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울리지 않는 두 단어가 연극 <페이퍼>의 배경을 이루고 있었다. '1984년' 그리고 '봄'. 이 연극은 조지 오웰의 소설 < 1984 >를 떠올리게 하면서 동시에 밤거리를 헤매는 젊은 청년들의 모습을 그렸다.

연극 <페이퍼>는 어느 으스스한 저녁, 한 여성이 'P'라는 붉고 큰 글씨가 적힌 암호 같은 종이 벽보를 남몰래 붙이면서 시작된다. 'P'는 1980년대 민주화 운동 시절, 피로 불리던 유인물(페이퍼)을 뜻한다. 지난 5월 11일 오후 2시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1관에서 시범공연으로 상연 중이던 연극 <페이퍼>를 관람했다.

장진구의 순수한 사랑에 동화된 강만철

연극 <페이퍼>는 1980년대의 긴장을 품은 연극이지만 무겁기보다는 따스한 '봄'의 느낌을 더 품고 있었다. 특히 주인공 강만철과 장진구의 연기는 강렬하였고 연극의 절정을 이루는 부분에서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선은 지지 않는다'는 철학이 느껴질 정도로 깊은 주제가 담겨 있었다.

줄거리는 이렇다. 강만철이 자신의 뇌물 장부를 꾸러미에 모아 도주하던 중 한 여성과 부딪힌다. 이 과정에서 장부 꾸러미가 뒤바뀌게 된다. 강만철은 장부를 되찾기 위해 바뀐 꾸러미에 담긴 노트를 뒤지던 중 장진구라는 대학생을 알게 된다. 그는 장진구를 잡아와 노트에 적인 'P'를 토대로 함께 일하는 여성에 대해 진술하게끔 협박한다.
 
시범공연 중인 연극 <페이퍼>  포스터

▲ 시범공연 중인 연극 <페이퍼> 포스터 ⓒ 레드앤블루

  
1980년대의 데모, 협박, 회유라는 소재는 너무도 진부하여 연극에서 자칫 아무런 위치도 잡지 못할 위험도 있었다. 그러나 이 연극은 이러한 소재들을 주요 쟁점으로 내세우기보다는 배경처럼 거리를 두고서 접근했는데, 이 점이 아주 좋았다. 그래서인지 관객들은 순수하고 이타적인 대학생 장진구를 기억하였고, 상인들을 괴롭히던 강만철이 그러한 장진구에게 감동을 받아 자신의 못된 과거를 회유하고 고백하는 모습을 거리낌 없이 즐길 수 있었으리라. 이 연극은 또한 현대 우리 사회에도 적용되는 내용이었기에 더욱 흥미를 끌었다.

비가 오던 어느 날 책 무더기를 떨어뜨린 장진구는 우산을 쓴 여인이 자신의 책을 함께 주워주는 호의에 그만 반하고 말았다. 장진구는 책 무더기에서 여인이 놓고 간 빨간 책 하나를 발견하는데 이니셜 'PARK'이 새겨져 있었다. 이에 장진구는 그녀를 'P'라고 칭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P'는 또한 여인의 무리가 암암리에 활동하는 모임에서 쓰는 이니셜이기도 했다. 청년 장진구는 훗날 모임의 일원으로 오해받지만 그가 기억하는 것은 그녀에 대한 이니셜일 뿐임이 계속해서 드러난다.

장진구를 돕는 척하며 여인을 만나려 했던 강만철은 그에게 사랑의 편지를 쓰게 한다. 하지만 장진구는 너무도 순수한 학생이었다. 강만철의 요구대로 그 여자를 가볍게 생각지 못해 차마 제대로 편지를 쓰지도, 머릿속에 떠올리지도 못했다. 그럼에도 그 역시 최선을 다해 그녀를 찾고 싶어했고 또 그리워하고 있었다.

강만철은 이해 타산적이고 이기적인 인물로 처음에 비춰졌다. 그러나 장진구의 진실한 사랑과 진심을 조금씩 파악해나가면서 점점 청년에게 동화되기 시작했다. 장진구와 강만철 간의 관계가 하나로서 성립되어 가는 순간이었다. '나와 너'가 '함께'가 되는 이 순간은 연극이 품은 주요한 주제이기도 했다.

죽음으로 'P(PAPER)'가 흩뿌려지다

그러던 강만철과 장진구 사이로 검은 옷을 입은 순사가 끼어들었다. 이제 이야기는 위기를 맞게 된다. 검은 순사는 매우 이성적이며 철저했는데 연민이라고는 볼 수 없는 인물이었다. 검은 순사는 이미 강만철의 비리를 알고 있었다. 강만철은 검은 순사의 요구대로 장진구를 두고 취조실을 떠나야만 했다. 이후 장진구는 모진 고문을 당하는데 그런 그를 살리기 위해 강만철이 몰래 다가와 여자가 있는 곳을 알려달라고 그에게 애원하기 시작한다. 장진구는 그럴 수 없다며 버텼다. 여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없다는 것이 이유였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여자를 위한 것'이라는 강만철의 말을 듣는 순간 고삐를 놓아버리게 된다.

그렇게 여자를 위해 장진구는 자신을 버렸다. 극단은 곧 불이 꺼지고 쓰러진 장진구의 모습을 오랫동안 관객들에게 비췄다. 숨죽이던 관객들은 장진구가 인간으로서 회복되는 순간을 보고는 탄성을 질렀다. 자신을 버리고 여자를 살린 그의 정신은 거대 악 앞에 무력하지 않은 숭고한 인간의 모습 그 자체였다. 사랑을 택한 한 남자로 인해 더 많은 열매가 피어나려는 순간이었다.

연극의 절정은 강만철로 인해 이루어졌다. 나밖에 모르고 살던 강만철은 사랑을 깨닫는다. 강만철의 각성은 P를 보호하려는 의지와 장진구의 애절한 편지 꾸러미를 사방으로 던지는 모습으로 표현됐다. 여기서 편지 꾸러미인 종이(PAPER)는 장진구의 분신으로 그의 영혼이 사방으로 흩뿌려지는 모습처럼 느껴졌다. 마치 붉은 피, 일명 P와 같았다. 그것은 고결한 신적인 모습으로서 흩날렸고 이 가운데서 강만철은 오랫동안 오열을 했다.

연극은 과거와 현재를 여러 차례 번갈아 보이며 처음 인물이 보인 모습과 다르게 느끼게끔 관객들을 유도하였다. 연극 <페이퍼>는 무겁지 않았으며 선한 본성으로서 인물들을 유머 있게 승화시켰다. 인물과 사건은 군더더기 없어 보였다. 다만 배경이 굳이 1984년이어야만 하는 이유를 아직 잘 모르겠다. 인간의 무의식을 보이기에 그 시대만한 배경이 없었으리라 생각이 들긴 하지만 좀 더 가까운 현대사를 표현해보면 어땠을까 하는 작은 아쉬움이 남는다.
페이퍼 연극페이퍼 레드앤블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학술문화, 과학 및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top