사람들도 다시 한번 더 법정에서 다 들어보고 있다. 1심과 달리 하나하나 되짚어 보고 있다. 제가 직접 재판을 챙기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항소심은 9월 5일까지 증인 신문 기일이 잡혀 있다. 연내에는 결론이 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했다.

태그:#김경수, #김어준, #동남권 관문공항
댓글1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